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뉴스그래픽] 러시아 수출기업 10곳 중 8곳 “재진출 의향”…

한-러 교역, 전쟁 이후 절반 수준으로 축소…“전후 복원 수요 대비한 전략 필요”

[뉴스그래픽] 러시아 수출기업 10곳 중 8곳 “재진출 의향”… - 산업종합저널 동향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급격히 위축된 한-러 교역 구조가 변화를 겪는 가운데, 한국 수출기업 10곳 중 8곳은 여전히 러시아 시장 재진출 의향을 가진 것으로 조사됐다. 전후 복원 수요와 지정학적 리스크가 동시에 존재하는 만큼, 교역 재개에 대비한 장기 전략 수립이 요구된다.

한국무역협회(KITA)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한-러 교역구조 변화와 향후 수출 전략’ 보고서에 따르면, 러시아 수출 경험이 있는 기업의 79.2%가 향후 재진출에 긍정적인 의사를 밝혔다. 응답 기업들은 러시아 시장 회복 가능성과 기존 바이어와의 관계 유지를 주요 이유로 꼽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對러시아 수출은 2021년 100억 달러로 정점을 찍었으나, 전쟁과 국제사회의 제재 여파로 2024년 45억3천만 달러로 절반 이하로 축소됐다. 같은 기간 수출기업 수도 4천3개사에서 1천861개사로 급감했다. 2025년 6월 기준 수출통제 대상 품목은 1천431개로 늘었으며, 반도체와 장비, 항공기 부품, 정밀 공작기계, 산업용 센서, 고성능 컴퓨터, 자동차(고가 승용차·배기량 2천cc 초과 차량) 등이 제재 품목에 포함됐다.

이 같은 제약으로 교역 품목은 전략물자에서 제외된 소비재·중고차·기초소재 등으로 재편됐다. 한국 기업들은 직접 수출 대신 현지 파트너를 통한 간접 진출, 제한적 유통망 유지, 온라인 기반 브랜드 관리 등으로 대응하고 있다. 그러나 러시아에 특화된 제품 특성과 정보 부족 탓에 대체시장을 확보한 기업은 37.2%에 그쳤다.

기업들이 재진출을 망설이는 가장 큰 요인은 결제 및 환율 리스크(69.9%)였다. 이어 물류·운송환경(44.6%), 지정학적 불안정성(43.2%)도 주요 장애 요인으로 꼽혔다. 기업들이 정부에 요구한 지원책으로는 제재 관련 정보 제공(37.5%)이 가장 많았으며, 금융·수출보험(22.9%), 물류·통관 지원(18.9%) 순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를 집필한 유서경 한국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전후 복원 수요와 인접 시장 연계 가능성을 감안하면 러시아는 여전히 전략적으로 중요한 시장”이라며 “제재 국면에서의 단기 리스크 관리뿐 아니라, 전후 복원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한 교역 재개 로드맵 마련과 민관 협력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한국, 첨단기술 국가 순위 세계 5위…바이오 부문은 10위

한국이 글로벌 첨단기술 경쟁력에서 세계 5위를 기록했다.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는 하버드대 케네디스쿨 벨퍼센터의 최근 발표자료를 인용해 이 같이 밝혔다. 인공지능(AI), 바이오, 반도체, 우주, 양자 등 5대 기술 분야에 걸쳐 25개국의 기술력을 비교한 ‘핵심 및 신흥기술지수(

중고 거래, 소비문화로 정착… “이젠 선택이 아닌 일상”

중고 거래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빠르게 바뀌고 있다. ‘남이 쓰던 물건’이라는 편견은 사라졌고, 중고 거래는 경제적 실용성을 넘어 개성과 가치 소비를 중시하는 새로운 소비 문화로 확장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 변화가 일시적 유행이 아닌, 구조적인 소비 행태로 자리 잡고 있다고 진단한다

[뉴스그래픽] 해외 플랜트 수주, 341억 달러로 9년 만에 최대 기록

한국기업들이 지난 한 해 해외에서 플랜트를 수주한 금액은 총 340.7억 달러(약 50조 원) 규모로 나타났다. 이는 2023년 대비 12.7% 증가한 수치로, 2015년(364.7억 달러) 이후 9년 만에 최대 실적이다. 중동 지역에서의 대형 프로젝트 수주가 이번 성과의 중심에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뉴스그래픽] 올해 글로벌 반도체 장비 시장 1천255억 달러 전망

글로벌 반도체 장비 시장이 인공지능(AI) 수요와 첨단 공정 전환에 힘입어 2025년 사상 최대 규모인 1,255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SEMI가 발표한 ‘2025년 상반기 반도체 장비 시장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전년 대비 7.4% 증가한 수치로 2026년에는 1,381억 달러까지 확대될

[뉴스그래픽] 국내 공작기계 시장, 회복 신호 속 누적 실적 감소

지난 9월 공작기계 시장은 중동 지역의 불안정한 정세와 미국 대선으로 인한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속에서도 미국, 인도, 멕시코 등 주요 국가로의 수출 증가로 회복세를 보였다. 3개월 만에 수출이 2억 달러를 넘어서며 시장에 긍정적인 신호를 보였다. 9월 국내 공작기계 수주는 2천349억 원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