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뉴스그래픽] AI 수요 폭증… 7나노 이하 반도체 생산능력 4년간 69%↑

SEMI “2028년 첨단 칩 월 140만장 돌파 전망”

급증하는 생성형 AI 수요를 배경으로, 글로벌 반도체 생산능력이 향후 4년간 크게 확대될 전망이다.

글로벌 전자산업 공급망 대표 기관인 SEMI는 최근 발간한 ‘300mm 팹 전망 보고서’에서 “7나노 이하 첨단 공정의 월간 생산능력이 2024년 85만장에서 2028년 140만장으로 69% 증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전체 산업 평균의 두 배에 달하는 연평균 14% 성장률이다.

[뉴스그래픽] AI 수요 폭증… 7나노 이하 반도체 생산능력 4년간 69%↑ - 산업종합저널 전자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웨이퍼 생산능력은 2024년부터 2028년까지 연평균 7% 성장해 2028년 월 1천110만장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됐다. 특히 2나노 이하 첨단 공정의 경우, 2025년 20만장 미만에서 시작해 2028년에는 50만장을 넘어서는 등 공격적인 확대가 전망됐다.

SEMI의 아짓 마노차(Ajit Manocha) CEO는 “AI는 여전히 반도체 산업의 판도를 바꾸는 핵심 동력”이라며 “생성형 AI 확산이 첨단 칩 수요를 견인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산업 투자가 활발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2나노 공정은 2026년 양산이 예정돼 있고, 1.4나노 공정도 2028년 상용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발맞춰 주요 반도체 기업들은 생산능력 확대를 위해 올해와 2027년에 각각 33%, 21%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장비 투자도 빠르게 확대되는 양상이다. 첨단 공정 장비에 대한 글로벌 투자는 2024년 260억 달러에서 2028년 500억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관측됐다. 이는 연평균 18%에 달하는 성장률이다.

특히 2나노 이하 공정용 장비 투자는 2024년 190억 달러에서 2028년 430억 달러로 120% 이상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SEMI는 “AI 기반 수요가 반도체 공급망 전반의 기술혁신과 투자 확대로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한국, 첨단기술 국가 순위 세계 5위…바이오 부문은 10위

한국이 글로벌 첨단기술 경쟁력에서 세계 5위를 기록했다.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는 하버드대 케네디스쿨 벨퍼센터의 최근 발표자료를 인용해 이 같이 밝혔다. 인공지능(AI), 바이오, 반도체, 우주, 양자 등 5대 기술 분야에 걸쳐 25개국의 기술력을 비교한 ‘핵심 및 신흥기술지수(

중고 거래, 소비문화로 정착… “이젠 선택이 아닌 일상”

중고 거래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빠르게 바뀌고 있다. ‘남이 쓰던 물건’이라는 편견은 사라졌고, 중고 거래는 경제적 실용성을 넘어 개성과 가치 소비를 중시하는 새로운 소비 문화로 확장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 변화가 일시적 유행이 아닌, 구조적인 소비 행태로 자리 잡고 있다고 진단한다

[뉴스그래픽] 해외 플랜트 수주, 341억 달러로 9년 만에 최대 기록

한국기업들이 지난 한 해 해외에서 플랜트를 수주한 금액은 총 340.7억 달러(약 50조 원) 규모로 나타났다. 이는 2023년 대비 12.7% 증가한 수치로, 2015년(364.7억 달러) 이후 9년 만에 최대 실적이다. 중동 지역에서의 대형 프로젝트 수주가 이번 성과의 중심에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뉴스그래픽] 올해 글로벌 반도체 장비 시장 1천255억 달러 전망

글로벌 반도체 장비 시장이 인공지능(AI) 수요와 첨단 공정 전환에 힘입어 2025년 사상 최대 규모인 1,255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SEMI가 발표한 ‘2025년 상반기 반도체 장비 시장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전년 대비 7.4% 증가한 수치로 2026년에는 1,381억 달러까지 확대될

[뉴스그래픽] 국내 공작기계 시장, 회복 신호 속 누적 실적 감소

지난 9월 공작기계 시장은 중동 지역의 불안정한 정세와 미국 대선으로 인한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속에서도 미국, 인도, 멕시코 등 주요 국가로의 수출 증가로 회복세를 보였다. 3개월 만에 수출이 2억 달러를 넘어서며 시장에 긍정적인 신호를 보였다. 9월 국내 공작기계 수주는 2천349억 원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