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내년 메모리 시장, AI가 끌고 HBM4가 민다"…

테크인사이츠 '강력 성장' 전망, 美 中 수출 제한은 '변수'

내년(2026년) 글로벌 메모리 시장은 AI 수요 폭증과 제한된 공급 상황이 맞물리며 강력한 성장세를 보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HBM4, 차세대 D램, 1천 단(段) 이상 3D 낸드 등 기술 혁신이 성장을 견인할 핵심 동력으로 꼽혔다.

IT 시장분석기관 테크인사이츠(TechInsights)는 29일 발표한 '2026 메모리 전망'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분석했다. 보고서는 AI 확산으로 고성능·저전력 메모리 수요가 급증하면서, D램과 낸드가 SRAM 수준의 속도, HBM급 대역폭, 비휘발성, 확장성을 향해 진화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내년 메모리 시장, AI가 끌고 HBM4가 민다"… - 산업종합저널 전자

HBM4·차세대 D램·3D 낸드 '기술 각축전'
D램 기술은 10nm(나노미터)급 이하 D1c/D1-감마 노드로 확장되며, AI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고성능·저전력 HBM4와 차세대 D램이 시장을 주도할 전망이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 등 주요 업체들은 6F²·4F² 셀 구조, 3D D램, 새로운 채널 소재(IGZO) 등을 도입해 성능과 에너지 효율 개선 경쟁을 벌이고 있다.

HBM과 HBF(High-Bandwidth Flash)는 AI 가속기, 고성능 컴퓨터(HPC), 데이터센터의 고성능 메모리 수요를 충족할 핵심 기술로 꼽혔다. 16단(Hi) HBM4 모듈, LPW(Low Power Wide I/O) D램, 소캠(SoCAM) 등 혁신 기술이 2026년 상용화될 예정이다. 키오시아(KIOXIA)와 샌디스크(SanDisk)의 HBF 기술은 AI 엣지 장치에서 HBM을 대체할 잠재력도 갖췄다.

3D 낸드는 하이브리드 본딩, 신규 WL(Word Line) 소재, 계단 없는 WLC(Wafer Level Cell) 구조 등 신기술 경쟁이 치열하다. 이를 기반으로 삼성전자, 마이크론, YTMC(양쯔메모리)가 올해 200단대 제품을 출시했으며, SK하이닉스의 300단대 제품도 곧 나올 전망이다. 보고서는 1천 단 이상의 3D 낸드는 설계, 공정, 소재 혁신을 통해 달성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미국의 대중(對中) 반도체 수출 제한은 내년에도 이어질 변수다. 미국은 AI 메모리와 첨단 D램·낸드 장비의 중국 수출을 계속 제한할 예정이다. 이에 중국의 YMTC, 창신메모리(CXMT), 푸젠진화(JHICC) 등은 기술 자립을 강화하고 하이브리드 본딩 등 자체 혁신 기술 개발을 가속하고 있다.

공급 부족·소비 둔화는 '제약 요인'
테크인사이츠는 내년 메모리 시장이 AI 중심 수요 증가와 제한된 공급 속에서 D램, HBM, 낸드 모두 강력한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HBM4는 AI 학습·추론용 가속기에서 핵심 역할을 하고, 고성능 D램과 고용량 낸드는 데이터센터·엣지 장치에서 활용도를 높일 것으로 봤다.

다만, DDR4 및 일부 일반 낸드의 공급 부족 가능성과 소비자용 PC·스마트폰 수요 둔화는 시장 성장의 제약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2026년이 AI·데이터 중심 시대에 대응하기 위한 메모리 기술 혁신과 공급 전략이 본격 시험대에 오르는 해가 될 것이며, 성능·에너지 효율·확장성이 글로벌 메모리 산업 경쟁력의 핵심 요소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박재영 기자 기자 프로필
박재영 기자
brian@industryjournal.co.kr


0 / 1000


많이 본 뉴스

이재명 대통령, 첫 내각 인선 발표…“위기 극복과 국민통합 이끌 적임자들”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제21대 대통령 취임 직후, 새 정부를 이끌 첫 내각 인선을 직접 발표했다. 이 대통령은 “즉시 업무가 가능한 능력과 전문성, 성과를 낼 수 있는 정치력과 소통 능력을 갖춘 인사를 중용했다”며 각 인사의 배경과 기대를 상세히 설명했다. 김민석 국회의원, 국무총리

신용취약 소상공인 대상 정책자금 지원, 최대 3천만 원 직접대출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하 소진공)은 지난 5일 발표된 ‘소상공인·자영업자 맞춤형 지원 강화방안’의 일환으로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을 6일부터 접수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은 민간 금융기관을 통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신용취약

정부,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대… 3월부터 본격 지원

환경부는 26일 브리핑을 통해 2025년 전기차 충전시설 지원 사업을 3월 초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올해 충전시설 설치 지원 예산은 전년 대비 43% 증가한 6천187억 원으로, 급속충전기 보급에 3,757억 원, 스마트제어 완속충전기 확대에 2천430억 원이 각각 투입된다. 류필무

쓸수록 돌려받는 ‘상생페이백’ 9월 15일 신청 시작

정부가 다음달 15일부터 새로운 소비지원 정책인 ‘상생페이백’을 시행한다. 만 19세 이상 국민이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으며, 2024년에 카드 사용 실적만 있으면 참여할 수 있다. 이번 제도는 국민의 체감 혜택과 소상공인 매출 증대를 동시에 겨냥한 소비 촉진책으로 마련됐다. 상생페이백

2024년 글로벌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감소… 하반기 회복 전망

글로벌 전자 산업 공급망을 대표하는 산업 협회인 SEMI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은 전년 대비 2.7% 감소한 122억 6,600만 in²을 기록했다. 매출은 6.5% 줄어든 115억 달러로 집계됐다. SEMI는 반도체 업계의 재고 조정이 지속되면서 웨이퍼 출하량과 매출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