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카드뉴스] 바닷물에 녹는 플라스틱?…산업부 "국내 실증화 첫 성공"

산업부, 생분해성 플라스틱 생태계 활성화에 총력 다할 것

[카드뉴스] 바닷물에 녹는 플라스틱?…산업부 "국내 실증화 첫 성공" - 산업종합저널 동향
[카드뉴스] 바닷물에 녹는 플라스틱?…산업부 "국내 실증화 첫 성공" - 산업종합저널 동향
[카드뉴스] 바닷물에 녹는 플라스틱?…산업부 "국내 실증화 첫 성공" - 산업종합저널 동향
[카드뉴스] 바닷물에 녹는 플라스틱?…산업부 "국내 실증화 첫 성공" - 산업종합저널 동향
[카드뉴스] 바닷물에 녹는 플라스틱?…산업부 "국내 실증화 첫 성공" - 산업종합저널 동향
[카드뉴스] 바닷물에 녹는 플라스틱?…산업부 "국내 실증화 첫 성공" - 산업종합저널 동향
[카드뉴스] 바닷물에 녹는 플라스틱?…산업부 "국내 실증화 첫 성공" - 산업종합저널 동향








자그마치 500년. 환경오염의 주범 중 하나인 플라스틱 폐기물이 자연으로 돌아가는 데 걸리는 시간이라고 합니다. 환경부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플라스틱 배출량은 세계3위로 1인당 연간 배출량은 88kg에 달한다고 하는데요.

석유에서 추출한 원료를 결합해 만든 기존의 플라스틱은 저렴한 가격과 가공이 쉬워 다양한 용도에서 활용이 불가피하지만, 분해가 어려워 폐기하는 데 곤란을 겪고 있습니다.

이러한 난점을 극복하기 위해 생분해성 플라스틱이 등장했는데요. 옥수수나 생물자원 등으로 만든 이 플라스틱은 토양이나 해양, 수계 등에서 특정 기간 동안 90% 이상 생분해되도록 만들어집니다.

28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국내 한 식품기업이 국내 환경에서 최초로 생분해성 플라스틱 실증에 성공했다는데요. 100% 바이오매스(생물유기체) 원료로, 바다 속에서 생분해가 가능한 플라스틱 소재로 만들었다고 합니다.

사실,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꽤 오래전부터 거론된 친환경 소재인데요. 국내 실증 인프라 구축이 미비해, 국내 연구개발 및 실증화에 애로가 있었다고 합니다. 이번 사례에 산업부는 해외에 의존 중인 토양 및 해양에서의 생분해도·생태독성 평가 등 국내 환경의 인프라 구축을 지원했다는데요.

이번 국내 실증 성공으로 산업부 이재훈 소재부품장비협력관은 '생분해성 플라스틱 연구개발 기간을 단축하고, 인증 비용을 절감해 향후 관련 산업 생태계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이다'라고 기대감을 표했습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카드뉴스]올해 금융업계 디지털 전환 트렌드는?

최근 금융업계는 디지털 전환기를 통해 금융 생태계가 변화하고 있는데요. 업계 간 치열한 경쟁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선 빠르게 변화하는 트렌드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나금융연구소의 ‘2023년 은행 디지털 전환 트렌드’에 따르면, 많은 금융기관들이 디지털 기술에 대한 투자와 고객경험

[카드뉴스]높은 광물 의존도…국내에선 리튬·티타늄 광맥 발견

탄소중립을 비롯해 주요 산업의 변화, 공급망 리스크 등으로 어느 때보다 자원 안보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여러 자원 가운데서도 핵심광물의 중요도 또한 높아지고 있습니다. 전기차 배터리를 비롯해 태양광·풍력, 우주·항공산업 등 주요 산업에 리튬, 희토류, 텅스텐 등의 광물이 핵

[카드뉴스] 불붙은 ‘탄소 포집·활용·저장 기술(CCUS)’ 경쟁... 정부가 발 벗고 나서야

대한상공회의소는 지난 17일 ‘국내 탄소 포집·활용·저장 기술(CCUS) 현황과 과제’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최태원은 “현재 세계 주요국들은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주요 핵심기술로 CCUS에 주목하고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CCUS는 화석연료 사용 과정에서 배출되는 탄소를

[카드뉴스] 인간과 인공지능의 환상의 호흡, 휴먼인더루프

“저는 24시간 다양한 문의를 신속하게 도와드리는 AI상담사에요.” 한 기업 고객센터에 전화를 걸자 인공지능(AI) 상담사가 전화를 받습니다. 머신러닝, 딥러닝 기술과 함께 진화한 인공지능은 이제 우리에게 친숙한 기술이 됐는데요. 인공지능은 방대한 데이터를 단기간에 학습할 수 있어 지

[카드뉴스]한국 첨단전략산업 개발 5개년 계획 수립

정부가 ‘제1차 국가첨단전략산업 육성·보호 기본계획(이하 첨단산업 기본계획)’을 확정했습니다. 작년 8월 「국가첨단전략산업법」시행 후 처음 수립되는 계획으로, 기존 3개 첨단전략산업(반도체, 디스플레이, 이차전지)에 바이오까지 추가했습니다. 첨단산업은 높은 기술장벽으로 주도권을 확보한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