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통신·금융 동시 해킹사고, 롯데카드 항변까지…정부-기업 책임 공방 격화

KT 소액결제 침해·롯데카드 정보유출 확대…MBK “보안 투자 소홀 아냐” 반박



통신과 금융을 동시에 겨냥한 해킹사고가 잇따르면서 정부는 긴급 합동 브리핑을 열어 대응책을 발표했다. 한편 롯데카드의 주요 주주사인 MBK 파트너스는 보안 투자 소홀 지적을 정면 반박하며 항변에 나섰다.

류제명 과기정통부 제2차관은 19일 브리핑에서 KT 사건과 관련해 “불법 초소형 기지국이 KT 내부망에 접속해 고객 통신을 탈취하고 소액결제 정보를 확보한 경위를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이틀 전 경찰에 용의자가 검거된 가운데, 민관합동조사단은 KT 펨토셀 관리 실태를 점검해 일부 문제점을 시정토록 했으며, 불법 기지국 동작 방식을 확인하기 위해 테스트 환경도 구축했다.

피해 규모는 당초 278명(1억7천만 원)에서 362명(2억4천만 원)으로 확대됐다. 불법 기지국 노출 이용자는 2만30명으로 확인됐고, KT는 피해자에 대한 요금 청구를 중단하고 무상 유심 교체를 지원하고 있다. KT는 220만 명의 소액결제 고객 통화 기록 2천267만 건을 분석했으나 추가 불법 기지국 ID는 발견되지 않았다고 보고했다. 다만 외부 보안점검 과정에서 새로운 침해 정황이 드러나 정부에 신고한 상황이다.

금융권도 충격을 받았다. 권대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해커가 롯데카드 온라인 결제 서버에 침입해 당초 신고치(1.7GB)보다 큰 200GB 데이터를 유출했고, 약 297만 명의 개인신용정보가 빠져나갔다”고 밝혔다. 이 중 269만 명은 부정사용 가능성이 없고, 28만 명도 위험은 크지 않지만 일부 키인 방식 결제 취약점이 지적돼 이상거래탐지시스템(FDS)으로 차단 조치가 이뤄지고 있다.

이에 대해 롯데카드와 MBK 파트너스는 보안 투자 소홀 지적은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다. 롯데카드는 “2019년 71억4천만 원이던 보안 투자 비용을 2025년 128억 원으로 늘렸고, 같은 기간 보안 인력도 19명에서 30명으로 증원했다”며 “전체 IT 비용 대비 보안 투자 비중도 10~12%를 유지해 왔다”고 밝혔다. 또 2021년 ‘디지로카’ 전략에 따라 DR(Disaster Recovery)과 백업시스템 고도화를 추진했다고 강조했다.

MBK 파트너스 역시 “주주 변경 이후 4년간 배당 성향은 20~28%로 국내 상장사 평균 수준이며, 대형 금융지주사보다 낮다”며 “단기 수익 추구를 위해 보안을 소홀히 했다는 지적은 사실과 다르다”고 선을 그었다. 그러면서 “보안을 금융 서비스의 핵심 가치로 삼아 지속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통신·금융을 아우르는 해킹 대응 체계 강화를 약속했다. 과기정통부는 기업의 침해사고 미신고·늑장 신고 시 과태료를 강화하고, AI 기반 보안체계 고도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금융위는 금융회사 CEO 책임 확대, CISO 권한 강화, 징벌적 과징금 도입을 검토 중이다.

통신망과 금융망을 동시에 겨냥한 해킹사건이 드러나면서, 정부와 기업 간 책임 공방은 불가피해졌다. 향후 제도 개선과 보안 투자 실효성이 국민 신뢰 회복의 핵심 변수가 될 전망이다.
김지운 기자 기자 프로필
김지운 기자
jwkim@industryjournal.co.kr


0 / 1000


많이 본 뉴스

전기차 충전기 보조사업 점검…관리 부실·보조금 횡령 등 대규모 적발

정부가 최근 5년간 6천600억 원 넘게 투입한 전기차 충전기 설치 지원사업에서 관리 부실과 보조금 횡령 등 대규모 위법 사례가 드러났다. 충전기 수는 빠르게 늘었지만, 관리·감독 체계는 제 역할을 못 하면서 국민 불편과 예산 낭비가 이어진 것으로 확인됐다. 국무조정실 정부합동 부패예

두께 27㎛ 고체전해질막 개발… 전고체 전지 상용화 한 걸음 더

두께 27㎛ 고체전해질막 개발… 전고체 전지 상용화 한 걸음 더두께 27㎛ 고체전해질막 개발… 전고체 전지 상용화 한 걸음 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차세대 에너지저장장치로 주목받는 전고체 전지의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는 고체전해질막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고이온전도성 황화물계

[한주간의 산업이슈] ETRI XR 원격 협업 기술 공개…중견기업 채용 확대·스미싱 주의보도

이번 주 산업·기술 분야에서는 차세대 원격 협업 기술 공개, 하반기 중견기업 채용 동향, 그리고 스미싱 주의보 발령 등 주요 이슈가 이어졌다.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는 디지털 휴먼과 햅틱 장갑을 활용해 실제 손을 맞잡는 듯한 ‘가상 악수’가 가능한 몰입형 XR 회의 기술을 선보였다.

제이큐 레이저, 글로벌 파이프 커팅 장비 시장 공략 강화

전 세계 산업 현장에서 사용하는 고정밀 파이프 레이저 커팅기의 상당수가 한 기업의 손에서 탄생한다. 2006년 설립된 제이큐 레이저(JQ Laser)는 16년 넘게 레이저 장비 기술에만 집중하며, 400여 명의 임직원 중 절반 이상을 연구개발과 고객 서비스 부문에 배치해 글로벌 시장에서 입지를 넓혀

통신·금융 동시 해킹사고, 롯데카드 항변까지…정부-기업 책임 공방 격화

통신과 금융을 동시에 겨냥한 해킹사고가 잇따르면서 정부는 긴급 합동 브리핑을 열어 대응책을 발표했다. 한편 롯데카드의 주요 주주사인 MBK 파트너스는 보안 투자 소홀 지적을 정면 반박하며 항변에 나섰다. 류제명 과기정통부 제2차관은 19일 브리핑에서 KT 사건과 관련해 “불법 초소형 기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