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관세대응 바우처’ 2천개 사 추가 지원

추경 847억 원 확보… 美 관세 피해기업 대상 ‘패스트 트랙’ 운영

‘관세대응 바우처’ 2천개 사 추가 지원 - 산업종합저널 정책
생성형 AI 이미지

미국의 품목별 관세 부과로 수출에 어려움을 겪는 국내 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정부가 ‘관세 대응 바우처’ 지원을 대폭 확대한다.

산업통상자원부와 KOTRA는 8백47억 원의 추가경정예산을 확보하고, 중소·중견기업 2천개 사를 대상으로 관세 대응 바우처 추가 지원에 나선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사업 확대로 피해 대응, 현지 생산기지 이전, 대체시장 발굴 등 다양한 맞춤형 컨설팅 수요에 대응할 수 있을 전망이다.

사업 신청을 위한 온라인 설명회는 20일 오전 10시에 열리며, 바우처 신청 요건과 제출 서류 등 구체적인 내용을 안내할 예정이다.

美 관세 피해기업에 ‘패스트 트랙’… 신청 후 3일 내 선정 통보
정부는 미국의 25% 품목관세 부과로 피해를 입은 기업에 대해 별도의 ‘패스트 트랙’을 마련했다. 이 제도를 통해 해당 기업은 신청 후 3일 이내에 선정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신속한 지원이 가능하다.

한편, 산업부와 KOTRA는 본예산 93억 원을 활용해 1차 바우처 지원 대상 2백4개 사를 이미 선정한 바 있다. 이들 가운데 자동차 부품, 기계류 등 제조업 비중이 34.8%로 가장 높았으며, 관세 전략 컨설팅 수요가 집중된 것으로 분석됐다.

업종별 활용 사례… “세무·법무 리스크 대응 강화”
예를 들어, 건설장비 제조기업 A사는 바우처 전액을 관세 전략 수립에 사용할 계획이며, 자동차 부품기업 B사는 법무·세무 리스크 검토, 철강 파생상품 대응, 중국 물류비 절감 전략 수립 등 다양한 분야에 예산을 배정했다.

관세 대응 바우처는 피해 분석, 생산기지 이전, 대체시장 개척 등 서비스 항목 중 선택해 필요한 영역에 집중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해외 전문가 활용 통한 맞춤형 대응 차별화”
이번 사업은 KOTRA 해외무역관이 발굴한 관세·법률 전문가의 서비스를 직접 연계하는 점에서 기존 수출바우처 사업과 구분된다. 산업부는 2017년 수출바우처 사업을 시작한 이후 물류비, 산업별 컨설팅 등 다양한 형태로 수출 중소·중견기업을 지원해왔다.

강경성 KOTRA 사장은 “글로벌 관세 정책이 수시로 바뀌는 가운데, 우리 기업들의 애로도 복잡해지고 있다”며 “확대된 바우처 예산을 조속히 집행해 기업들이 제때 효과적인 대응을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박재영 기자 기자 프로필
박재영 기자
brian@industryjournal.co.kr


0 / 1000


많이 본 뉴스

이재명 대통령, 첫 내각 인선 발표…“위기 극복과 국민통합 이끌 적임자들”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제21대 대통령 취임 직후, 새 정부를 이끌 첫 내각 인선을 직접 발표했다. 이 대통령은 “즉시 업무가 가능한 능력과 전문성, 성과를 낼 수 있는 정치력과 소통 능력을 갖춘 인사를 중용했다”며 각 인사의 배경과 기대를 상세히 설명했다. 김민석 국회의원, 국무총리

신용취약 소상공인 대상 정책자금 지원, 최대 3천만 원 직접대출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하 소진공)은 지난 5일 발표된 ‘소상공인·자영업자 맞춤형 지원 강화방안’의 일환으로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을 6일부터 접수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은 민간 금융기관을 통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신용취약

정부,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대… 3월부터 본격 지원

환경부는 26일 브리핑을 통해 2025년 전기차 충전시설 지원 사업을 3월 초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올해 충전시설 설치 지원 예산은 전년 대비 43% 증가한 6천187억 원으로, 급속충전기 보급에 3,757억 원, 스마트제어 완속충전기 확대에 2천430억 원이 각각 투입된다. 류필무

쓸수록 돌려받는 ‘상생페이백’ 9월 15일 신청 시작

정부가 다음달 15일부터 새로운 소비지원 정책인 ‘상생페이백’을 시행한다. 만 19세 이상 국민이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으며, 2024년에 카드 사용 실적만 있으면 참여할 수 있다. 이번 제도는 국민의 체감 혜택과 소상공인 매출 증대를 동시에 겨냥한 소비 촉진책으로 마련됐다. 상생페이백

2024년 글로벌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감소… 하반기 회복 전망

글로벌 전자 산업 공급망을 대표하는 산업 협회인 SEMI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은 전년 대비 2.7% 감소한 122억 6,600만 in²을 기록했다. 매출은 6.5% 줄어든 115억 달러로 집계됐다. SEMI는 반도체 업계의 재고 조정이 지속되면서 웨이퍼 출하량과 매출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