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에너지

[산업VIEW] 누설전류로 인한 감전 및 화재...‘전기 안전 통합 시스템’으로 예방한다

18일 2022 국제 전기전력 전시회(Electric Power Tech Korea)가 열린 서울 삼성동 코엑스(COEX)에는 한 참관객이 감전 및 화재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전기 안전 통합 시스템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제품을 소개한 ㈜티에스에프시스템 관계자는 “전기를 사용하는 모든 시설에 누설전류가 발생하면

전기
권새나 기자
2022.05.18

[움짤뉴스] 전선용 트레이 위 중량 케이블 배치하는 ‘케이블포설기’

서울 삼성동 코엑스(COEX)에서 진행 중인 2022 국제 전기전력 전시회(Electric Power Tech Korea)에 참가한 ㈜엘케이가 케이블포설기를 시연하고 있다. ㈜엘케이 유호기 대리는 “이 제품은 높은 곳에 위치한 전선용 트레이 위에 사람이 올라갈 필요 없이, 중량의 케이블을 배치시켜 준다”며 “다수

전기
박재영 기자
2022.05.18

전기차 폐배터리···환경문제 주범?

자동차 업계는 전 세계가 추진 중인 탄소중립을 이행하기 위해 내연기관 차량 대신 이차전지를 활용한 전기 차량 개발 및 생산에 주력 중이다. 그러나 전기차 보급 확대로 폐배터리의 배출량이 점차 증가하면서, 폐배터리가 새로운 환경문제 주범으로 주목받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

전기
최 준 기자
2022.05.12

리튬이차전지 열 관리 기반 화재 예측 기술 개발

리튬이차전지는 스마트폰, 전기차, 전력저장장치(ESS) 등 4차 산업혁명을 대표하는 다양한 산업에 쓰이고 있다. 하지만 최근 아파트에서 충전 중이던 전기 자전거와 전동 킥보드 배터리가 폭발해 큰 이슈가 됐고, 최근 주목을 받는 ESS의 경우만 해도 국내에서만 35차례 넘게 대형 화재 사고

에너지
권새나 기자
2022.05.11

고전압 절연 기술···안전성 및 신뢰성 확보 중요

최근 산업계는 고전압을 활용한 전기·전자에 대한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고전압 제품에 대한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차세대 절연 기술 개발도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반도체 기업 텍사스 인스트루먼트(Texas Instruments, TI)는 9

전기
최 준 기자
2022.05.10

국내 에너지기술기업 수 2만여 개 추산

국내 에너지기술기업 수는 총 2만 314개 사로 추정된다. 에너지기술 분류별로는 기타발전 및 에너지저장, 에너지효율, 화석연료 순이다. 산업통상자원부가 4일 발표한 '에너지기술기업 실태조사' 통계를 보면, 에너지기술기업 매출액은 약 298조원으로 추정했다. 에너지기술기업 종사자 수는 약

에너지
김지운 기자
2022.05.04

[기술기고] 재공품(WIP)을 위한 RFID

RFID 기술은 생산 현장부터 중역의 사무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수준에서 조직이 복잡한 사업적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을 주는 데이터를 제공한다. 어림짐작으로 내리는 결정과 실제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결정의 차이에 대해서는 굳이 설명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문제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조직

전기
산업종합저널
2022.05.03

고출력 태양광 패널 개발…2023년부터 양산 돌입

국내 연구팀이 도심형 고출력 태양광 패널 제조기술을 개발 후 기술이전을 통해 상용화하는데 성공했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서남본부 정채환 본부장 연구팀이 ‘길이·폭 제어형 슁글드(Deginable Shingled) 구조의 BIPV(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건물일체형 태양모듈)

에너지
권새나 기자
2022.04.27

EU 전기차 배터리 수요↑, 한국 기업에 '호기'

유럽 전기차 배터리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 기후변화 및 친환경 보조금 정책으로 전기차가 유망시장으로 떠오른 유럽연합(EU)은 IPCEI 배터리 프로젝트 등에 60억 유로를 투입한다. 오는 2030년까지 전 세계 배터리의 30%를 생산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한국 기업에게는 좋은 기회가 될 유럽

전기
김지운 기자
2022.04.25

차세대 리튬황배터리 난제 풀었다

국내 연구진이 배터리 성능 저하 주범 ‘리튬 폴리설파이드’ 문제를 활성탄과 인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았다. 한국전기연구원(KERI) 차세대전지연구센터 박준우 박사팀(KERI 박준우 박사· 홍정원 연구원, 부경대 백강준 교수)의 ‘저비용 플렉시블 고에너지밀도 리튬황배터리’ 관련 연

전기
김지성 기자
2022.04.11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