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화학제조산업대전] '친환경이 곧 안전이다' 화학산업 친환경 엿보다

불 안 붙는 불연성접착제·독성없는 착색제 등 전시

중대재해처벌법, ESG, 탄소중립 등 안전과 환경이 우리 사회의 중요한 가치로 자리 잡고 있는 가운데 화학 업계에서도 친환경, 안전을 강조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지난 23일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열린 ‘2022 대한민국화학제조산업대전(Chemical Manufacturing Expo Korea 2022)’에서 관련 제품을 만나봤다.


불연성접착제…유독성 물질無
[화학제조산업대전] '친환경이 곧 안전이다' 화학산업 친환경 엿보다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한승우 한미르㈜ 대표이사


이천 물류창고, 덕평 쿠팡 물류창고, 울산 주상복합아파트 화재 등 지난 2년 사이 발생한 대형 화재의 공통점에는 접착제가 있다.

불연코팅기술을 기반으로 접착제를 만드는 한미르㈜의 채종문 상무는 “샌드위치 패널로 만든 요즘 공장의 경우 패널에 사용하는 접착제 때문에 대형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가 허다하다”고 지적했다.

샌드위치 패널이나 건물 외벽 마감에 사용한 접착제의 가연성 물질이 불쏘시개 역할을 해 대형 화재로 번졌다는 것이다.

그는 “불연접착제는 1천도의 열을 견딜 수 있다”라며 “요새는 대형 화재로 인명 사고가 많이 나고, 안전이 우선 되다보니 수요가 느는 추세”라고 말했다.

지난해 12월부터 건물 단열재 사용 기준을 강화한 건축법 개정안이 시행되면서 불연접착제를 찾는 업체가 많아졌다는 게 업체 측의 설명이다.

채 상무는 유기 접착제는 화재가 날 경우 유독가스가 함유된 검은 연기를 발생시켜 인체에도 해롭다는 점도 짚었다.

그는 “전에는 불이 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할로겐이 들어간 접착제를 사용하기도 했는데, 이런 건 현장에서 접착제를 다루는 사람에게 굉장히 치명적”이라며 “무기질 접착제는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들어있지 않다”고 덧붙였다.


수성착색제…친환경이 곧 안전
[화학제조산업대전] '친환경이 곧 안전이다' 화학산업 친환경 엿보다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친환경 안료와 물, 분산제 등을 섞어 만든 수성 착색제


파란 휴대폰, 빨간 자동차 등 우리 주변에는 다양한 색상의 공산품이 있다. 착색제는 이런 제품들에 색상을 입혀주는 산업의 기본 재료 중 하나다.

수성착색제를 제조하는 실버스타케미칼의 박병진 기술부 과장은 “친환경 착색제는 인체해 무해한, 곧 안전한 착색제를 뜻한다”고 말했다.

이 업체에서 만드는 착색제는 안료와 물, 그리고 안료를 잘 용해시키는 분산제 등과 섞어 만든 친환경 수성 착색제다.

그간 안료의 경우 기름과 같은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섞어 유성 착색제 제품 위주로 산업 현장에서 사용됐지만, 이는 인체에 해로운 독성을 띄고 있어 문제가 됐다는 게 업체 측의 설명이다.

유성 착색제로 인한 대표적인 독성 문제에는 새집증후군이 있다. 유성 착색제를 섞어 만든 유성 페인트의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성분은 알레르기, 천식, 아토피 등 질병뿐만 아니라 대기오염도 발생시킨다.

박 과장은 “앞으로 독성이 있는 제품은 시장에서 배제 될 것으로 본다”라며 “환경에 관한 수요가 높아지는 추세니 안료도 친환경 제품 위주로 성장할 것이다” 고 전망했다.
강현민 기자
khm546@industryjournal.co.kr


0 / 1000


많이 본 뉴스

[기획 2편] “인간형 로봇의 꿈, 기술보다 더 느리게 걷는다”

2021년, 일론 머스크는 “앞으로 육체노동은 선택이 될 것”이라며 ‘옵티머스(Optimus)’라는 이름의 인간형 로봇을 세상에 소개했다. 단순한 기계가 아니라, 인간처럼 걷고 말하며 노동을 수행할 수 있는 ‘진짜 로봇’의 탄생이었다. 그는 이 로봇이 테슬라 차량보다 더 큰 가치를 창출할

[기획 1편] 인간의 일을 넘겨받은 기계, Figure 03의 선언

“인간형일 필요는 없었다…그러나 인간의 자리로 들어왔다” 인간은 오랫동안 ‘일’을 통해 자신의 존재를 증명해왔다. 하지만 지금, 이 전제가 흔들리고 있다. 로봇이 현장을 대체하고, 인공지능이 생각을 모방하며, 일하는 인간의 자리가 서서히 해체되고 있다. 본지는 이 흐름 속에서

[심층] ‘유령기지국’ 통한 소액결제 피해…디지털 인증 체계의 사각지대

경기 광명시와 서울 금천구에서 KT 이용자를 중심으로 소액결제 피해가 다수 보고되면서, 불법 초소형 기지국, 이른바 ‘유령기지국’ 개입 가능성이 제기됐다. KT는 9일 일부 통화 기록에서 실존하지 않는 기지국 ID가 확인됐다고 밝혔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민관합동조사단을 꾸려 현장

[심층기획] “기술을 지켰다면, 사업은 무너지지 않았다”

기술을 빼앗겼다는 확신이 들었을 때, 그는 너무 늦었음을 깨달았다. 함께 개발하자며 도면을 요청한 상대는, 이후 연락을 끊었고 몇 달 뒤 유사한 제품을 출시했다. 계약서에는 권리 귀속 조항이 없었고, 그가 증거라고 주장한 파일은 상대 기업의 서버에 있었다. 법원은 입증 부족을 이유로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