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뷰웍스, 독일 오토매티카 2025서 머신비전 솔루션 24종 공개

영역·라인 스캔 카메라부터 듀얼 이미징 TDI까지… 글로벌 공장 자동화 시장 공략

뷰웍스, 독일 오토매티카 2025서 머신비전 솔루션 24종 공개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공장 자동화와 로보틱스 기술의 지능화가 가속되는 가운데, 뷰웍스가 독일에서 열린 오토매티카 2025에서 머신비전 솔루션 24종을 공개하며 글로벌 제조 혁신 시장 공략에 나섰다.

의료 및 산업용 영상솔루션 전문기업 뷰웍스(대표 김후식)는 지난 달 24일부터 27일까지 독일 뮌헨에서 열린 공장 자동화·로봇 전시회 ‘오토매티카 2025’에 참가해 고객 맞춤형 머신비전 솔루션을 선보였다고 밝혔다.

오토매티카는 격년제로 열리는 세계 최대 규모의 스마트 자동화·로봇공학 박람회다. 유럽 바이어들이 자동화와 AI 융합 신기술을 확인하기 위해 주로 찾는 자리로, 뷰웍스는 △영역 스캔(Area scan) 카메라 △라인 스캔(Line scan) 카메라 △TDI 라인 스캔 카메라 △머신비전 인터페이스 △렌즈 △액세서리 등 24종의 제품을 전시했다.

특히 공장 자동화 및 로보틱스에 폭넓게 활용 가능한 영역 스캔 카메라 ‘VZ 시리즈’가 현지 바이어들의 주목을 받았다. VZ 시리즈는 2.9cm×2.9cm의 초소형 크기와 경량 설계로 자동차, 로보틱스, 식음료, 제약 등 다양한 산업에 적합하다. 기가비트 이더넷(GigE)과 USB 3.0 인터페이스를 지원해 검사 시스템 호환성이 뛰어나며, 별도의 프레임 그래버(frame grabber)가 필요 없어 경제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갖췄다.

또한 뷰웍스는 1회 스캔으로 브라이트 필드와 다크 필드 이미지를 동시에 취득할 수 있는 ‘듀얼 이미징 TDI 카메라’를 새롭게 공개했다. 이는 초고속 촬영 환경에서도 선명한 영상을 구현하는 고해상도 TDI(Time Delayed Integration) 라인 스캔 카메라의 개량 모델로, 검사 시간과 시스템 도입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저조도 환경에서 최적화된 고해상도 산업용 카메라 ‘VT Sense 시리즈’도 관심을 모았다. 자외선(UV), 근적외선(NIR), 단파 적외선(SWIR) 파장 영역에서 선명한 이미지를 구현해, 기존 가시광으로 식별하기 어려웠던 디스플레이, 반도체, 이차전지 표면, 태양광 패널의 미세 결함도 확인할 수 있다.

뷰웍스는 인터페이스 다변화와 고객 맞춤형 커스터마이징을 강점으로, 글로벌 머신비전 시장 공략을 강화할 계획이다. 회사 관계자는 “AI와 로보틱스 기술이 발전하면서 검체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판단하는 지능형 시각 시스템의 중요도가 높아졌다”며 “공장 자동화, 자동 광학검사(AOI), 로봇 등 다양한 분야에 최적화된 솔루션으로 글로벌 제조 혁신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한국수력원자력에 세계 최초 MMIS 원전 디지털 트윈 기술 적용

DX 보안 및 임베디드 가상화 전문 기업 쿤텍이 임베디드 가상화 설루션인 ‘패스트 브이 랩스(FastVLabs)’를 공급했다고 밝혔다. 수산ENS와의 협력을 통해 한국수력원자력에 하드웨어 가상화 기술을 기반으로 한 안전 계통 제어기(PLC) 디지털 트윈 구축을 지원한 것이다. 이번 협력으로 한수원에

피아이이,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서 AI 기반 제조 혁신 솔루션 공개

AI(인공지능) 기반 제조 지능화 통합 솔루션 기업 피아이이가 지난 12~14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AW 2025)’에서 첨단 제조 공정 혁신을 위한 AI 솔루션을 발표했다. 피아이이는 글로벌 제조 기업들의 공정 첨단화를 지원해 온 경험을 바탕으로 △AI 비전 검사 △

전력 반도체 패키징 전환 가속… 코스텍시스, 와이어 본딩 없는 기술 개발

전력 반도체 패키징 방식이 변화하고 있다. 기존 와이어 본딩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본딩 와이어를 제거한 새로운 기술이 주목받고 있으며, 코스텍시스가 이를 구현한 ‘칩 스페이서’와 ‘비아 스페이서’를 개발했다. 전력 반도체는 전기자동차, 철도, 풍력, 데이터 센터 등 다양한 전

유진로봇, AW 2025에서 고중량 물류 로봇 ‘고카트 1500’ 공개

유진로봇이 12일부터 14일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AW 2025(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에 참가해 최대 1.5t 적재가 가능한 고중량 물류 로봇 ‘고카트 1500’을 처음으로 선보였다. 스마트팩토리와 산업 자동화 분야에서 자율주행 로봇과 로보타이제이션 기술을 강조하며, 효율적인

장애인 스스로 착용 가능해진 웨어러블 로봇

KAIST 기계공학과와 (주)엔젤로보틱스 연구팀이 하반신 완전마비 장애인을 위한 웨어러블 로봇 '워크온슈트 F1'을 24일 공개했다. 휠체어에서 내릴 필요 없이 로봇이 스스로 걸어와 타인의 도움 없이 착용할 수 있는 기능을 갖췄다. 워크온슈트 F1, 타인의 도움 없이 착용 가능한 혁신적 기능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