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한국에머슨, ㈜빈센과 MOU… 'MW급 수소 연료전지' 제어기 개발

'스마트추진' 15% 연료 절감 솔루션도 공개… "미래 해양 디지털 혁신"

대형 선박용 'MW(메가와트)급 수소 연료전지' 시스템 개발 경쟁이 본격화된 가운데, 한국에머슨이 핵심 제어기 솔루션 개발에 착수한다. 글로벌 기술 및 소프트웨어 기업 한국에머슨(대표이사 정재성)은 ㈜빈센(VINSSEN, 대표 이칠환)과 'MW급 연료전지 시스템의 통합 제어기 솔루션 개발'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한국에머슨, ㈜빈센과 MOU… 'MW급 수소 연료전지' 제어기 개발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이번 협약은 지난 21일부터 24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국제 조선 및 해양 산업전(KOMARINE 2025, 이하 코마린)' 현장에서 이뤄졌다. 협약은 대형 상선의 고출력 수소연료전지 시스템 수요 증가에 대응, 빈센의 모듈형 연료전지 시스템을 확장하고 상위 제어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 목표다. 한국에머슨은 자동화 컨트롤러, 계측기, 밸브 등 제어·계측·안전 기능이 통합된 제어 솔루션을 구성하고 기술 고도화에 나설 예정이다.

MOU 체결과 함께 한국에머슨은 22일 열린 기술 세미나에서 '스마트 추진 시스템'을 핵심 솔루션으로 제시했다. 이 솔루션은 모든 선박 및 엔진에서 연료 소비와 배기가스 배출을 최대 15%까지 줄이는 추진 최적화 기술이다. 이와 함께 'MIF-61 & TGU-53' 기반 연료 탱크 모니터링 솔루션도 소개됐다.

에머슨은 코마린 전시 부스에서 ‘무한 자동화(Boundless AutomationSM)’, ‘해양 사이버 보안(Maritime Cybersecurity)’, ‘에너지 절감 및 최적화’, ‘친환경 선박 기술’ 4가지 테마로 엔드 투 엔드(End-to-End) 통합 솔루션을 전시했다.

특히 ▲IACS UR E27 인증을 획득한 Aperio 시스템 ▲보안 내장형 통합 제어 플랫폼 DeltaV ▲선박 운항 자동화 시스템(IAS)과 상거래용 운송 시스템(CTS) 통합 솔루션 ▲대체 연료 레벨 측정 및 밸브 솔루션 등 국제 해운 규제에 대응하는 기술 역량을 선보였다.

정재성 한국에머슨 대표는 “해양 산업의 혁신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뒷받침하는 에머슨 통합 솔루션의 가치와 기술 역량을 보여준 자리였다”며 “축적된 기술력으로 고객 과제를 해결하고 해양 산업의 미래를 이끌 파트너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말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이재명 대통령, 첫 내각 인선 발표…“위기 극복과 국민통합 이끌 적임자들”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제21대 대통령 취임 직후, 새 정부를 이끌 첫 내각 인선을 직접 발표했다. 이 대통령은 “즉시 업무가 가능한 능력과 전문성, 성과를 낼 수 있는 정치력과 소통 능력을 갖춘 인사를 중용했다”며 각 인사의 배경과 기대를 상세히 설명했다. 김민석 국회의원, 국무총리

신용취약 소상공인 대상 정책자금 지원, 최대 3천만 원 직접대출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하 소진공)은 지난 5일 발표된 ‘소상공인·자영업자 맞춤형 지원 강화방안’의 일환으로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을 6일부터 접수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은 민간 금융기관을 통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신용취약

정부,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대… 3월부터 본격 지원

환경부는 26일 브리핑을 통해 2025년 전기차 충전시설 지원 사업을 3월 초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올해 충전시설 설치 지원 예산은 전년 대비 43% 증가한 6천187억 원으로, 급속충전기 보급에 3,757억 원, 스마트제어 완속충전기 확대에 2천430억 원이 각각 투입된다. 류필무

쓸수록 돌려받는 ‘상생페이백’ 9월 15일 신청 시작

정부가 다음달 15일부터 새로운 소비지원 정책인 ‘상생페이백’을 시행한다. 만 19세 이상 국민이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으며, 2024년에 카드 사용 실적만 있으면 참여할 수 있다. 이번 제도는 국민의 체감 혜택과 소상공인 매출 증대를 동시에 겨냥한 소비 촉진책으로 마련됐다. 상생페이백

2024년 글로벌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감소… 하반기 회복 전망

글로벌 전자 산업 공급망을 대표하는 산업 협회인 SEMI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은 전년 대비 2.7% 감소한 122억 6,600만 in²을 기록했다. 매출은 6.5% 줄어든 115억 달러로 집계됐다. SEMI는 반도체 업계의 재고 조정이 지속되면서 웨이퍼 출하량과 매출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