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자동차 산업 메가트렌드, 전동화②]전기자동차 시대, 변화하는 소재·부품·장비

자동차 부품업계, 부품 무게 절감 및 전류 관리 필요성 커져

전동화가 자동차 산업의 메가트렌드로 급부상하면서 관련 소재‧부품‧장비 업계에도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2023 서울모빌리티쇼(SEOUL MOBILITY SHOW)'에서 자동차 부품 기업을 찾아 구체적인 변화를 살펴봤다.

전기차 부품업계는 ‘다이어트 열풍’

전기자동차 부품업계의 최대 과제는 ‘다이어트’다. 연비를 높이고 안정적인 주행성능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고용량의 배터리를 탑재해야 하지만, 배터리 용량이 클수록 무겁고 부피도 커져 다른 부분에서 무게를 절감해야 하기 때문이다.

전기자동차는 동급의 내연기관차보다 무게가 많이 나간다. 현대 쏘나타의 공차중량은 1천415~1천545킬로그램(kg)인데 비해, 동급의 전기차 아이오닉6는 1천930킬로그램(kg)에 달한다. 내연기관을 제거했음에도 추가되는 배터리의 무게 때문에 총 중량이 늘어나는 것이다.

이상현 대원강업주식회사(이하 대원강업) 선임연구원은 “배터리 용량을 늘리기 위해 다른 부품의 무게를 줄이는 추세”라면서, “최근 부품업체들은 FRP(섬유강화수지), 탄소섬유, 알루미늄 등 경량화 소재를 사용하며 무게 줄이기에 힘쓰고 있다”고 말했다.
[자동차 산업 메가트렌드, 전동화②]전기자동차 시대, 변화하는 소재·부품·장비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코일스프링

대원강업은 타이어에서 차체로 이어지는 부분을 지지하는 ‘코일스프링’, 조향 시 쏠림을 억제하는 ‘스테빌라이저’를 선보였다. 이상현 선임연구원은 “더 많은 무게를 지지할 수 있도록 설계하면서도 부품 자체의 무게는 가볍게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전류 분배 위한 인버터

엔진에서 전기 모터로 구동계가 변화하면서 추가되는 부품도 있다. 대표적인 것이 배터리의 전류를 각 모터에 분배하는 ‘인버터’다. 배터리에서 출력되는 전원은 직류(DC)다. 모터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이를 교류(AC)로 변환해야 하는데, 인버터가 그 역할을 수행한다.

인버터에는 제어연산 및 고장 진단 기능을 수행하는 MCU(Main Control Unit)가 탑재된다. MCU는 현재 모터 및 인버터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VCU(Vehicle Control Unit, 차량 제어 유닛)에 전달하고, 전류‧전압‧위치 센서의 값을 읽어 현재 주행 상황에 적합한 회전량을 바퀴에 전달한다.
[자동차 산업 메가트렌드, 전동화②]전기자동차 시대, 변화하는 소재·부품·장비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인버터

전기차용 인버터를 전시한 효성전기 관계자는 “배터리 용량에 따라 인버터 여러 개가 탑재될 수도 있다”면서, “전동카트처럼 소형 모델에 들어가는 인버터부터 대형차에 들어가는 제품까지 다양한 용도의 인버터를 준비했다”고 말했다.

늘어나는 전기모터, 전류관리 필요성 커져

전기를 사용하는 부품이 늘어나면서 전류 관리의 필요성도 커졌다. 김환배 슝크카본테크놀로지(이하 슝크) 대리는 “내연기관과 함께 시동을 걸기 위한 스타트모터가 사라지고, 내부적으로 작은 전기 모터가 증가했다”면서, “전류를 제어하는 부품이 추가된다”고 말했다.
[자동차 산업 메가트렌드, 전동화②]전기자동차 시대, 변화하는 소재·부품·장비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샤프트 그라운딩

슝크는 모터의 회전축에 접지해 전류를 안정적으로 흐르게 제어하는 ‘샤프트 그라운딩’을 소개했다.

전기모터가 회전할 때 회전축(샤프트)에는 모터와 인버터의 남은 전류가 흐르게 된다. 김환배 대리는 “남은 전류를 제어하지 않으면 전류의 파장이 들쭉날쭉해져 효율이 떨어진다”면서, “베어링에 전류가 닿으면 산화를 가속화하고, 그리스(윤활유)를 녹여 화재를 발생시킬 위험도 있다”고 필요성을 설명했다.

→ [자동차 산업 메가트렌드, 전동화③]에서 이어집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자동차 산업 메가트렌드, 전동화①]전문가의 눈으로 본 자동차 산업 변화

전기자동차의 시대가 열리고 있다. ‘2023 서울모빌리티쇼(SEOUL MOBILITY SHOW 2023)’에 참여한 완성차 업체들은 모두 ‘전동화’의 흐름을 이어갈 것이라고 발표했다. 완성차 기업뿐이 아니다. 애플을 비롯한 거대 ICT기업들도 전기차 시장에 진입하고 있다. 소비자도 적극적이다. EV트렌드코리

[공동주택 급배수관 소음과의 전쟁①]지하 기계실부터 감압밸브까지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서 소음은 거주자의 쾌적한 생활을 방해하는 요소다. 한 장의 벽이나 바닥을 사이에 두고 여러 세대가 생활하기 때문에 그 소음원도 다양한데, 그 중 물을 사용해 발생하는 ‘급배수소음’도 주요 원인으로 지적된다. 급배수소음은 경우에 따라 강도가 다르고 때로는 무시

[제조 현장의 인공지능①] 제조공정 효율화·제품 품질관리 활용되는 인공지능

많은 데이터를 단기간에 학습할 수 있는 인공지능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이다.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2023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2023 Smart Factory․Automation World)'(이하 전시회)에서 인공지능이 실제 산업 현장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살펴봤다. 전시회에서 만난 김현용 충북

디지털트윈 핵심,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

디지털트윈 기술을 사용하면 설계 단계에서 사업의 모든 체계를 사전에 가시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 이후에 시스템 동작의 효율성을 높인다. 디지털트윈 기술의 핵심적 요소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 디지털트윈 기술의 활용범위는 사실상 무한하다. 디지털트윈 기술은 작게는 게임과 애니

[공동주택 급배수관 소음과의 전쟁②]세대 내부 배관

코로나19 사태를 거치며 공동주택의 소음 저감 문제가 표면으로 떠올랐다. 직접적인 충격으로 인한 층간소음 뿐 아니라, 물의 흐름에 따라 발생하는 ‘급배수소음’도 공동주택 갈등의 주요 원인이다. 지난 12일 폐막한 ‘대한민국 기계설비전시회 2023(HVAC KOREA 2023, 이하 전시회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