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K-로보틱스, 유럽 자동화 시장 공략…독일 뮌헨 자동화전시회서 기술 역량 집중 공개

KOTRA·로봇산업협회, 11개 혁신기업과 유럽 시장 진출 추진

한국 로봇·스마트 자동화 기업들이 유럽 산업계와의 접점을 넓히기 위해 독일 뮌헨에 집결한다. 유럽 최대 규모의 자동화 기술 전문 전시회에서 센서, 액추에이터, 로봇 제어 등 핵심 부품을 앞세운 기술 협력에 나선다.

K-로보틱스, 유럽 자동화 시장 공략…독일 뮌헨 자동화전시회서 기술 역량 집중 공개 - 산업종합저널 로봇
독일 뮌헨에서 개최되는 ‘2025 독일 뮌헨 자동화 전시회’에서 한국관을 운영한다.

KOTRA는 한국로봇산업협회와 공동으로 6월 24일부터 27일까지 독일 뮌헨에서 열리는 ‘2025 독일 뮌헨 자동화 전시회(Automatica 2025)’에 한국관을 조성하고, 11개 국내 기업과 함께 유럽 시장 진출을 모색한다고 밝혔다.

2년 주기로 열리는 Automatica는 글로벌 자동화·로봇 산업의 대표 전시회다. 올해는 650여 개사가 참가하고, 전 세계 4만 명 이상의 전문가와 바이어가 방문할 예정이다. ‘디지털화와 인공지능’, ‘지속가능한 생산’, ‘미래의 일’을 주제로, 산업 현장의 변화와 기술 혁신을 집중 조명한다.

한국관에는 힘토크센서, 정밀 액추에이터, 로봇 안전 진단 솔루션 등 유럽 제조업 환경에 최적화된 기술이 전시된다. 참가 기업들은 현지 자동차, 전자, 물류, 헬스케어 산업군 바이어들과 상담을 진행하며 수출 기회를 확대할 계획이다.

전시회가 열리는 뮌헨은 ‘바이에른 혁신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유럽 자동화·로봇 산업의 전략 거점 역할을 하고 있다. 최근 독일 자동화 산업은 경기 둔화와 자동차 산업 의존 심화로 수요 위축을 겪고 있으나, 고령화 대응, 친환경 전환, 디지털 기술 확산 등 구조적 성장 동력은 여전히 유효하다. 독일 신정부 또한 산업경쟁력 회복을 위한 투자 확대와 규제 완화 정책을 추진 중이다.

김현철 KOTRA 유럽지역본부장은 “이번 전시회는 AI 기반 로봇, 에너지 효율 기술, 스마트 안전 솔루션 등 미래 산업 트렌드를 집약해 보여주는 무대”라며 “한국 로봇·자동화 기업들이 기술력을 기반으로 유럽 공급망 진입에 성공할 수 있도록 현지 밀착형 지원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이재명 대통령, 첫 내각 인선 발표…“위기 극복과 국민통합 이끌 적임자들”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제21대 대통령 취임 직후, 새 정부를 이끌 첫 내각 인선을 직접 발표했다. 이 대통령은 “즉시 업무가 가능한 능력과 전문성, 성과를 낼 수 있는 정치력과 소통 능력을 갖춘 인사를 중용했다”며 각 인사의 배경과 기대를 상세히 설명했다. 김민석 국회의원, 국무총리

신용취약 소상공인 대상 정책자금 지원, 최대 3천만 원 직접대출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하 소진공)은 지난 5일 발표된 ‘소상공인·자영업자 맞춤형 지원 강화방안’의 일환으로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을 6일부터 접수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은 민간 금융기관을 통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신용취약

정부,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대… 3월부터 본격 지원

환경부는 26일 브리핑을 통해 2025년 전기차 충전시설 지원 사업을 3월 초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올해 충전시설 설치 지원 예산은 전년 대비 43% 증가한 6천187억 원으로, 급속충전기 보급에 3,757억 원, 스마트제어 완속충전기 확대에 2천430억 원이 각각 투입된다. 류필무

쓸수록 돌려받는 ‘상생페이백’ 9월 15일 신청 시작

정부가 다음달 15일부터 새로운 소비지원 정책인 ‘상생페이백’을 시행한다. 만 19세 이상 국민이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으며, 2024년에 카드 사용 실적만 있으면 참여할 수 있다. 이번 제도는 국민의 체감 혜택과 소상공인 매출 증대를 동시에 겨냥한 소비 촉진책으로 마련됐다. 상생페이백

2024년 글로벌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감소… 하반기 회복 전망

글로벌 전자 산업 공급망을 대표하는 산업 협회인 SEMI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은 전년 대비 2.7% 감소한 122억 6,600만 in²을 기록했다. 매출은 6.5% 줄어든 115억 달러로 집계됐다. SEMI는 반도체 업계의 재고 조정이 지속되면서 웨이퍼 출하량과 매출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