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뉴스그래픽]생성형 AI의 급성장과 함께 기대되는 산업은?

네트워크, DPU, EDA·파운드리 등 데이터 관련 산업 성장 전망

[뉴스그래픽]생성형 AI의 급성장과 함께 기대되는 산업은? - 산업종합저널 기타

챗GPT는 출시 후 4개월 만에 초기의 단점을 빠르게 극복하고 있다. 개인의 관심을 바탕으로 대규모 사용자 데이터를 확보하면서 알고리즘은 더 발전했고, 다양한 기업이 챗GPT의 한계를 보완하는 서비스를 내놓고 있다.

또한, 초기 단계임에도 대부분의 산업 영역에서 생성형 AI를 적용하려는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다. 생성형 AI가 가장 빠르게 적용될 부분은 일러스트를 그리거나 코딩을 대신하는 등 일부 업무를 대체해 업무 생산성을 개선하는 분야다. 사람만큼 완벽하지는 않지만 작업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다.

미래에셋증권 리서치센터의 ‘생성 AI, 제2의 기계시대(이하 보고서)’ 보고서는 생성형 AI 시장이 폭발적인 성장의 시작점에 있다고 판단했다. 개인의 뜨거운 관심을 바탕으로 기업이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고, 이것이 다시 새로운 사용자를 불러오는 선순환 구조를 완성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생성AI의 성장과 함께 기대되는 산업 분야는 무엇일까. 보고서는 네트워크, DPU, EDA·파운드리 등 데이터와 관련된 산업이 빠르게 발전할 것으로 예상했다.

AI의 발전을 위해서는 수많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프로세서의 발전이 필요하다. 하지만 데이터의 이동 속도가 뒷받침해주지 않는다면 프로세서의 능력도 의미가 없다. 네트워크가 주목받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실제로 지난해 글로벌 네트워크 업체들의 실적은 꾸준히 증가했다. 또한,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들과 프로세서 업체들이 네트워크 시장에 지속적으로 진입하고 있다.

DPU(데이터처리장치)는 데이터센터 내부의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등 다양한 기기의 동작을 최적화해 데이터 전송 효율을 높이는 반도체다. 아직 시장 성장 초기 단계지만, 처리해야 할 데이터의 양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면서 그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엔비디아, AMD, 인텔 등 여러 반도체 기업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

새로운 반도체 개발에 필요한 EDA(Electronic Design Automation) 및 파운드리 시장도 성장할 전망이다. 보고서는 ▲반도체 설계에 필요한 EDA ▲IP(Intellectual Property, 반도체 설계자산)의 강점을 보유한 업체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주문형 반도체) ▲반도체를 생산하는 파운드리 업체가 생성형 AI산업의 수혜를 입을 것으로 내다봤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뉴스그래픽]9월 산업활동, 선행 및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 흐름 상이

국내 전월대비 9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0.1%p 하락,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0.1%p 상승할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3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9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9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99.2로 전월대비 0.1p 하락했다. 순환변동치가 100 미만이면 추세보다

[뉴스그래픽] ‘직원경험’…기업 성장의 새로운 기준으로 떠올라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직원들이 회사에 기대하는 기준이 변화하면서 이에 대응하지 않으면 유능한 인재를 놓칠 수 있는 상황에 몰리고 있다. 이로 인해 직원경험(EX)을 높이는 것이 기업의 우선 순위로 떠오르고 있다. 최근 워크데이 기자간담회에 참석한 이미라 한국타이어 ESG 위원장겸 사외이

[뉴스그래픽] 2023년 기계산업, 경기 침체 분위기 속 긍정적 요인 존재

올해 한국의 기계산업 경기가 안정 또는 침체 분위기가 이어지지만, 약간의 긍정적 요인과 기회가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기계연구원(KIMM)이 최근 발표한 ‘기계산업 2022년 성과와 2023년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기계산업의 생산은 전년대비 3.9% 증가한 112

[뉴스그래픽]직업 전문가, “인공지능은 일자리 빼앗지 않아…변화시킬 뿐”

인공지능은 커다란 변화를 몰고 올 4차 산업혁명의 대표 기술이지만, 이를 바라보는 시선엔 두려움과 기대가 혼재돼 있다. 고된 노동으로부터 인간을 해방시켜 줄 것이라는 기대와 인공지능 로봇에게 일자리를 뺏길 것이라는 두려움이 동시에 존재하는 것이다. 직업 전문가들은 인공지능의 ‘직무

[뉴스그래픽] 전경련, “‘이트모’ 확보위해 ‘한국형 국제감축모델’ 개발해야”

정부가 지난 21일 '제1차 국가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2023∼2042년) 정부안을 발표한 가운데, 국제 감축사업을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는 ‘파리협정’ 체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한 일본의 국제 감축 전략을 벤치마킹해 한국형 국제 감축 모델을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