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가 전자파를 발암등급 2B등급인 발암 가능 그룹으로 구분하면서 전자파에 대한 우려가 높아졌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전자파의 유해성을 증명하는 명확한 근거가 충분하지 않으며, 우리나라의 전자파 기준은 국제 기준과 WHO 권고 기준에 모두 맞춰져 있으므로 과도한 걱정을 할 필요는 없다고 입을 모았다.
25일 국립전파연구원 주최로 JW메리어트호텔에서 진행된 ‘제7차 전자파 안전 포럼’에서는 ‘전자파, 알면 행복, 모르면 불행’이라는 슬로건 아래 국내·외 전자파 관련 동향 공유와 전문가들의 주제 발표가 이어졌다.
ETRI 최형도 책임연구원의 기조연설에 따르면 WHO는 1996년부터 각 나라 또는 협력 기관을 통해 전자파에 노출됐을 때 인체의 영향에 대한 조속한 결론을 도출하기 위해 국제 EMF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이 밖에도 전자파의 잠재적인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 WHO EHC, 국제비전리복사방호위원회(ICNIRP), IEEE/IEC 등이 전자파 관련 인체보호에 대한 기준을 개정하고, 건강 우선 순위 조사 및 신규 기기 노출 적합성 평가 표준을 수립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국제적인 여러 연구에도 불구하고 전자파의 유해성이 명확하게 증명된 것은 없다. 최 책임연구원은 “지난 5월 스웨덴에서 열린 23회 WHO IAC 미팅에서 6GHz~100GHz mmWave에 대한 동물 및 세포 실험 결과를 분석했으나 전자파의 노출 세기, 시간, 주파수와 인체 영향과의 일치된 연관성이 관찰되지 않았다”라며 “ICNIRP 역시 임계치 미만의 전자파 노출에 대한 장·단기 연구에서도 부정적인 효과를 가져온다는 결정적인 증거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는 반응이다”라고 말했다.
생활환경제품의 전자파 측정을 진행한 김남 충북대학교 교수는 “IARC에서 발표한 2B등급은 사람에게 발암 증거가 제한적이고, 동물 실험에서도 근거가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뜻한다”며 “그러나 전자파가 암을 유발한다고 왜곡 보도되면서 국민들의 불안감이 증폭된 상황”이라고 불안감의 원인을 짚었다.
“전자파는 전기장과 자기장을 합쳐 부르는 것으로, 주파수와 거리에 따라 자기장의 영향과 전기장의 영향이 다르다”고 설명한 김 교수는 “따지고 보면 우리 주변에 있는 모든 것이 다 전자파를 발생시킨다. 햇빛 역시 전자파”라고 말했다.
이에 김 교수는 자연 속에 존재하는 전자파를 제외하고, 제품 자체에 대한 전자파를 정확히 측정하려면 차폐시설에서 제품의 부분별 전자파 강도와 흡수율을 측정해야 한다고 했다.
김 교수가 진행한 생활 속 제품에 대한 전자파 측정 결과, 대부분의 생활 제품들이 미미한 전자파 노출지수를 기록했다. 최근 사회적으로 떠들썩했던 손선풍기와 헤어드라이어, 에어 프라이어, 4구 전기 인덕션, 안마의자, 건식 족욕기 정도가 높은 전자파 수치를 기록했는데, 이 제품들 역시도 모두 전자파 인체보호기준에 못 미치는 수치라는 설명이다.
한편, 많은 사람이 전자파의 위험성을 우려하고 있는 면과는 대조적으로, 피부 관리, 치료 등을 위해 전자파를 직접적이고 다양하게 이용하고 있다.
김학림 단국대 의과대학 교수는 많은 사람이 전자파를 이용한 미용 기기로 피부 시술을 받고 있으며, MRI 진단, 뇌심부자극술, 조직재생 촉진 등의 치료에도 이용한다고 언급했다.
“우리 주변에는 다양한 형태로 전자파가 존재한다.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는 전자파 사용의 임상적 효용성은 인정받고 있다”고 말한 김 교수는 “그러나 정확한 기전과 안전성에 대한 연구 결과는 제한적이므로 이에 대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c)산업종합저널.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