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국토교통 기술대전(이하 기술대전)’에서 교통소외지역과 교통약자를 위한 자율주행 Lv4 기반 이동지원 솔루션이 참관객들에게 선보였다.
해당 솔루션은 국토교통부의 과제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합작해 개발했다. 부스에 전시된 자율주행차량에는 센서 12개(카메라 8개, 라이다 3개, 레이더 1개)가 탑재돼 참관객과 전시품을 비롯한 차량 주변 상황을 인식한다.
ETRI 김진우 선임연구원은 “자율주행 Lv4를 목표로 개발 중이며, 2025년 후반 교통소외지역에서 2년 간 10대 정도 주행할 계획”이라며 “차량 위에 90도로 부착한 라이다 센서를 통해 차량 옆면의 사각지대까지 해소했다”라고 말했다.
그는 자율주행 Lv4에 대해 묻자 “자율주행 Lv4가 단순히 운전자 유무로 구별한다는 말은 오해”라며 “핵심은 자율주행이 불가한 상황에서 운전자에게 알리고, 일정시간 반응이 없을 시 차량이 반응해 정차 혹은 안전지대로 대피할 수 있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자율주행 Lv3는 따로 알림 없이 운전자가 일정시간 반응이 없어도 자율주행이 풀려버린다는 말도 덧붙였다.
또, 자율주행 Lv4를 위한 법적 과제를 두고 “자율주행을 위해 간단하게 법을 제정하거나 규제를 풀어달라고 할 수는 없다”라고 말했다. 사고 발생 시 자율주행과 운전자의 책임 소재 등 복잡한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현재 4개 국가(일본, 독일, 중국, 미국 일부 주)에서만 자율주행 관련 법을 제정했지만, 그마저도 여러 제한을 둔 상태다.
한편, 국토교통부가 주최하고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이 주관하는 기술대전은 30일까지 코엑스 D홀과 아셈볼룸에서 열린다.
저작권자(c)산업종합저널.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