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산업안전보건의 판이 바뀐다… 세계 최대 전시회 ‘A+A 2025’ 11월 4일 개막

PPE에서 AI 예방 전략까지 산업안전 전 분야 아우르는 혁신의 장

산업안전보건의 판이 바뀐다… 세계 최대 전시회 ‘A+A 2025’ 11월 4일 개막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세계 최대 규모의 산업안전보건 전문 전시회 ‘A+A 2025’가 11월 4일부터 7일까지 독일 뒤셀도르프에서 열린다. 올해 주제는 “People Matter(사람이 우선)”로, 산업재해 예방과 작업자 보호를 위한 글로벌 혁신 솔루션이 총출동한다. 지난 행사에는 141개국에서 6만2천여 명이 방문했고, 순 전시면적은 8만㎡를 넘어섰다.

올해 전시에는 약 2천200개 기업이 참가한다. △개인보호장비(PPE) △작업복 △작업장 안전관리 △화재·재난 대응 △고기능성 섬유·부품 등 전 영역을 포괄한다. 스마트 PPE, 인체공학 설비, AI 기반 예방 전략 등 디지털화·지속가능성과 결합된 신기술이 집중 조명된다.
시장조사기관 그랜드뷰리서치는 전 세계 산업안전보건 시장이 2025년부터 2030년까지 연평균 16.9% 성장해 463억8천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 기업 35곳 참가… 글로벌 판로 확대
국내에서는 한국안전보호구협회·한국아웃도어스포츠산업협회·한국섬유수출입협회가 공동관을 마련해 첨단 소재와 제품을 선보인다. 효성티앤씨, 동화인더스트리, 세이프웨어, 글러브랜드 등 주요 기업과 함께 약 35개사가 출품한다.

현대자동차그룹 로보틱스랩은 어깨 부담을 최대 60% 줄여주는 산업용 웨어러블 로봇 ‘X-ble Shoulder’를 공개해 해외 바이어들의 관심을 끌 것으로 예상된다.

행사 기간에는 국제 권위의 A+A 콩그레스를 비롯해, 웨어러블 로보틱스 기술을 다루는 WearRAcon Europe, 스타트업존, 트렌드 포럼, 전문가 강연 중심의 Safety + Health Meeting Point 등이 운영된다.

산업안전보건의 판이 바뀐다… 세계 최대 전시회 ‘A+A 2025’ 11월 4일 개막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특히 공식 백서 ‘New Work – The Future of Work’는 독일철도·머크 등의 사례를 통해 유연근무, AI, 정신건강 등 변화하는 업무환경에 대한 심층 분석을 제공한다.

A+A는 단순 전시를 넘어 △디지털 전환 △지속가능성 △New Work(미래형 근무환경) 등 글로벌 의제를 이끄는 플랫폼이다. 자동화, 공급망 실사의무, 순환경제, 정신건강까지 논의 주제를 확장하며 산업안전의 미래를 제시한다.

한국은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3년 차를 맞아 예방 중심 안전관리 체계 확립이 중요한 과제로 떠오른 상황이다. A+A 2025는 이러한 전환기에 대응하는 국제 플랫폼이자, 향후 10년 산업안전기술의 방향성을 가늠할 수 있는 자리로 평가된다.
박재영 기자 기자 프로필
박재영 기자
brian@industryjournal.co.kr


0 / 1000


많이 본 뉴스

이재명 대통령, 첫 내각 인선 발표…“위기 극복과 국민통합 이끌 적임자들”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제21대 대통령 취임 직후, 새 정부를 이끌 첫 내각 인선을 직접 발표했다. 이 대통령은 “즉시 업무가 가능한 능력과 전문성, 성과를 낼 수 있는 정치력과 소통 능력을 갖춘 인사를 중용했다”며 각 인사의 배경과 기대를 상세히 설명했다. 김민석 국회의원, 국무총리

신용취약 소상공인 대상 정책자금 지원, 최대 3천만 원 직접대출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하 소진공)은 지난 5일 발표된 ‘소상공인·자영업자 맞춤형 지원 강화방안’의 일환으로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을 6일부터 접수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은 민간 금융기관을 통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신용취약

정부,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대… 3월부터 본격 지원

환경부는 26일 브리핑을 통해 2025년 전기차 충전시설 지원 사업을 3월 초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올해 충전시설 설치 지원 예산은 전년 대비 43% 증가한 6천187억 원으로, 급속충전기 보급에 3,757억 원, 스마트제어 완속충전기 확대에 2천430억 원이 각각 투입된다. 류필무

쓸수록 돌려받는 ‘상생페이백’ 9월 15일 신청 시작

정부가 다음달 15일부터 새로운 소비지원 정책인 ‘상생페이백’을 시행한다. 만 19세 이상 국민이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으며, 2024년에 카드 사용 실적만 있으면 참여할 수 있다. 이번 제도는 국민의 체감 혜택과 소상공인 매출 증대를 동시에 겨냥한 소비 촉진책으로 마련됐다. 상생페이백

2024년 글로벌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감소… 하반기 회복 전망

글로벌 전자 산업 공급망을 대표하는 산업 협회인 SEMI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은 전년 대비 2.7% 감소한 122억 6,600만 in²을 기록했다. 매출은 6.5% 줄어든 115억 달러로 집계됐다. SEMI는 반도체 업계의 재고 조정이 지속되면서 웨이퍼 출하량과 매출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