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중대재해처벌법 현황, 노무사 관련 개정안 통과···법조계 반발

공인노무사회, 중처법 모호성 및 혼란 잠재울 수 있도록 최선 다할 것

정부는 근로자의 보건 및 안전에 대한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지난 1월, 중대재해처벌법을 시행했다. 이에 많은 경영인들은 회사 내 안전보건책임자(CSO)를 임명하는 등 체제에 대한 대응을 지속하고 있다.

하지만 현행 법 취지와는 달리, 경영계가 처벌을 회피하기 위해 법률 서비스에 의존하는 구도로 전락했다는 것이 노동계의 입장이다.

이와 관련, 본지는 산업안전보건법에 대한 해외 사례를 알아보고, 중대재해처벌법에 대한 현 상황에 대해 파악해봤다.

중대재해처벌법 현황, 노무사 관련 개정안 통과···법조계 반발 - 산업종합저널 정책
자료=123RF

중대재해처벌법 해외사례 법안···국내 법과 비슷하지만 개인처벌 조항 달라

현재 해외 국가 중 영국, 캐나다, 호주가 국내 중대재해처벌법과 유사한 현행법을 시행 중이다. 세 국가의 현행법을 살펴보면, 영국은 2007년 기업과실치사법을 제정했다. 그러나 이 법은 최고 경영자를 처벌하는 국내 법안과 달리, 개인에 대한 처벌 조항이 없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건설연)에 따르면, 영국은 산업재해 발생으로 인한 기업의 경영진을 포함한 개인에 대한 처벌은 산업안전보건법과 형법상 업무상과실차사죄가 적용되며, 기업과실치사법은 법인에 대한 처벌만 가능하다.

캐나다의 경우에는 1992년 웨스트레이 광산 폭발 사고로 26명의 광부가 목숨을 잃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를 계기로 당국은 2004년 중대재해처벌법과 비슷한 웨스트레이법을 제정했다.

호주는 연방법상 8개 주 중 4개 주에서 산업안전보건법과 형법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처벌 대상은 국내와 동일하게 법인 및 고위경영진에 대한 처벌이 가능하지만, 개인 처벌의 경우, 하한형 없이 상한형만 명시하고 있다는 게 건설연의 설명이다.

건설연은 향후 중대재해처벌법 정책 방향에 대해 ‘중대재해는 과실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에 고의범에게 적용되는 개인처벌에 대한 하한형을 삭제하고 중과실에 한정해 처벌하는 등 합리적인 처벌 조항 마련이 필요하다’고 했다.

노무사 직무 범위에 중대재해처벌법 포함한 개정안 통과

중대재해처벌법 현황, 노무사 관련 개정안 통과···법조계 반발 - 산업종합저널 정책
자료=123RF

지난달 2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는 노무사 직무 범위에 중대재해처벌법과 가사근로자법을 포함한 개정안이 통과해 법조계가 강한 반발에 나섰다. 이는 형사소송법인 중대재해처벌법에 관한 법률상담을 공인노무사가 진행하는 것이 타당하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A법무법인 중대재해처벌법 담당 관계자는 본지와의 통화에서 “중대재해처벌법 이전 적용했던 산업안전보건법은 행정법이지만, 현행 법안은 형사소송법에 해당한다”면서 “형사법에 익숙하지 않는 노무사가 해당 법률 상담을 진행할 경우, 의뢰인의 피해가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영세 사업자들은 오히려 이번 개정안을 반기는 분위기다. 오는 2024년 50인 미만 사업장에서도 중대재해처벌법이 적용되기 때문에 수임료가 비싼 로펌에 한정되기보다는 공인노무사의 조력으로 현행법에 대한 대응이 한 층 더 수월해졌다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대형로펌들이 법률 시장을 독식하려는 게 아니냐는 문제를 지적하기도 했다.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 대기업들은 중대재해처벌법에 대한 컨설팅을 지원받기 위해 대형로펌을 중심으로 막대한 비용을 지불하면서 여론의 뭇매를 맞았다.

공인노무사회 관계자는 “현재 개정안으로 인해 법조계가 반발하고 있는 것은 알고있다”면서도 “이번 개정안을 통해 중처법에 대한 모호성과 혼란을 잠재울 수 있도록 우리 노무사들 또한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탄소중립 현실적 대안으로 떠오르는 CCUS…상용화엔 ‘난항’

탄소중립 실현의 현실적 대안으로 탄소 포집·활용·저장 (Carbon Capture Utilization and Storage, 이하 CCUS)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CCUS란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다른 에너지원으로 재활용 하거나 저장을 통해 외부 유출을 막는 기술을 일컫는다. CCUS는 설비 도입만으로도 배출된

[MICE 산업과 환경②]폐기물 배출량은 얼마나?

도심 곳곳에서는 주마다 다양한 전시회가 열리고 있다. 지금도 전시장 한 편에선 다음 열릴 행사를 위한 준비로 분주한 모습이다. 행사 규모와 취지에 맞게 플라스틱이며 철근, 나무 목재 따위로 전시장은 매주 새로운 옷을 갈아입는다. 부스를 제작하는 데 활용하고 남은 자재들의 행방이 궁금해

산업재해 예방 위한 다양한 ‘스마트 안전 장비’

지난 1월 27일 시행한 중대재해처벌법(이하 중처법)은 각 분야 산업계가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갖는 계기가 됐다. 최근에는 현장 내 안전관리자의 애로사항과 근로자의 안전을 위한 다양한 스마트 안전 장비가 꾸준히 개발되고 있는 추세다. 이에 본지 기자는 최근 일산 킨텍스(KINTEX)

[MICE 산업과 환경①] 마이스 산업, 지역사회 경제활동 부흥···이면에는 환경 문제 대두

도심 곳곳에서는 주마다 다양한 전시회가 열리고 있다. 지금도 전시장 한 편에선 다음 열릴 행사를 위한 준비로 분주한 모습이다. 행사 규모와 취지에 맞게 플라스틱이며 철근, 나무 목재 따위로 전시장은 매주 새로운 옷을 갈아입는다. 그렇다면 부스를 제작하는 데 활용하고 남은 자재들은 어디

[제조 현장의 인공지능①] 제조공정 효율화·제품 품질관리 활용되는 인공지능

많은 데이터를 단기간에 학습할 수 있는 인공지능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이다.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2023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2023 Smart Factory․Automation World)'(이하 전시회)에서 인공지능이 실제 산업 현장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살펴봤다. 전시회에서 만난 김현용 충북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