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K-테크기업, CES에서 혁신기술 수출 방안 모색

산업부·KOTRA, 혁신상 수상 및 참가기업 간담회 개최

K-테크기업, CES에서 혁신기술 수출 방안 모색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산업통상자원부와 KOTRA는 7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Consumer Electronics Show) 2025 개막에 맞춰, 혁신상 수상기업과 유레카 파크 통합한국관 참가기업 12개사와 간담회를 진행했다. 이번 간담회는 K-테크기업의 수출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기술 경쟁력 강화와 해외 진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간담회에는 ‘뇌 피질 모니터링 및 자극용 임플란트 시스템’을 개발한 지브레인, 전기차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기술을 보유한 토트 등 디지털 헬스, 로보틱스, 메타버스, AI 분야의 기업 대표들이 참석해 현장의 목소리를 전했다.

메디코스바이오테크 김순철 대표는 “거미실크 단백질을 활용한 난치성 창상 패치와 AI 기반 솔루션이 글로벌 시장에서 큰 주목을 받았다”며, “이번 CES 참가를 통해 다수의 글로벌 바이어와 상담이 예정되어 있어 성과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날 기업들이 겪는 법률·특허 문제와 전시회 참가비용 부담 등 수출 애로사항이 공유됐다. 이에 산업부와 KOTRA는 ▲해외전시회 참가 지원 ▲수출바우처 사업 등 맞춤형 지원 프로그램을 소개하며 기업의 부담 완화와 글로벌 시장 확장을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KOTRA는 CES 이후에도 혁신기업 지원을 이어가기 위해 23일 서울 코엑스에서 ‘CES 2025 혁신포럼’을 개최한다. 포럼은 CES 2025 리뷰, 혁신기업 성공 사례 발표, 수출 상담회와 같은 프로그램으로 구성되며, 약 50개 기업이 참여하는 쇼케이스와 맞춤형 컨설팅이 함께 진행될 예정이다.

CTA(미국소비자기술협회)가 발표한 CES 혁신상 최종 결과에 따르면, 한국은 전체 수상 기업 345개 중 156개를 차지하며 국가별 1위를 기록했다. 특히, 인공지능(AI)과 디지털 헬스 분야에서 각각 32개(57%)와 27개(55%)를 수상해 두드러진 성과를 보였다. 최고혁신상 부문에서도 35개 중 16개를 휩쓸었다.

KOTRA 강경성 사장은 “간담회에서 나온 현장의 의견을 바탕으로, 국내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전방위적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경영성과급도 퇴직금에 포함? 대법원 결정 앞둬... 기업들 대비해야

퇴직금 산정 시 경영성과급 포함 여부에 대한 대법원의 판결을 앞두고, 한국 기업의 사전 대비와 대응 전략이 중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최태원)는 19일 법무법인 세종과 공동으로 ‘2024년 주목해야 할 노동판결 및 기업 인사노무전략 웨비나(온라인 세미나)’를 개최

생성형 AI, 국내 기업·공공기관 변화 이끌다… 한국IDC 보고서 공개

IT 시장 분석 및 컨설팅 기관인 인터내셔날데이터코퍼레이션코리아(International Data Corporation Korea Ltd., 이하 한국IDC)는 최근 발표한 ‘국내 생성형 AI 업무 적용 사례 연구(Generative AI Use Cases: Adoption and Priorities in Korea)’ 보고서를 통해 아시아 태평양 지역 조직의 생성형 AI 도

올해 글로벌 반도체 제조 산업 ‘회복’ 기대

지난해 4분기 전자 제품과 집적회로(IC) 판매가 증가하면서 글로벌 반도체 제조 산업의 회복이 예상되며, 이러한 추세는 올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SEMI의 반도체 제조 모니터링 보고서(Semiconductor Manufacturing Monitor, SMM)의 최신 자료에 따르면, 2023년 4 분기 전자 제품

신용취약 소상공인 대상 정책자금 지원, 최대 3천만 원 직접대출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하 소진공)은 지난 5일 발표된 ‘소상공인·자영업자 맞춤형 지원 강화방안’의 일환으로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을 6일부터 접수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은 민간 금융기관을 통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신용취약

반도체·자동차·부품 등 10대 수출 품목, 글로벌 시장 경쟁 '격화'

글로벌 첨단산업 분야에서 한국과 주요국 간의 수출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KOTRA(사장 강경성)는 지난 5개년간의 수출입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반도체, 자동차·부품, 선박, 의료·정밀·광학기기 등 첨단산업에서 한국과 일본, 독일, 미국, 중국 등 주요 국가 간 경쟁이 크게 심화되고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