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세미콘 타이완 30주년 성료, 글로벌 협력·아시아 시장 진출 가속화

국내 10개 사 한국관 참가… 수출 확대·신기술 교류 발판 마련

세계 반도체 공급망의 핵심 거점인 타이완에서 아시아 최대 규모의 반도체 전시회 ‘세미콘 타이완(Semicon Taiwan)’이 9월 10일부터 12일까지 사흘간 열렸다. 30주년을 맞은 올해 전시는 1천200개 기업, 4천100개 부스, 10만 명 이상의 참관객이 참여해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세미콘 타이완 30주년 성료, 글로벌 협력·아시아 시장 진출 가속화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한국산업지능화협회는 KOTRA와 협력해 통합한국관을 운영하며 국내 반도체 기업 10개 사의 해외 진출을 지원했다. 참가 기업은 노바센, 엠케이피, 위드시스템, 아이엠티, 엘오티베큠, 케이브이씨, 코리아인스트루먼트, 플레이티지, 지덕산업, 지피티 등으로, 차세대 제조공정 장비, 첨단 패키징, 웨이퍼 클리닝 시스템, 소재·부품, 진공·유량 제어 솔루션, 가스 필트레이션, 테스트 소켓 등 다양한 품목을 선보였다. 기업들은 대만을 비롯한 아시아 시장 진출 기회를 모색하고 글로벌 바이어와의 비즈니스 미팅을 통해 수출 확대의 발판을 마련했다.

올해 전시는 ‘Leading with Collaboration, Innovating with the World’를 주제로 AI 칩, 첨단 패키징, 3D IC, 칩렛, HBM, 실리콘 포토닉스, 양자컴퓨팅 등 차세대 반도체 기술을 조명했다. 또한 반도체 공급망 보안, 친환경 제조, 지정학적 위험, AI와 차세대 소재 혁신, 인재 양성 등 핵심 의제를 다룬 국제 포럼도 개최돼 산업 리더들이 미래 전략을 공유했다.

한국산업지능화협회 김태희 센터장은 “세미콘 타이완은 세계 반도체 공급망의 중심지에서 글로벌 리더들과 교류할 수 있는 최고의 장”이라며, “한국관 참가를 통해 국내 기업들이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발굴할 수 있도록 지원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이재명 대통령, 첫 내각 인선 발표…“위기 극복과 국민통합 이끌 적임자들”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제21대 대통령 취임 직후, 새 정부를 이끌 첫 내각 인선을 직접 발표했다. 이 대통령은 “즉시 업무가 가능한 능력과 전문성, 성과를 낼 수 있는 정치력과 소통 능력을 갖춘 인사를 중용했다”며 각 인사의 배경과 기대를 상세히 설명했다. 김민석 국회의원, 국무총리

신용취약 소상공인 대상 정책자금 지원, 최대 3천만 원 직접대출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하 소진공)은 지난 5일 발표된 ‘소상공인·자영업자 맞춤형 지원 강화방안’의 일환으로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을 6일부터 접수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은 민간 금융기관을 통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신용취약

정부,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대… 3월부터 본격 지원

환경부는 26일 브리핑을 통해 2025년 전기차 충전시설 지원 사업을 3월 초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올해 충전시설 설치 지원 예산은 전년 대비 43% 증가한 6천187억 원으로, 급속충전기 보급에 3,757억 원, 스마트제어 완속충전기 확대에 2천430억 원이 각각 투입된다. 류필무

쓸수록 돌려받는 ‘상생페이백’ 9월 15일 신청 시작

정부가 다음달 15일부터 새로운 소비지원 정책인 ‘상생페이백’을 시행한다. 만 19세 이상 국민이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으며, 2024년에 카드 사용 실적만 있으면 참여할 수 있다. 이번 제도는 국민의 체감 혜택과 소상공인 매출 증대를 동시에 겨냥한 소비 촉진책으로 마련됐다. 상생페이백

2024년 글로벌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감소… 하반기 회복 전망

글로벌 전자 산업 공급망을 대표하는 산업 협회인 SEMI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은 전년 대비 2.7% 감소한 122억 6,600만 in²을 기록했다. 매출은 6.5% 줄어든 115억 달러로 집계됐다. SEMI는 반도체 업계의 재고 조정이 지속되면서 웨이퍼 출하량과 매출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