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간판 바꾼 한국로봇산업협회… ‘AI 심장’ 이식으로 생태계 대전환 선언

‘AI·로봇산업협회’로 재탄생… 휴머노이드·피지컬AI가 미래 산업 바로미터

1999년 창립 이후 대한민국 로봇 산업의 중추적 역할을 해온 ‘한국로봇산업협회’가 ‘한국AI·로봇산업협회’로 공식 명칭을 변경했다. 이는 단순한 간판 교체를 넘어, 산업의 중심축을 하드웨어에서 데이터와 지능이 융합된 생태계로 옮기겠다는 선언이다. 기술 진화의 궤도에 한국 산업이 본궤도에 올랐는지를 가늠할 시험대이기도 하다.

변화의 이유는 명확하다. 이제 로봇은 하드웨어에 소프트웨어를 얹는 ‘덧셈’ 구조가 아니다. 감지·판단·실행을 통합하는 물리적 지능, 즉 ‘피지컬 AI’가 로봇의 정의를 재편하고 있다. 산업의 주류 역시 제조·물류 현장의 반복 기계를 넘어, 서비스와 일상에서 맥락을 인식하고 상호작용하는 지능형 로봇으로 본격 이동하는 국면이다.
간판 바꾼 한국로봇산업협회… ‘AI 심장’ 이식으로 생태계 대전환 선언 - 산업종합저널 로봇

협회가 새롭게 내건 키워드는 ‘휴머노이드’와 ‘Next 생태계’다. 전통적인 산업용 로봇을 넘어 사람의 형태와 행동을 구현하는 휴머노이드를 차세대 전환의 거점으로 삼고, 데이터·AI 모델·비전 기술 등 주변 생태계 기업까지 아우르는 플랫폼으로 거듭나겠다는 청사진이다.

기대와 우려 교차… “정책 편승 아닌 실질 성과 내야”
산업계 반응은 다층적이다. 긍정론의 핵심은 정부의 산업 정책과의 ‘정합성’이다. 최근 정부가 주도하는 ‘K-휴머노이드 얼라이언스’나 국가 R&D 사업에서 AI와 로봇을 통합 트랙으로 지원하는 흐름이 강해지고 있어, 협회의 이름에 ‘AI’를 병기하는 것만으로도 예산, 제도, 프로젝트 참여 가능성이 넓어질 수 있다는 계산이다.

그러나 명칭 변경만으로는 실효성을 담보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나온다. 일각에서는 AI·로봇 통합이라는 담론이 ‘시장의 요구’라기보다 ‘정책의 흐름’을 따라가는 데 그쳐서는 안 된다고 경계한다. 정책과 산업, 기술이 서로를 위한 진정한 동행이 아닌, 그저 피하지 않는 나란함에 그친다면 이번 재편 역시 선언으로만 끝날 수 있다는 우려다.

협회는 회원사 간 기술 협업과 개념검증(PoC) 확대를 위한 참여형 협의체 신설을 예고했으며, 2026년에는 미국 A3, 일본 JARA 등과의 글로벌 표준 연동도 본격화할 계획이다. ‘AI·로봇산업협회’라는 이름이 단순한 기술 수식어를 넘어 생태계 재편의 기폭제가 될지는, 결국 회의장 밖 현장에서의 실질적인 성과가 말해줄 것이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바이오 인공장기, 의료 혁명 이끌까… 심장이식 대기자들에게 희망

최근 심근경색으로 쓰러져 병원에 긴급 후송된 환자는, 쓰러진 지 5분이 넘은 바람에 심장이 멈췄다. 이 환자는 보조장치인 ECMO(체외막 산소화장치)를 사용하여 연명했지만, 심장은 결국 10일 후에야 다시 뛰었고, 그 기능은 70%에도 미치지 못했다. 결국 이 환자는 사망에 이르게 되었다.

2025년 소비 시장 5대 키워드 'S.N.A.K.E' 제시

대한상공회의소(이하 대한상의)가 2025년 소비 시장을 이끌 5대 키워드로 ‘S.N.A.K.E’를 선정하며, 경기 둔화와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유통 기업들이 생존 전략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한상의는 7일 발표한 ‘2025 유통산업 백서’를 통해 S.N.A.K.E(Survival, Next

이차전지 제조장비, 차세대 기술로 2030년 50조 원 시장 전망

이차전지 제조장비 산업이 2030년까지 50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특히 건식 전극 공정과 전고체 배터리가 차세대 핵심 기술로 주목받으며, 관련 기술 개발과 글로벌 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한국기계연구원(이하 기계연)은 최근 발간한 ‘기계

DPP 도입, 국내 기업에 도전이자 기회

2027년부터 EU가 디지털제품여권(DPP) 제도를 순차적으로 의무화하면서, 국내 기업들의 선제적 대응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5일 'EU 디지털제품여권(DPP) 동향 및 GS1 국제표준 기반 대응 가이드라인'을 발표하며, DPP 정책 동향과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디지털제품여권(DP

급증하는 고령층 취업… 일할 의지는 넘치지만 일자리는 부족

대한민국이 초고령사회로 빠르게 진입하면서 60대 이상 고령층의 노동시장 참여가 급증하고 있다. 2025년에는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20.6%에 달해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전망이며, 이에 따라 60대 이상의 일자리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2024년 9월 기준, 60세 이상 취업자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