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카드뉴스] 온실가스 감축 목표 위한 협의체 구성

‘배출권거래제 선진화 협의체’, 현장 의견 반영해 제도 개선할 것

[카드뉴스] 온실가스 감축 목표 위한 협의체 구성 - 산업종합저널 에너지
[카드뉴스] 온실가스 감축 목표 위한 협의체 구성 - 산업종합저널 에너지
[카드뉴스] 온실가스 감축 목표 위한 협의체 구성 - 산업종합저널 에너지
[카드뉴스] 온실가스 감축 목표 위한 협의체 구성 - 산업종합저널 에너지
[카드뉴스] 온실가스 감축 목표 위한 협의체 구성 - 산업종합저널 에너지
[카드뉴스] 온실가스 감축 목표 위한 협의체 구성 - 산업종합저널 에너지
[카드뉴스] 온실가스 감축 목표 위한 협의체 구성 - 산업종합저널 에너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2050 탄소중립을 목표로 설정한 정부는‘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도(이하 배출권거래제)(GHG Emissions Trading Scheme)’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배출권거래제의 활성화를 위해 환경부는 15일, ‘배출권거래제 선진화 협의체(이하 협의체)’를 통해 이를 시행하고 있는 기업의 목소리를 듣고 제도를 개선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협의체는 관계부처 및 대표기업과 협회 구성원, 전문가로 구성했으며, ▲제도개선 ▲유상할당 ▲배출효율 기준할당(BM할당)의 3개 분과로 운영합니다. 먼저, 제도개선 분과에서는 현장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용해 기업의 참여를 확대하고 사업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마련합니다.

유상할당 분과와 BM할당 분과는 배출권의 효율적 배분 및 유럽연합의 탄소국경제 도입 등에 따른 국제기준의 배출할당을 만족하기 위한 논의를 합니다. 일반적으로 배출권할당은 유상할당과 무상할당의 두 가지 방식으로 나누며, 무상할당의 방식으로 업체 생산량을 고려해 배출권을 배분하는 배출효율 기준할당제가 있습니다.

환경부 기후경제과 관계자는 본지와의 통화에서 “협의체는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를 보다 적극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만들어진 자리”라며 탄소중립이라는 국가목표에 관련된 사항들을 논의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회의를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또한, 16일 진행한 첫 회의에서 향후 방향성을 논의한 협의체는 추후 진행하는 회의를 통해 업체 관계자들을 직접 만나고, 업종별, 산업별로 구체적인 배출권거래제 개선을 논의할 방침입니다.
박윤서 기자
yspark@industryjournal.co.kr


0 / 1000


많이 본 뉴스

[카드뉴스] 저출산·고령화 위기, AI 기반 생산성 혁신이 해답

한국의 저출산·고령화 현상이 가속화되면서 노동력 감소와 경제 성장 둔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카드 1: 2024년 합계출산율 0.75명, 여전히 세계 최저 수준 2050년 취업자 평균연령 53.7세, OECD 평균(43.8세)보다 10세 높아질 전망 노동력 감소→잠재성장률 하락 위험 이러한 변화에 대

[카드뉴스] AI, 2025년 어디까지 왔나?

카드뉴스 1 AI는 더 이상 실험실의 기술이 아닙니다. 이미 의료, 제조, 교육, 교통 등 실생활 곳곳에 깊숙이 자리 잡았습니다. AI가 내리는 진단, 자율주행차, 맞춤형 교육이 현실이 되었습니다. 카드뉴스 2 생성형 AI의 일상화 텍스트, 이미지, 영상까지 만들어내는 생성형 AI가 콘텐츠 제

[카드뉴스] 올해 IoT의 미래를 바꿀 8가지 키워드

카드뉴스 1 2030년, IoT 연결 장치 400억 대 시대! 2030년까지 전 세계 IoT 기기 수가 400억 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집, 자동차, 공장 등 우리 생활 곳곳이 더 촘촘하게 연결됩니다. 카드뉴스 2 2025년, IoT의 핵심 트렌드는? 올해 IoT는 AI, 5G, 엣지 컴퓨팅 등 첨단 기술과 결합해

[카드뉴스] 얼어붙은 소비심리와 위축된 소매시장

카드 1: 소비심리, 3분기 연속 하락 대한상의 조사 결과, 1분기 소매유통업 경기전망지수(RBSI)는 77로 집계됐습니다. 고물가와 고금리, 그리고 경제 불확실성이 소비 심리를 위축시키고 있습니다. 소비시장의 장기 침체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카드 2: 소비시장 위축시키는 주요 요인 소비심리

[카드뉴스] 따뜻한 기술, AI로 만드는 행복한 노후

카드 1: AI, 어르신 돌봄의 새 지평을 열다 고령화 사회에 대비해 AI 기술이 어르신 돌봄 서비스에 혁신을 가져오고 있습니다. 정부와 기업들의 노력으로 어르신들의 삶의 질이 크게 향상되고 있습니다. 카드 2: AI 로봇, 어르신의 든든한 동반자 '반려로봇 다솜이'와 같은 AI 로봇이 어르신들과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