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건설 경기 침체에 시름하는 소상공인…“생활비만 벌자 하고 일하죠”

건설 용품 취급 구로역 인근 상인들, "매출 많이 줄었다” 토로

건설 경기 침체에 시름하는 소상공인…“생활비만 벌자 하고 일하죠” - 산업종합저널 동향
26일 방문한 구로역 인근 상가

“찾는 사람도, 매출도 줄었죠. 점점 어려워지고 있어요”

26일 구로역 인근의 안전용품 취급점 관계자 A씨는 한숨을 쉬며 말했다. 길어진 건설경기 침체로 건설자재‧공구‧안전용품‧페인트‧건설기계 등 건설 산업 관련 물품을 취급하는 소상공인들도 힘겨운 시간을 보내고 있다.

길어지는 건설경기 침체…건설수주, 거래량 모두 줄어

올해 건설경기는 특히 부진하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하 건산연)이 22일 발표한 ‘건설동향브리핑 925호(보고서)’는 올해 1~7월 건설수주가 전년 동기 대비 21.9% 감소하며 침체된 모습을 보인다고 분석했다.

같은 기간의 건축허가면적도 지난해 대비 25.9% 감소했고, 건축착공면적 또한 39.9% 줄었다.

주택 거래량도 떨어지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1~7월 주택 매매거래량은 32만2천778호로 지난해 동기 대비 7.7% 감소했다. 1~7월 누계 거래량이 40만 호에 미치지 못한 해는 통계 작성 이래 2019년(38만1천457호), 2022년(34만9천860호) 두 해 뿐이었지만, 올해는 2022년을 밑돌며 최저치를 기록했다.

건설경기 침체는 관련 산업에도 영향을 끼친다. 박철한 건산연 연구위원은 보고서를 통해 ‘선행지표인 건설수주 위축은 향후 건설투자 감소를 의미하며, 특히 건설산업 의존도가 높은 지역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고 진단했다.

찾는 사람도, 주문도 줄어든 건설 산업 용품
건설 경기 침체에 시름하는 소상공인…“생활비만 벌자 하고 일하죠” - 산업종합저널 동향

건설경기 침체가 소상공인에게 끼치는 영향을 알아보려 26일 구로역 인근의 관련 상가 밀집 지역을 찾았다. 건설 산업 관련 제품을 유통하는 상인들은 찾는 사람도, 매출도 많이 줄었다고 토로했다.

마대, 비닐 등 건설현장 소모품을 파는 B씨는 “찾아오는 사람이 없으니 장사가 안 되고, 매출도 줄었다”라고 말했다.

공구 업체도, 안전용품점도 마찬가지였다. 공구 유통업체 사장 C씨는 “경기가 안 좋으니 매출도 떨어지고, 기존 거래처에서도 발주를 줄여 상황이 더 어려워지고 있다”면서 “아마 다들 비슷한 상황일 것”이라고 고개를 저었다.

페인트 유통점 관계자 D씨는 아예 일거리 자체가 없어졌다고 설명했다. 수요가 없으니 거래처와 공장도 일을 멈췄고, 건설 현장 뿐 아니라 공장 등 페인트를 사용하는 현장의 일거리가 많이 줄었다는 것이다.
건설 경기 침체에 시름하는 소상공인…“생활비만 벌자 하고 일하죠” - 산업종합저널 동향

건설기계 판매점의 E씨는 건설경기 침체 영향을 묻는 기자의 질문에 표정부터 굳었다. 그는 “매출이랄 게 있나요. 생활비만 벌자 하고 그냥 일하고 있죠”라며 한숨을 내쉬었다.

소상공인은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었다. 박철한 연구위원은 보고서를 통해 '국제유가 상승, 미국의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으로 2024년 상반기까지는 건설경기 부진이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며 '정부는 건설경기 침체의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라고 제언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바이오 인공장기, 의료 혁명 이끌까… 심장이식 대기자들에게 희망

최근 심근경색으로 쓰러져 병원에 긴급 후송된 환자는, 쓰러진 지 5분이 넘은 바람에 심장이 멈췄다. 이 환자는 보조장치인 ECMO(체외막 산소화장치)를 사용하여 연명했지만, 심장은 결국 10일 후에야 다시 뛰었고, 그 기능은 70%에도 미치지 못했다. 결국 이 환자는 사망에 이르게 되었다.

2025년 소비 시장 5대 키워드 'S.N.A.K.E' 제시

대한상공회의소(이하 대한상의)가 2025년 소비 시장을 이끌 5대 키워드로 ‘S.N.A.K.E’를 선정하며, 경기 둔화와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유통 기업들이 생존 전략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한상의는 7일 발표한 ‘2025 유통산업 백서’를 통해 S.N.A.K.E(Survival, Next

이차전지 제조장비, 차세대 기술로 2030년 50조 원 시장 전망

이차전지 제조장비 산업이 2030년까지 50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특히 건식 전극 공정과 전고체 배터리가 차세대 핵심 기술로 주목받으며, 관련 기술 개발과 글로벌 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한국기계연구원(이하 기계연)은 최근 발간한 ‘기계

급증하는 고령층 취업… 일할 의지는 넘치지만 일자리는 부족

대한민국이 초고령사회로 빠르게 진입하면서 60대 이상 고령층의 노동시장 참여가 급증하고 있다. 2025년에는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20.6%에 달해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전망이며, 이에 따라 60대 이상의 일자리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2024년 9월 기준, 60세 이상 취업자

DPP 도입, 국내 기업에 도전이자 기회

2027년부터 EU가 디지털제품여권(DPP) 제도를 순차적으로 의무화하면서, 국내 기업들의 선제적 대응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5일 'EU 디지털제품여권(DPP) 동향 및 GS1 국제표준 기반 대응 가이드라인'을 발표하며, DPP 정책 동향과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디지털제품여권(DP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