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뉴스그래픽] 지난해 태양광산업 수출 38% 증가… 태양광 모듈 분야가 실적 견인

산업부, 태양광 산업 정책적 지원 계획

[뉴스그래픽] 지난해 태양광산업 수출 38% 증가… 태양광 모듈 분야가 실적 견인 - 산업종합저널 플랜트

지난해 우리나라 태양광산업 수출이 38% 확대되며 파란 불이 켜졌다.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가 무역협회의 수출입 통계자료를 분석한 결과, 태양광 주요 밸류체인의 지난해 수출액은 약 38% 증가한 16억4천만 달러, 수입액은 약 4% 증가한 12억3천만 달러로 무역수지 4억1천만 달러 흑자로 집계됐다.

특히 모듈 분야 수출액은 전년 대비 113.7% 늘어난 15억4천만 달러를 기록하며 실적을 견인했다. 산업부는 이를 탄소중립, 러·우 전쟁 등에 따른 재생에너지 수요 확대, 미국 등 대규모 시장으로의 수출 확대 등의 영향으로 분석했다.

다만, 모듈을 제외한 소재 및 중간재 분야는 실적이 부진했다. 폴리실리콘, 잉곳, 웨이퍼 등 소재 수출액은 전년 대비 32.2% 줄어든 7천만 달러, 중간재인 셀 수출액은 92.2% 떨어진 3천만 달러다.

김용태 산업부 재생에너지산업과 과장은 본지와의 통화에서 “셀 수출 부진은 국내 제조 셀의 경쟁력이 낮아서가 아니라 국내에서 대부분의 셀을 사용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셀로 모듈을 만들어 수출하니 모듈 수출액으로 집계되고, 국내 셀 수요가 상승해 공급 물량을 국내에서 확보하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국내 제조 셀 국내 점유율은 2020년 22.1%에서 지난해 34.7%로 늘었다. 국내 제조 모듈 국내 점유율도 2020년 64.2%에서 지난해 68.9%로 상승했다.

산업부는 ▲차세대 탠덤 태양전지 조기 개발 ▲건물형 태양광 통합 실증 평가 기반 마련 ▲기업이 공동 활용할 수 있는 100MW급 파일럿라인 구축 등 신재생에너지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수출 확대를 지원할 다양한 조치를 강구하겠다고 밝혔다.

김용태 과장은 “탠덤 태양전지는 태양전지 효율 한계를 기존 29%에서 44%까지 늘려주는 신기술이고, 건물형 태양광은 현재 별도의 시설이 필요한 태양광 모듈과 달리 건물 외장재, 마감재를 발전 모듈로 대체할 수 있는 기술”이라고 설명했다.

또 “신기술 상용화 테스트가 가능한 100MW급 파일럿라인을 구축하면 다양한 기업이 기술적 실증이 필요한 신기술의 양산성을 검증할 수 있게 된다”고 지원 사업의 의의를 밝혔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한국, 첨단기술 국가 순위 세계 5위…바이오 부문은 10위

한국이 글로벌 첨단기술 경쟁력에서 세계 5위를 기록했다.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는 하버드대 케네디스쿨 벨퍼센터의 최근 발표자료를 인용해 이 같이 밝혔다. 인공지능(AI), 바이오, 반도체, 우주, 양자 등 5대 기술 분야에 걸쳐 25개국의 기술력을 비교한 ‘핵심 및 신흥기술지수(

중고 거래, 소비문화로 정착… “이젠 선택이 아닌 일상”

중고 거래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빠르게 바뀌고 있다. ‘남이 쓰던 물건’이라는 편견은 사라졌고, 중고 거래는 경제적 실용성을 넘어 개성과 가치 소비를 중시하는 새로운 소비 문화로 확장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 변화가 일시적 유행이 아닌, 구조적인 소비 행태로 자리 잡고 있다고 진단한다

[뉴스그래픽] 해외 플랜트 수주, 341억 달러로 9년 만에 최대 기록

한국기업들이 지난 한 해 해외에서 플랜트를 수주한 금액은 총 340.7억 달러(약 50조 원) 규모로 나타났다. 이는 2023년 대비 12.7% 증가한 수치로, 2015년(364.7억 달러) 이후 9년 만에 최대 실적이다. 중동 지역에서의 대형 프로젝트 수주가 이번 성과의 중심에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뉴스그래픽] 올해 글로벌 반도체 장비 시장 1천255억 달러 전망

글로벌 반도체 장비 시장이 인공지능(AI) 수요와 첨단 공정 전환에 힘입어 2025년 사상 최대 규모인 1,255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SEMI가 발표한 ‘2025년 상반기 반도체 장비 시장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전년 대비 7.4% 증가한 수치로 2026년에는 1,381억 달러까지 확대될

[뉴스그래픽] 국내 공작기계 시장, 회복 신호 속 누적 실적 감소

지난 9월 공작기계 시장은 중동 지역의 불안정한 정세와 미국 대선으로 인한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속에서도 미국, 인도, 멕시코 등 주요 국가로의 수출 증가로 회복세를 보였다. 3개월 만에 수출이 2억 달러를 넘어서며 시장에 긍정적인 신호를 보였다. 9월 국내 공작기계 수주는 2천349억 원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