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직장인 가장 큰 스트레스는 ‘성과에 대한 압박감’

나우앤서베이, ‘회식’은 그 자체가 스트레스

직장인 가장 큰 스트레스는 ‘성과에 대한 압박감’ - 산업종합저널 동향

직장인이 받는 가장 큰 스트레스는 무엇일까.

나우앤서베이가 최근 이 같은 주제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1위는 영업/업무 성과에 대한 압박으로 나타났다.

엘림넷 나우앤서베이는 지난달 4일부터 12일까지 나우앤서베이 자체 직장인 패널 1천92명(남성 627명, 여성 465명)을 대상으로 ‘직장인의 스트레스’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다.

‘당신의 직장 내 가장 큰 스트레스는?’에 대해 질문한 결과 ‘영업/업무 성과에 대한 압박 (14.8%)’이 많은 응답을 차지했고, ‘회사의 미래에 대한 불안감 (12.1%)’, ‘과도한 업무량 (10.5%)’, ‘낮은 연봉 (9.6%)’, ‘출퇴근 (8.6%)’, ‘상사와의 인간 관계 (7.8%)’, ‘반복되는 일상 (6.0%)’, ‘팀원과의 인간 관계 (5.8%)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

‘당신이 가장 자주 사용하는 스트레스 해소 방법은?’에 대해 질문한 결과 ‘술 마시기 (13.9%)’가 많은 응답을 차지했고, ‘운동 (11.3%)’, ‘영화 감상 (10.2%)’, ‘맛있는 음식 먹기 (8.8%)’, ‘수면 (8.6%)’, ‘음악 감상 (7.6%)’, ‘담배 피기 (6.5%)’, ‘산책 (5.9%)’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

‘현재 직장에서 받는 스트레스 때문에 진지하게 퇴사를 생각해 보신 적이 있으신가요?’에 대해 질문한 결과 ‘예 (63.2%)’, ‘아니오 (36.8%)’ 순으로, 직장에서 받는 스트레스 때문에 과반수가 퇴사를 생각해 본 적이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귀하가 속한 회사의 회식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에 대해 질문한 결과 ‘스트레스를 주지도 않고 해소에 도움도 안 된다. (39.7%)’가 많은 응답을 차지했고, ‘스트레스를 주는 편이다. (23.8%)’,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되는 편이다. (21.5%)’, ‘스트레스를 대단히 많이 준다. (10.7%)’, ‘스트레스 해소에 큰 도움이 된다. (4.2%)’라고 답했다.

회사에서 ‘회식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응답자(34.5%)가 회식을 통해 ‘스트레스가 해소된다’는 응답자(25.7%) 보다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나, 회사에서의 회식은 대체적으로 부정적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분석됐다.

‘귀하가 속한 회사의 회식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라는 질문에 대한 응답 결과를 남녀별로 비교해 본 결과 남성은 회식으로 인해 ‘스트레스가 해소된다’는 응답자(32.4%)가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응답자(27.5%)보다 4.9%p 더 높게 나타났지만 표본오차 범위(5.94%p)를 넘지는 않았다.

반면, 여성은 ‘회식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한 응답자(44.1%)가 ‘스트레스가 해소된다’고 한 응답자(16.8%)의 2.6배에 달해 남녀간 큰 차이를 보였다.

‘귀하가 속한 회사의 회식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라는 질문에 대한 응답 결과를 직급별로 분석한 결과 차장 이상의 직급에서는 ‘회식이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된다’고 한 응답자가 ‘스트레스를 준다’는 응답자보다 많았지만, 과장 이하의 직급에서는 ‘스트레스를 준다’는 응답자가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을 준다’는 응답자보다 더 많았다.

직급이 올라갈수록 회사에서 회식을 선호하는 반면에 직급이 낮을수록 피하고 싶어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연말 직장에서의 송년 회식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안 했으면 좋겠다 (48.3%)’가 가장 많았고, ‘해도 되고 안 해도 된다. (45.5%)’, ‘기다려진다. (6.2%)’라고 순위를 매겼다.

‘연말 직장에서의 송년 회식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라는 질문에 대한 응답 결과를 직급별로 분석한 결과 전 직급에 걸쳐서 ‘안 했으면 좋겠다’는 응답자의 수가 ‘기다려 진다’는 응답자의 수를 압도했다. 특히 직급이 낮을수록 연말 송년 회식을 기피하는 현상이 뚜렷했다.

한편, 이번 설문 응답자는 전국의 10~60대의 직장인 남자 627명, 여자 465명, 총 1천92명으로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는 ±2.97%포인트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바이오 인공장기, 의료 혁명 이끌까… 심장이식 대기자들에게 희망

최근 심근경색으로 쓰러져 병원에 긴급 후송된 환자는, 쓰러진 지 5분이 넘은 바람에 심장이 멈췄다. 이 환자는 보조장치인 ECMO(체외막 산소화장치)를 사용하여 연명했지만, 심장은 결국 10일 후에야 다시 뛰었고, 그 기능은 70%에도 미치지 못했다. 결국 이 환자는 사망에 이르게 되었다.

2025년 소비 시장 5대 키워드 'S.N.A.K.E' 제시

대한상공회의소(이하 대한상의)가 2025년 소비 시장을 이끌 5대 키워드로 ‘S.N.A.K.E’를 선정하며, 경기 둔화와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유통 기업들이 생존 전략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한상의는 7일 발표한 ‘2025 유통산업 백서’를 통해 S.N.A.K.E(Survival, Next

이차전지 제조장비, 차세대 기술로 2030년 50조 원 시장 전망

이차전지 제조장비 산업이 2030년까지 50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특히 건식 전극 공정과 전고체 배터리가 차세대 핵심 기술로 주목받으며, 관련 기술 개발과 글로벌 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한국기계연구원(이하 기계연)은 최근 발간한 ‘기계

급증하는 고령층 취업… 일할 의지는 넘치지만 일자리는 부족

대한민국이 초고령사회로 빠르게 진입하면서 60대 이상 고령층의 노동시장 참여가 급증하고 있다. 2025년에는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20.6%에 달해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전망이며, 이에 따라 60대 이상의 일자리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2024년 9월 기준, 60세 이상 취업자

DPP 도입, 국내 기업에 도전이자 기회

2027년부터 EU가 디지털제품여권(DPP) 제도를 순차적으로 의무화하면서, 국내 기업들의 선제적 대응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5일 'EU 디지털제품여권(DPP) 동향 및 GS1 국제표준 기반 대응 가이드라인'을 발표하며, DPP 정책 동향과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디지털제품여권(DP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