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를 넘어 AX(AI Transformation) 시대로의 전환을 맞아, 인공지능은 더 이상 전문가만을 위한 도구가 아니라 우리 일상에서 누구나 손쉽게 접할 수 있는 생활 속 필수 기술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최교진 교육부 장관은 지난 10일 교육부 브리핑실에서 '모두를 위한 AI 인재 양성 방안'을 발표하며, 초·중등부터 고등·평생교육까지 전 생애주기에 걸쳐 AI 교육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AI 패권 경쟁 속 "하루가 늦으면 한 세대가 뒤처지게 된다"는 위기의식 아래, 'AI 3강 도약' 비전을 교육으로 뒷받침하겠다는 것이다.

최교진 교육부 장관이 교육부 브리핑실에서 '모두를 위한 AI 인재 양성 방안'을 발표하고 있다.(브리핑 영상 캡쳐)
최 장관은 "모든 국민이 지역과 세대에 관계없이 AI 대전환의 혜택을 고르게 누리도록 보편적 AI 교육을 제공하고, 핵심 인재와 융합 인재 등 다층적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 중요한 방향"이라고 강조했다.
초·중등 'AI 중점학교' 2천 개로… 대학 'AI 교양' 도입
교육부는 전 생애주기 AI 기본 교육 강화를 첫 번째 핵심 과제로 제시했다. 그간 초·중등에 초점이 맞춰졌던 AI 교육을 고등·평생교육 분야까지 확대하는 것이 골자다.
초·중등학교에서는 AI 이해와 활용 역량은 물론, AI 윤리 등 리터러시 교육을 강화한다. 정보 교과목 내 AI 교육 시간을 늘리고, AI 중점학교를 현재 730개교에서 2028년 2천 개교까지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국가교육위원회와 협업해 AI 교육을 위한 초·중등 교육과정 개정도 추진한다.
대학에서는 AI 비전공자도 AI 기본 소양을 갖추도록 거점국립대를 중심으로 AI 기본 교육과정을 도입한다. 2026년 30개 대학을 시작으로 AI 교양강좌 및 융합 강좌 개발·운영을 지원한다.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는 재직자 AID 집중 과정, K-MOOC 등 온라인 AI 콘텐츠를 확대하고, 디지털 평생교육이용권으로 경제적 부담을 완화한다.
'지역 격차' 해소… 거점국립대 AI 허브로 육성
교육부는 AI 교육 여건이 수도권에 집중돼 지역 격차가 심화될 것을 우려, 지역 단위 AI 교육 체계 구축에도 나선다. 2028년까지 17개 전체 시도교육청에 '인공지능 교육지원센터'를 설립해 양질의 AI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또한, 2026년 33개교에 300억 원 지원을 시작으로 거점국립대를 '지역 AI 인재 양성 허브'로 육성한다. 거점국립대가 AI 단과대학 설치, GPU 등 인프라 구축을 통해 인근 대학·기업·연구소와의 협력을 주도하게 한다는 방침이다. 2026년 선정 예정인 AI 부트캠프(37개) 역시 지역 중심으로 선정한다.
'학·석·박 5.5년' 패스트트랙 신설… 20대 박사 키운다
우수 AI 인재 조기 양성을 위한 '성장경로'도 신설된다. 과학고·영재학교의 AI 특화 교육과정을 내년까지 27개교 전체로 확대하고 AI 입학전형도 늘린다.
핵심은 '학·석·박 패스트트랙' 신설이다. 고등교육법 개정을 통해 통상 8년이 걸리던 박사 과정을 최대 5.5년까지 단축, 20대 초·중반의 우수 인재가 사회로 진출할 기반을 마련한다.
이와 함께 '이공계 우수 인재 성장경로 지원 사업'을 신설, 우수 학부생 400명을 선발해 연간 2천만 원 수준의 학업 장려금을 지원한다. 두뇌한국21(BK21) 사업에 AI 교육 연구단을 확대하고, 대학 내 박사후연구원의 지위를 제도화하며, 국가석좌교수제도 신설해 정년 제약 없이 석학이 연구·교육에 매진하도록 지원한다.
AX 부트캠프 도입… '질문하는 학교' 200개 지정
산업·학문 전반의 AI '활용' 역량을 키우는 융합인재 양성도 추진된다. 초·중등 단계부터 스팀(STEAM) 교육을 확대하고, 지능형 과학실을 2027년까지 모든 학교에 확대한다.
대학에는 이차전지, 바이오 등 첨단 분야와 AI를 연계한 'AX 부트캠프' 사업을 도입하고, 전문대학에는 'AID 전환 중점 전문대학' 사업을 신설한다. 첨단 분야 융합 학과에도 학생 정원 증원 특례를 적용한다.
인공지능 시대에 인간 본연의 가치를 잃지 않도록 하는 교육도 강화한다. 비판적 사고력과 생각하는 힘을 키우기 위해 '질문하는 학교 선도학교'를 2027년 200개교까지 지정한다.
기업과 대학 공동 인재 양성… 계약학과·산업학위제 확대
AI 인재의 '수급 불일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산업계 참여도 확대한다.
AI 마이스터고를 신규 지정하고, 2030년까지 35개 마이스터고가 전공과목에 AI 활용을 유도하도록 지원한다. 직업계고 학과를 AI 중심으로 재구조화하고, 전체 특성화고의 AI 리터러시 교육을 단계적으로 지원한다.
기업과 대학이 협약하는 계약학과·계약정원제를 지속 확대하고, 기업이 AI 인재를 직접 양성하는 사내 대학원 설치를 위해 평생교육법 개정도 추진한다. 산학 협력 R&D 성과물로 학위를 취득하는 '산업학위제'도 도입한다.
최교진 장관은 “AI에 과몰입하거나 의존하지 않고 안전하고 책임 있게 활용하도록 AI 윤리 등 리터러시 교육을 지속적으로 강조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c)산업종합저널.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