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중대재해처벌법 현황, 노무사 관련 개정안 통과···법조계 반발

공인노무사회, 중처법 모호성 및 혼란 잠재울 수 있도록 최선 다할 것

정부는 근로자의 보건 및 안전에 대한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지난 1월, 중대재해처벌법을 시행했다. 이에 많은 경영인들은 회사 내 안전보건책임자(CSO)를 임명하는 등 체제에 대한 대응을 지속하고 있다.

하지만 현행 법 취지와는 달리, 경영계가 처벌을 회피하기 위해 법률 서비스에 의존하는 구도로 전락했다는 것이 노동계의 입장이다.

이와 관련, 본지는 산업안전보건법에 대한 해외 사례를 알아보고, 중대재해처벌법에 대한 현 상황에 대해 파악해봤다.

중대재해처벌법 현황, 노무사 관련 개정안 통과···법조계 반발 - 산업종합저널 정책
자료=123RF

중대재해처벌법 해외사례 법안···국내 법과 비슷하지만 개인처벌 조항 달라

현재 해외 국가 중 영국, 캐나다, 호주가 국내 중대재해처벌법과 유사한 현행법을 시행 중이다. 세 국가의 현행법을 살펴보면, 영국은 2007년 기업과실치사법을 제정했다. 그러나 이 법은 최고 경영자를 처벌하는 국내 법안과 달리, 개인에 대한 처벌 조항이 없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건설연)에 따르면, 영국은 산업재해 발생으로 인한 기업의 경영진을 포함한 개인에 대한 처벌은 산업안전보건법과 형법상 업무상과실차사죄가 적용되며, 기업과실치사법은 법인에 대한 처벌만 가능하다.

캐나다의 경우에는 1992년 웨스트레이 광산 폭발 사고로 26명의 광부가 목숨을 잃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를 계기로 당국은 2004년 중대재해처벌법과 비슷한 웨스트레이법을 제정했다.

호주는 연방법상 8개 주 중 4개 주에서 산업안전보건법과 형법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처벌 대상은 국내와 동일하게 법인 및 고위경영진에 대한 처벌이 가능하지만, 개인 처벌의 경우, 하한형 없이 상한형만 명시하고 있다는 게 건설연의 설명이다.

건설연은 향후 중대재해처벌법 정책 방향에 대해 ‘중대재해는 과실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에 고의범에게 적용되는 개인처벌에 대한 하한형을 삭제하고 중과실에 한정해 처벌하는 등 합리적인 처벌 조항 마련이 필요하다’고 했다.

노무사 직무 범위에 중대재해처벌법 포함한 개정안 통과

중대재해처벌법 현황, 노무사 관련 개정안 통과···법조계 반발 - 산업종합저널 정책
자료=123RF

지난달 2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는 노무사 직무 범위에 중대재해처벌법과 가사근로자법을 포함한 개정안이 통과해 법조계가 강한 반발에 나섰다. 이는 형사소송법인 중대재해처벌법에 관한 법률상담을 공인노무사가 진행하는 것이 타당하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A법무법인 중대재해처벌법 담당 관계자는 본지와의 통화에서 “중대재해처벌법 이전 적용했던 산업안전보건법은 행정법이지만, 현행 법안은 형사소송법에 해당한다”면서 “형사법에 익숙하지 않는 노무사가 해당 법률 상담을 진행할 경우, 의뢰인의 피해가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영세 사업자들은 오히려 이번 개정안을 반기는 분위기다. 오는 2024년 50인 미만 사업장에서도 중대재해처벌법이 적용되기 때문에 수임료가 비싼 로펌에 한정되기보다는 공인노무사의 조력으로 현행법에 대한 대응이 한 층 더 수월해졌다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대형로펌들이 법률 시장을 독식하려는 게 아니냐는 문제를 지적하기도 했다.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 대기업들은 중대재해처벌법에 대한 컨설팅을 지원받기 위해 대형로펌을 중심으로 막대한 비용을 지불하면서 여론의 뭇매를 맞았다.

공인노무사회 관계자는 “현재 개정안으로 인해 법조계가 반발하고 있는 것은 알고있다”면서도 “이번 개정안을 통해 중처법에 대한 모호성과 혼란을 잠재울 수 있도록 우리 노무사들 또한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기획 2편] “인간형 로봇의 꿈, 기술보다 더 느리게 걷는다”

2021년, 일론 머스크는 “앞으로 육체노동은 선택이 될 것”이라며 ‘옵티머스(Optimus)’라는 이름의 인간형 로봇을 세상에 소개했다. 단순한 기계가 아니라, 인간처럼 걷고 말하며 노동을 수행할 수 있는 ‘진짜 로봇’의 탄생이었다. 그는 이 로봇이 테슬라 차량보다 더 큰 가치를 창출할

[기획 1편] 인간의 일을 넘겨받은 기계, Figure 03의 선언

“인간형일 필요는 없었다…그러나 인간의 자리로 들어왔다” 인간은 오랫동안 ‘일’을 통해 자신의 존재를 증명해왔다. 하지만 지금, 이 전제가 흔들리고 있다. 로봇이 현장을 대체하고, 인공지능이 생각을 모방하며, 일하는 인간의 자리가 서서히 해체되고 있다. 본지는 이 흐름 속에서

[심층] ‘유령기지국’ 통한 소액결제 피해…디지털 인증 체계의 사각지대

경기 광명시와 서울 금천구에서 KT 이용자를 중심으로 소액결제 피해가 다수 보고되면서, 불법 초소형 기지국, 이른바 ‘유령기지국’ 개입 가능성이 제기됐다. KT는 9일 일부 통화 기록에서 실존하지 않는 기지국 ID가 확인됐다고 밝혔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민관합동조사단을 꾸려 현장

[심층기획] “기술을 지켰다면, 사업은 무너지지 않았다”

기술을 빼앗겼다는 확신이 들었을 때, 그는 너무 늦었음을 깨달았다. 함께 개발하자며 도면을 요청한 상대는, 이후 연락을 끊었고 몇 달 뒤 유사한 제품을 출시했다. 계약서에는 권리 귀속 조항이 없었고, 그가 증거라고 주장한 파일은 상대 기업의 서버에 있었다. 법원은 입증 부족을 이유로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