윙배너

무역업계, “AI 도입은 필수”… 그러나 활용은 ‘초기 단계’에 머물러

AI 기반 수출 경쟁력 전환 필요성 커져… “정부-기업 전략적 협력 시급”

인공지능(AI) 기술을 중심으로 글로벌 수출산업의 구조 전환이 빠르게 진행되는 가운데, 국내 무역업계는 여전히 AI 활용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정부와 기업이 협력해 산업 AI 생태계를 조성하고, 핵심 산업의 AI 내재화를 본격 추진해야 한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한국무역협회(KITA)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9일 발표한 ‘AI 패러다임이 견인하는 한국 핵심 수출산업 전환’ 보고서에 따르면, 무역업계 종사자 39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78.0%가 “AI 도입이 운영 효율성 제고를 위해 필수적”이라고 응답했다. 그러나 실제 AI를 적극 활용 중인 기업은 16.9%에 불과했으며, 68.7%는 도입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었다.
무역업계, “AI 도입은 필수”… 그러나 활용은 ‘초기 단계’에 머물러 - 산업종합저널 동향

보고서는 특히 마케팅(21.9%)과 제품·서비스 기획(19.7%) 등 아이디어 중심 업무에 AI 활용이 집중돼 있으며, 제조·재무·인사 등 핵심 운영 분야에선 활용 비중이 10% 미만으로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기업들이 AI 도입을 주저하는 가장 큰 이유로는 도입 비용(26.1%)과 전문 인력 부족(25.4%)이 꼽혔다.

반면 반도체, 자동차, 기계, 바이오헬스 등 한국의 주력 수출산업은 이미 AI 기반의 구조 전환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반도체 산업은 AI 전용 칩 중심의 생태계로 재편되고 있고, 자동차 산업은 자율주행과 SDV(소프트웨어 정의 차량)로의 전환이 본격화되는 추세다. 기계 산업에서는 예지보전 기반의 자율제조 시스템이, 바이오헬스 분야에서는 AI 기반 신약 개발과 개인 맞춤 의료기기가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부상하고 있다.

보고서는 이러한 흐름에 대응하기 위해, ‘AI 도입 진단→기반 구축→솔루션 탐색→내재화’로 이어지는 산업 AI 로드맵 수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데이터 표준화, 솔루션 매칭, 비용 지원 등 맞춤형 정책을 제공하고, 기업은 적극적으로 참여해 민관 협력 기반의 산업 AI 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것이다.

무협의 강성은 수석연구원은 “AI는 수출산업의 경쟁 구조를 근본적으로 바꾸고 있다”며 “국내 중소·중견기업이 축적된 제조 데이터를 바탕으로 AI를 내재화할 수 있도록 민관 협력이 절실하다”고 밝혔다. 이어 “궁극적으로는 국가 단위 AI 기술 자립을 뜻하는 ‘소버린(Sovereign) AI’ 전략을 통해 기술 주권을 확보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AI 기술의 진화와 미래, 공존하는 '기회'와 '우려'

최근 인공지능(AI)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다. 그 영향력은 산업, 의료, 교육, 금융 등 거의 모든 분야에 걸쳐 있으며, AI를 활용한 자동화와 데이터 분석 기술이 많은 일상적 과제를 해결하고 있다. 하지만 AI의 발전이 가져올 미래에는 기대와 함께 우려도 존재한다.

AI 시장, 2032년 1.7조 달러 규모로 급성장... 한국 기업 '기회의 문' 열리나

글로벌 데이터 폭증과 고령화 추세가 인공지능(AI) 산업 혁명을 가속화하는 가운데, 한국 기업들의 AI 시장 진출 기회가 확대되고 있다. 가트너에 따르면 세계 AI 시장 규모는 2024년 2천334억 달러에서 2032년 1조 7천716억 달러로 연평균 29.2%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생성형 A

AI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급증… 2027년까지 전력 부족 위기 예상

AI와 생성형 AI 기술의 빠른 발전과 함께 데이터센터의 전력 수요가 급증하고 있어, 2027년까지 일부 데이터센터에서 전력 부족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가트너는 이러한 전력 수요 증가로 인해 기업들이 전력 비용 인상과 지속가능성 문제에 직면할 것이라 전망했다. AI와 데이터센터 전

중소기업 AI 도입 지원 본격화… 정책과제와 법안 마련 착수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는 23일 서울 광화문 빌딩에서 중소기업의 인공지능(AI) 도입·활용을 지원하기 위한 ‘중소기업 AI 정책자문단’(이하 정책자문단) 출범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정책자문단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AI 기술 활용 확대를 위해 정책과제를 도출하고, ‘(가칭)중소기업 A

대한민국 제조업, 인공지능(AI) 자율제조로 혁신

산업통상자원부가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제조업의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키고 인구구조 변화, 탄소 감축 등 현안 문제를 해결할 'AI 자율제조 선도프로젝트'를 본격 추진한다. 산업부는 28일 안덕근 장관이 참석한 가운데 'AI 자율제조 선도프로젝트 협약식'을 열고, 현대자동차, GS칼텍스, 삼성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