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에너지 전환' 기술 총집결… '코마린 2025' 부산 벡스코서 개막

조선 '빅3'·GE 등 참가… 수소·암모니아·해상풍력 'NEXT ENERGY' 특별관 첫선

'에너지 전환' 기술 총집결… '코마린 2025' 부산 벡스코서 개막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글로벌 조선해양 산업의 미래인 '에너지 전환' 기술의 향방을 가늠할 ‘코마린 2025(KORMARINE 2025)’가 21일 부산 벡스코에서 막을 올렸다. 24일까지 나흘간 열리는 전시에는 HD현대, 삼성중공업, 한화오션 등 조선 '빅3'를 필두로 15개국이 참가해 수소, 암모니아, 해상풍력 등 차세대 에너지 솔루션을 선보인다.

1980년 시작해 24회째를 맞은 코마린은 독일 SMM, 노르웨이 NOR-SHIPPING 등과 함께 세계 4대 조선해양 전문 전시회로 자리매김했다.

전시에는 조선 '빅3' 외에도 태웅, 효성중공업, 빈센 등 국내 주요 기업과 GE VERNOVA, 슈나이더 일렉트릭 등 글로벌 에너지 기업이 참가했다. 스웨덴, 네덜란드 등 15개국 이상이 국가관을 꾸렸으며, KORIES 친환경선박 전주기 혁신기술개발사업 통합사업단,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등 연구기관도 기술 개발 성과를 공유한다.

'에너지 전환' 기술 총집결… '코마린 2025' 부산 벡스코서 개막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올해 처음 선보이는 '넥스트 에너지(NEXT ENERGY)' 특별관이 핵심이다. 조선해양 산업의 지속 가능성을 모색하는 이 공간은 에너지 전환 분야를 집중 조명한다. ▲수소, 암모니아, LNG 등 미래 연료 ▲해상풍력 등 해양 신재생에너지 솔루션 ▲하이브리드 추진 시스템 ▲탄소 포집 및 저장(CCS) ▲에너지 저장 장치(ESS) 등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청사진을 제시한다.

또한, 조선 3사가 참여하는 ‘코마린 이노베이션 파빌리온(KORMARINE INNOVATION PAVILION)’도 별도로 운영돼, 각 사의 에너지 전환 방향성을 집중 소개한다.

'에너지 전환' 기술 총집결… '코마린 2025' 부산 벡스코서 개막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주최 측 관계자는 “특별관은 단순 기술 전시를 넘어 조선해양 산업의 패러다임 전환을 보여주는 통합 플랫폼”이라며 “에너지 전환과 탄소중립이라는 공동 과제에 대한 주요 기술과 전략을 함께 살필 수 있도록 구성했다”고 밝혔다.

전시 기간 KORMARINE 컨퍼런스, 참가업체 기술 세미나, 비즈니스 매치메이킹 등 부대행사도 열린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이재명 대통령, 첫 내각 인선 발표…“위기 극복과 국민통합 이끌 적임자들”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제21대 대통령 취임 직후, 새 정부를 이끌 첫 내각 인선을 직접 발표했다. 이 대통령은 “즉시 업무가 가능한 능력과 전문성, 성과를 낼 수 있는 정치력과 소통 능력을 갖춘 인사를 중용했다”며 각 인사의 배경과 기대를 상세히 설명했다. 김민석 국회의원, 국무총리

신용취약 소상공인 대상 정책자금 지원, 최대 3천만 원 직접대출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하 소진공)은 지난 5일 발표된 ‘소상공인·자영업자 맞춤형 지원 강화방안’의 일환으로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을 6일부터 접수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은 민간 금융기관을 통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신용취약

정부,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대… 3월부터 본격 지원

환경부는 26일 브리핑을 통해 2025년 전기차 충전시설 지원 사업을 3월 초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올해 충전시설 설치 지원 예산은 전년 대비 43% 증가한 6천187억 원으로, 급속충전기 보급에 3,757억 원, 스마트제어 완속충전기 확대에 2천430억 원이 각각 투입된다. 류필무

쓸수록 돌려받는 ‘상생페이백’ 9월 15일 신청 시작

정부가 다음달 15일부터 새로운 소비지원 정책인 ‘상생페이백’을 시행한다. 만 19세 이상 국민이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으며, 2024년에 카드 사용 실적만 있으면 참여할 수 있다. 이번 제도는 국민의 체감 혜택과 소상공인 매출 증대를 동시에 겨냥한 소비 촉진책으로 마련됐다. 상생페이백

2024년 글로벌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감소… 하반기 회복 전망

글로벌 전자 산업 공급망을 대표하는 산업 협회인 SEMI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은 전년 대비 2.7% 감소한 122억 6,600만 in²을 기록했다. 매출은 6.5% 줄어든 115억 달러로 집계됐다. SEMI는 반도체 업계의 재고 조정이 지속되면서 웨이퍼 출하량과 매출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