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2023 국제 공구 및 스마트 용접 자동화전 17일 개막

세계 경기 불확실성속 공구·용접 업계 위기 극복과 재도약 해법 제시

2023 국제 공구 및 스마트 용접 자동화전 17일 개막 - 산업종합저널 공구

국내외 최첨단 공구 및 스마트 용접 자동화 기기 등을 한눈에 볼 수 있는 2023 국제 공구 및 스마트 용접 자동화전(TOOL TECH + SMART WELDING AUTOMATION FAIR)이 이달 17일부터 20일까지 나흘간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 2홀에서 개최된다.

한국공구공업협동조합(이사장 최용식)과 한국용접공업협동조합(이사장 은종목)이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27회째 개최되는 공구 및 용접 전문 전시회다. 독일, 미국, 중국, 대만 등 12개국에서 150개 기업이 참가해 가정용부터 산업용까지 5만 5천여 종의 고정밀 공구와 스마트 용접기 및 용접로봇 자동화, 레이저 용접·절단기, 모니터링 시스템 등 진일보된 용접 솔루션을 선보인다.

중소기업중앙회 산하 공구제조업체 단체인 한국공구공업협동조합과 용접제조업체 단체인 한국용접공업협동조합이 3회째 협업해 개최하는 대한민국 대표 산업전시회로 행사기간 킨텍스에서 개최되는 자동차부품, 금속, 소부장뿌리기술, 수출상담회 등과 동시 열린다.

신제품 개발동향과 신기술, 업계 동향 및 산업 발전추이를 비롯한 국내외 공구 및 관련기기, 용접 및 용접 로봇 자동화 산업의 면면을 실제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한국을 대표하는 공구 및 용접, 절단 전문기업들과 관련 주요 메이커들이 참여해 공구 및 용접산업의 미래를 만날 수 있다. 동반성장위원회와 효성중공업(주)이 전년에 이어 올해도 전시에 참가하는 용접관련 중소기업의 참가비 일부와 기술세미나를 지원하는 등의 상생협력의 모델을 제시한다.

2023 국제 공구 및 스마트 용접 자동화전은 코로나19 이후 세계 경기 불확실성속에서 공구 및 용접 업계의 위기 극복과 재도약 해법을 제시하고, 신규시장 창출을 포함한 거래선 확대를 지원함으로써 현재의 위기를 기회로 바꿀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

다양한 부대행사를 통해 기술 및 시장 동향을 공유하고 비즈니스를 위한 판로개척을 위한 소통의 장 역할도 톡톡히 할 예정이다. 부대행사로는 제조장비산업 70개사의 인력난 해소와 청년 일자리 창출 등을 위한 2023 제조장비산업 채용박람회가, 초경 소재 및 공구가공 기술, 절삭가공 데이타 활용 및 대한용접기술사협회의 전문 기술 상담과 최신 용접기술 동향에 대한 기술세미나 등이 이어진다.

공구는 일반 사용자에서부터 제조업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소모성 산업으로 기계, 자동차, IT, 조선, 항공, 전기, 전자, 광학, 반도체, 건설 등 관련 산업에서 파급효과가 큰 핵심기반산업이며 용접은 이런 산업에서 없어서는 안 되는 핵심 뿌리산업이다.
박재영 기자 기자 프로필
박재영 기자
brian@industryjournal.co.kr


0 / 1000


많이 본 뉴스

이재명 대통령, 첫 내각 인선 발표…“위기 극복과 국민통합 이끌 적임자들”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제21대 대통령 취임 직후, 새 정부를 이끌 첫 내각 인선을 직접 발표했다. 이 대통령은 “즉시 업무가 가능한 능력과 전문성, 성과를 낼 수 있는 정치력과 소통 능력을 갖춘 인사를 중용했다”며 각 인사의 배경과 기대를 상세히 설명했다. 김민석 국회의원, 국무총리

신용취약 소상공인 대상 정책자금 지원, 최대 3천만 원 직접대출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하 소진공)은 지난 5일 발표된 ‘소상공인·자영업자 맞춤형 지원 강화방안’의 일환으로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을 6일부터 접수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은 민간 금융기관을 통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신용취약

정부,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대… 3월부터 본격 지원

환경부는 26일 브리핑을 통해 2025년 전기차 충전시설 지원 사업을 3월 초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올해 충전시설 설치 지원 예산은 전년 대비 43% 증가한 6천187억 원으로, 급속충전기 보급에 3,757억 원, 스마트제어 완속충전기 확대에 2천430억 원이 각각 투입된다. 류필무

쓸수록 돌려받는 ‘상생페이백’ 9월 15일 신청 시작

정부가 다음달 15일부터 새로운 소비지원 정책인 ‘상생페이백’을 시행한다. 만 19세 이상 국민이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으며, 2024년에 카드 사용 실적만 있으면 참여할 수 있다. 이번 제도는 국민의 체감 혜택과 소상공인 매출 증대를 동시에 겨냥한 소비 촉진책으로 마련됐다. 상생페이백

2024년 글로벌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감소… 하반기 회복 전망

글로벌 전자 산업 공급망을 대표하는 산업 협회인 SEMI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은 전년 대비 2.7% 감소한 122억 6,600만 in²을 기록했다. 매출은 6.5% 줄어든 115억 달러로 집계됐다. SEMI는 반도체 업계의 재고 조정이 지속되면서 웨이퍼 출하량과 매출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