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한국 근로자 절반, 우울·불안 겪는다… 생산성에도 직접적 영향

TELUS 정신건강지수 첫 공개… 재무 스트레스·고립감·성별 격차도 확인

직장 내 정신 건강 문제가 개인 차원을 넘어 조직의 생산성과 국가 차원의 리스크로 확산되고 있다. 한국 근로자 2명 중 1명은 우울감 또는 불안감을 경험하고 있으며, 상당수는 정서적 고립감과 재정 불안까지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웰니스 솔루션 기업 텔러스 헬스(TELUS Health)는 17일 한국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첫 ‘정신 건강 지수(MHI, Mental Health Index)’ 결과를 발표했다. 이 지수는 세계 주요 국가를 대상으로 분기별로 발표되며, 정신 건강과 웰빙, 업무 생산성 간의 상관관계를 다각도로 추적한다.
한국 근로자 절반, 우울·불안 겪는다… 생산성에도 직접적 영향 - 산업종합저널 동향

한국 MHI 점수, 조사 대상국 중 최저 수준
올해 2분기 기준, 한국의 MHI 점수는 56.1점으로, 조사에 포함된 8개 지역 가운데 가장 낮았다. 미국(69.9), 영국(64.7), 캐나다(63.1) 등 주요국과 비교해도 큰 격차를 보였다. 고위험군(49점) 바로 위 단계인 ‘주의 필요’ 구간에 머무르는 수준이다.

국내 권역별로는 중부권(53.1), 호남권(55.6), 영남권(56.2), 수도권(56.4) 순으로 집계됐다. 수도권이 상대적으로 점수가 높았지만 전반적으로 전국 평균과 큰 차이는 없었다.

47% 우울감, 43% 불안감… 여성·부모층 점수 더 낮아
전체 응답자 중 47%가 우울감을, 43%가 불안감을 느끼고 있다고 응답했으며, 44%는 고립감을 경험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신 건강이 업무 생산성에 부정적 영향을 준다는 응답도 30%에 달했다.

특히 학령기 또는 청소년 자녀를 둔 부모의 경우 자녀의 정신 건강에 대한 우려로 인해 본인의 정신 건강 지수가 전국 평균보다 6점 낮게 나타났다. 여성 응답자 역시 평균보다 낮은 점수를 기록해 성별 격차도 확인됐다.

재무 스트레스, 정신 건강에 직접 영향
정신 건강을 위협하는 주된 요인으로는 경제적 불안이 지목됐다. 전체 응답자의 35%는 위급 시 사용할 수 있는 비상 자금이 없다고 밝혔고, 46%는 재정 문제가 주요 스트레스 원인이라고 답했다. 38%는 책임감에 압도당하고 있다고 응답했으며, 4명 중 1명은 건강·의료 문제를 주요 스트레스 원으로 꼽았다.

기업·조직, 인식 전환 필요
텔러스 헬스 연구·인사이트팀 글로벌 책임자인 폴라 앨런(Paula Allen)은 “직원 정신 건강을 우선시하는 것은 단순한 복지가 아니라 생산성과 지속 가능성을 위한 핵심 전략”이라며 “심리적 안전이 보장된 조직은 소속감, 회복력, 성과 모두에서 강점을 보인다”고 강조했다.

국내 기업 대상 지원도 확대
이번 조사는 텔러스 헬스가 2024년 국내 EAP(직원지원프로그램) 1위 기업인 이지앤웰니스(EZNwellness)를 인수한 이후 처음으로 실시된 정기 지표 발표다. 강민재 이지앤웰니스 대표는 “MHI는 한국 근로자의 정신 건강을 해외 주요국과 비교할 수 있는 최초의 연속 지표”라며 “기업 및 정책 결정자에게 실질적 참고자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MHI 지수, 종합 요인 기반한 100점 환산 시스템
MHI는 응답자의 정신 건강 상태를 수치화해 100점 만점 기준으로 환산한다. 점수가 80점 이상이면 ‘양호’, 50~79점은 ‘주의 필요’, 49점 이하는 ‘고위험군’으로 분류된다. 해당 지수는 정서적 안녕뿐만 아니라 재정 상황, 가족관계, 업무 스트레스 등 여러 요인을 통합적으로 반영해 산출된다.
김지운 기자 기자 프로필
김지운 기자
jwkim@industryjournal.co.kr


0 / 1000


많이 본 뉴스

이재명 대통령, 첫 내각 인선 발표…“위기 극복과 국민통합 이끌 적임자들”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제21대 대통령 취임 직후, 새 정부를 이끌 첫 내각 인선을 직접 발표했다. 이 대통령은 “즉시 업무가 가능한 능력과 전문성, 성과를 낼 수 있는 정치력과 소통 능력을 갖춘 인사를 중용했다”며 각 인사의 배경과 기대를 상세히 설명했다. 김민석 국회의원, 국무총리

신용취약 소상공인 대상 정책자금 지원, 최대 3천만 원 직접대출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하 소진공)은 지난 5일 발표된 ‘소상공인·자영업자 맞춤형 지원 강화방안’의 일환으로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을 6일부터 접수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은 민간 금융기관을 통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신용취약

정부,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대… 3월부터 본격 지원

환경부는 26일 브리핑을 통해 2025년 전기차 충전시설 지원 사업을 3월 초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올해 충전시설 설치 지원 예산은 전년 대비 43% 증가한 6천187억 원으로, 급속충전기 보급에 3,757억 원, 스마트제어 완속충전기 확대에 2천430억 원이 각각 투입된다. 류필무

쓸수록 돌려받는 ‘상생페이백’ 9월 15일 신청 시작

정부가 다음달 15일부터 새로운 소비지원 정책인 ‘상생페이백’을 시행한다. 만 19세 이상 국민이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으며, 2024년에 카드 사용 실적만 있으면 참여할 수 있다. 이번 제도는 국민의 체감 혜택과 소상공인 매출 증대를 동시에 겨냥한 소비 촉진책으로 마련됐다. 상생페이백

2024년 글로벌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감소… 하반기 회복 전망

글로벌 전자 산업 공급망을 대표하는 산업 협회인 SEMI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은 전년 대비 2.7% 감소한 122억 6,600만 in²을 기록했다. 매출은 6.5% 줄어든 115억 달러로 집계됐다. SEMI는 반도체 업계의 재고 조정이 지속되면서 웨이퍼 출하량과 매출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