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디스플레이 강국, 앞으로의 방향은?

'한국디스플레이산업전시회(IMID 2019)'에서 만난 기업들

중국의 LCD 패널 시장 점령과 일본의 디스플레이 소재 수출 규제로 한·중·일이 이 분야에서 각축을 벌이고 있다. 최근 중국의 투자 정책으로 저가 경쟁력을 내세울 경우 한국 디스플레이 산업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얘기도 나오고 있다.

디스플레이에 관한 모든 제품과 기술을 보여주고 있는 '한국디스플레이산업전시회(IMID 2019)'를 찾아가 현장에 있는 업체들의 반응을 들어봤다.

디스플레이 업계의 양대 산맥은 삼성, LG와 같은 대기업이지만 그 뒤에는 독자적이고 경쟁력 있는 기술로 업계 동향에 발맞춰가는 중소기업들이 있다.


"제조업계에서 사람이 하던 일, 인공지능 딥러닝이 대체해"
디스플레이 강국, 앞으로의 방향은?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주)수아랩 관계자가 수아랩의 기술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주)수아랩은 제품 불량 검출의 정확성을 기하기 위해 인공지능 딥러닝을 머신 비전(Machine Vision)에 적용했다.

딥러닝이란, 스스로 학습하고 미래의 상황을 예측하는 컴퓨터를 말한다. 머신 비전에 사용되던 기존의 룰 베이스 방식은 부품 외관검사 시 비정형화된 불량을 검출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2013년 설립된 수아랩은 설립 4년만인 2017년, 룰 베이스 방식을 인공지능 딥러닝 방식으로 바꾼 소프트웨어 개발, 출시에 성공했다. 수아랩 관계자는 "이 기술로 디스플레이, 반도체, 필름뿐만 아니라 태양광 패널에도 딥러닝을 사용해 불량을 잡아낼 수 있다"며 "첨단 영역 외에 식품이나 의료 쪽 분야로도 조금씩 눈을 돌리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또한, 삼성, LG, SK 등 해당 기업에 특화한 기술지원으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고 했다.

"디스플레이 선두기업 동향에 발맞춰 갈 것"
디스플레이 강국, 앞으로의 방향은?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주)필옵틱스 디스플레이사업부 장흥진 과장이 3D 검사기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완전한 디스플레이 제품 생산을 위해선 철저한 검사가 필요하다. (주)필옵틱스는 장흥진 과장은 디스플레이 검사과정에서 결함이나 불량을 더 쉽고 빠르게 식별할 수 있다며 3D 검사기(3D Surface Inspection)를 직접 시연해 보였다.

필옵틱스는 3D 검사기뿐 아니라 OLED 양산에 활용하는 레이저 글래스 커팅 장비를 세계 최초로 개발해 상용화한 업체다.

이 회사 장흥진 과장은 레이저 가공장비가 필옵틱스의 강점이라고 말하며 디스플레이 패널, 필름 등을 모델 사이즈에 맞게 공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레이저 소스를 유럽이나 미국에서 수입하는 실정에 대해 아쉬움을 표현한 장 과장은 “레이저 소스에 대한 독자적 개발과 끊임없는 연구를 통해 스마트폰 제조 공정 과정에 필옵틱스의 레이저 필름 커팅 기술이 채택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올해 254억 원을 디스플레이 예산으로 책정했지만 내년에는 1천113억 원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삼성 역시 2025년까지 QD 디스플레이에 13조1천억 원 투자 의지를 밝힌 만큼, 디스플레이 산업의 내년 활약상이 기대된다.
김지운 기자 기자 프로필
김지운 기자
jwkim@industryjournal.co.kr


0 / 1000


많이 본 뉴스

[기획 2편] “인간형 로봇의 꿈, 기술보다 더 느리게 걷는다”

2021년, 일론 머스크는 “앞으로 육체노동은 선택이 될 것”이라며 ‘옵티머스(Optimus)’라는 이름의 인간형 로봇을 세상에 소개했다. 단순한 기계가 아니라, 인간처럼 걷고 말하며 노동을 수행할 수 있는 ‘진짜 로봇’의 탄생이었다. 그는 이 로봇이 테슬라 차량보다 더 큰 가치를 창출할

[기획 1편] 인간의 일을 넘겨받은 기계, Figure 03의 선언

“인간형일 필요는 없었다…그러나 인간의 자리로 들어왔다” 인간은 오랫동안 ‘일’을 통해 자신의 존재를 증명해왔다. 하지만 지금, 이 전제가 흔들리고 있다. 로봇이 현장을 대체하고, 인공지능이 생각을 모방하며, 일하는 인간의 자리가 서서히 해체되고 있다. 본지는 이 흐름 속에서

[심층] ‘유령기지국’ 통한 소액결제 피해…디지털 인증 체계의 사각지대

경기 광명시와 서울 금천구에서 KT 이용자를 중심으로 소액결제 피해가 다수 보고되면서, 불법 초소형 기지국, 이른바 ‘유령기지국’ 개입 가능성이 제기됐다. KT는 9일 일부 통화 기록에서 실존하지 않는 기지국 ID가 확인됐다고 밝혔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민관합동조사단을 꾸려 현장

[심층기획] “기술을 지켰다면, 사업은 무너지지 않았다”

기술을 빼앗겼다는 확신이 들었을 때, 그는 너무 늦었음을 깨달았다. 함께 개발하자며 도면을 요청한 상대는, 이후 연락을 끊었고 몇 달 뒤 유사한 제품을 출시했다. 계약서에는 권리 귀속 조항이 없었고, 그가 증거라고 주장한 파일은 상대 기업의 서버에 있었다. 법원은 입증 부족을 이유로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