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전기차 충전기 보조사업 점검…관리 부실·보조금 횡령 등 대규모 적발

설치 4천기 방치, 177억 횡령 수사의뢰…정부 “제도 전면 개선”



정부가 최근 5년간 6천600억 원 넘게 투입한 전기차 충전기 설치 지원사업에서 관리 부실과 보조금 횡령 등 대규모 위법 사례가 드러났다. 충전기 수는 빠르게 늘었지만, 관리·감독 체계는 제 역할을 못 하면서 국민 불편과 예산 낭비가 이어진 것으로 확인됐다.

국무조정실 정부합동 부패예방추진단(단장 김영수 국무1차장)은 환경부와 함께 올해 4월부터 6월까지 지원사업 운영 실태를 점검한 결과, 충전기 관리 부적정 2만4천여기, 보조금 집행 부적정 97억7천만 원, 부가가치세 과소신고 121억 원 등을 적발했다고 17일 밝혔다.

점검 결과 전국적으로 설치된 충전기 중 2만1천283기의 상태 정보가 무공해차 통합누리집에 실시간 표시되지 않아 이용자 불편이 발생했다. 일부 사업자는 전기요금을 내지 않아 2천796기의 충전기를 1년 넘게 방치한 사실도 확인됐다. 의무 운영 기간 5년을 채우지 않고 충전기를 임의 철거했는데도 보조금 환수 조치가 이뤄지지 않은 사례도 있었다.

정부는 앞으로 상태 정보 미제공 충전기를 즉시 통보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미운영 충전기에 대해선 일제 점검과 보조금 환수를 병행하겠다고 밝혔다.

사업 수행기관이 사전 승인 없이 설치 장소와 수량을 임의로 바꿨는데도 선급금이 지급되는 등 집행 관리가 허술했다. 규모 축소나 취소로 사업이 무산돼도 선급금을 돌려주지 않은 사례가 59억 원에 달했다.

특히 한 업체는 선급금 177억 원을 받아 이 가운데 73억 원 넘게 임의 사용하고, 자회사를 끼워 넣어 충전기를 고가 매입하는 방식으로 이익을 챙긴 사실이 드러나 대검찰청에 수사의뢰됐다.

사업자 선정 과정에서도 문제점이 확인됐다. 신생 기업에 경영상태 평가에서 무조건 만점을 주는 식으로 부실 기업이 선정됐고, 이들 업체가 운영한 충전기의 고장 건수가 전체의 80% 이상을 차지했다.

정부는 선급금 지급 기준을 명확히 하고, 중간정산 제도를 도입해 보조금 집행을 세밀하게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또 평가 기준을 정량화하고, 상태 정보 미제공이나 민원 미조치 시 감점을 적용하는 등 선정 절차를 손질할 방침이다.

일부 사업자는 보조금을 충전기 설치 용역 대가에 포함된 부가가치세 납부에 충당해 121억 원을 과소신고한 사실도 적발됐다. 정부는 관련 세금을 수정 신고·납부하도록 지시했다.

정부는 이번 점검 결과를 토대로 충전기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을 고도화하고, 현장점검 전담 조직을 신설하는 등 제도 개선에 나선다. 김영수 국무1차장은 “국민이 안심하고 전기차 충전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보조사업을 투명하고 엄격하게 운영하겠다”고 말했다.

전기차 충전기 누적 대수는 지난 7월 기준 43만5천기, 전기차 등록 대수는 77만5천 대로 차량 1.7대당 충전기 1기 수준이다. 충전기 보급은 빠르게 늘었지만, 이번 점검에서 드러난 운영 부실이 제도 개선 없이는 되풀이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박재영 기자 기자 프로필
박재영 기자
brian@industryjournal.co.kr


0 / 1000


많이 본 뉴스

전기차 충전기 보조사업 점검…관리 부실·보조금 횡령 등 대규모 적발

정부가 최근 5년간 6천600억 원 넘게 투입한 전기차 충전기 설치 지원사업에서 관리 부실과 보조금 횡령 등 대규모 위법 사례가 드러났다. 충전기 수는 빠르게 늘었지만, 관리·감독 체계는 제 역할을 못 하면서 국민 불편과 예산 낭비가 이어진 것으로 확인됐다. 국무조정실 정부합동 부패예

[한주간의 산업이슈] ETRI XR 원격 협업 기술 공개…중견기업 채용 확대·스미싱 주의보도

이번 주 산업·기술 분야에서는 차세대 원격 협업 기술 공개, 하반기 중견기업 채용 동향, 그리고 스미싱 주의보 발령 등 주요 이슈가 이어졌다.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는 디지털 휴먼과 햅틱 장갑을 활용해 실제 손을 맞잡는 듯한 ‘가상 악수’가 가능한 몰입형 XR 회의 기술을 선보였다.

두께 27㎛ 고체전해질막 개발… 전고체 전지 상용화 한 걸음 더

두께 27㎛ 고체전해질막 개발… 전고체 전지 상용화 한 걸음 더두께 27㎛ 고체전해질막 개발… 전고체 전지 상용화 한 걸음 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차세대 에너지저장장치로 주목받는 전고체 전지의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는 고체전해질막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고이온전도성 황화물계

제이큐 레이저, 글로벌 파이프 커팅 장비 시장 공략 강화

전 세계 산업 현장에서 사용하는 고정밀 파이프 레이저 커팅기의 상당수가 한 기업의 손에서 탄생한다. 2006년 설립된 제이큐 레이저(JQ Laser)는 16년 넘게 레이저 장비 기술에만 집중하며, 400여 명의 임직원 중 절반 이상을 연구개발과 고객 서비스 부문에 배치해 글로벌 시장에서 입지를 넓혀

통신·금융 동시 해킹사고, 롯데카드 항변까지…정부-기업 책임 공방 격화

통신과 금융을 동시에 겨냥한 해킹사고가 잇따르면서 정부는 긴급 합동 브리핑을 열어 대응책을 발표했다. 한편 롯데카드의 주요 주주사인 MBK 파트너스는 보안 투자 소홀 지적을 정면 반박하며 항변에 나섰다. 류제명 과기정통부 제2차관은 19일 브리핑에서 KT 사건과 관련해 “불법 초소형 기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