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올해 반도체 칩 평균판매단가 상승…반도체 매출 회복 전망

인텔, 글로벌 반도체 공급업체 매출 순위 1위 탈환…삼성전자와 2년만의 순위 변동

올해 반도체 칩 평균판매단가 상승…반도체 매출 회복 전망 - 산업종합저널 전자

지난해 전 세계 반도체 매출은 2018년 대비 11.9% 하락한 4천183억 달러를 기록했다. 메모리 시장 침체가 2018년과 2017년에 매출 1위를 차지한 삼성전자를 비롯한 주요 기업에 악영향을 미치면서, 인텔은 다시 1위 자리로 올라섰다.

가트너(Gartner)가 2019년 전세계 반도체 매출에 대한 예비조사 결과에 따르면, 인텔의 반도체 매출은 서버 시장이 침체되고, 지속적으로 CPU 공급이 제한을 받는 양상으로 전개됐다. 4분기에 셀룰러 모뎀 사업을 애플에 판매하면서 0.7% 감소했다. 삼성전자는 다른 메모리 공급업체들과 마찬가지로, D램 및 NAND플래시 시장에서 과잉 공급 및 가격 하락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매출의 82%를 차지했던 삼성전자의 메모리 매출은 2019년 34% 마이너스 성장했다.

메모리 부분에서 NAND 플래시는 2019년에 전체 메모리 시장에 비해 완만한 하락세를 나타냈다. 2018년 말에 증가한 재고는 2019년 상반기 수요 부진으로 더욱 악화돼, NAND 플래시 매출은 23.1% 감소했다.
NAND 시장은 2019년 7월부터 안정화되기 시작했으며, 키옥시아(KIOXIA) 및 웨스턴 디지털이 공동 소유한 공장에 정전이 발생한 것이 도움이 됐다. 해당 사건은 공급업체 재고 정리를 촉진시켰으며, 지속 불가능한 수준에서 가격이 상승하도록 유도했다. 가트너는 SSD 도입률 및 5G스마트폰 수요 증가로 인한 공급 비트 그로스(비트 단위의 생산량 증가율, bit growth)가 낮기 때문에 2020년에도 NAND의 회복이 계속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다른 디바이스 항목들의 매출 성장세의 경우, 아날로그 제품은 5.4% 감소하고 광전자 제품은 2.4% 증가하는 등 다양한 결과를 보였다. 아날로그 제품은 단말장비(end-equipment) 시장의 약세로 어려움을 겪었으며, 특히 산업 및 레거시 자동차는 마이크로컨트롤러 및 기타 로직 등의 다른 광범위한 상용 디바이스와 마찬가지로 하락세를 보였다. 한편, 광전자 제품은 스마트폰의 카메라 수가 증가함에 따라 모든 디바이스 항목에서 최고의 성과를 기록했다.

가트너의 부사장 겸 애널리스트인 앤드류 노우드(Andrew Norwood)는 30일자 발표자료를 통해 “2019년 반도체 판매량의 26.7%를 차지했던 메모리 시장은 2019년 매출이 31.5% 감소했다”며, “메모리 부문 내에서는 D램이 2018년말부터 2019년까지 과잉 공급이 지속되면서 매출이 37.5% 감소했다. 과잉 공급은 하이퍼스케일(hyperscale) 시장의 수요 급감으로 인해 발생했으며, 이는 상반기에 걸쳐 간신히 회복한 OEM의 과잉 재고 실태를 보여준다. 또한, 2019년 하반기에 D램 공급업체의 과잉 재고 영향으로 가격이 인하됨에 따라, 2019년 평균판매단가(ASP)는 47.4% 하락했다”고 전했다.

노우드 부사장은 “2020년에는 과잉 재고 문제 해소로 칩 ASP가 올라가면서 반도체 시장 매출, 특히 메모리 부문의 매출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전쟁은 2020년으로 접어들면서 완화되는 것 같지만, 미국은 2019년 동안 화웨이 등 여러 중국 기업을 수출 제한 기업 목록(Entity List)에 추가해 미국 부품의 매각을 제한했다. 이로 인해 화웨이는 미국 기업을 대체할 수 있는 실리콘 공급업체를 확보하기 위해, 자회사인 하이실리콘(HiSilicon) 뿐만 아니라 일본, 대만, 한국 및 중국에 본사를 둔 대체 공급업체들을 모색해야만 했다. 이는 2020년 주목해야 할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이재명 대통령, 첫 내각 인선 발표…“위기 극복과 국민통합 이끌 적임자들”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제21대 대통령 취임 직후, 새 정부를 이끌 첫 내각 인선을 직접 발표했다. 이 대통령은 “즉시 업무가 가능한 능력과 전문성, 성과를 낼 수 있는 정치력과 소통 능력을 갖춘 인사를 중용했다”며 각 인사의 배경과 기대를 상세히 설명했다. 김민석 국회의원, 국무총리

정부,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대… 3월부터 본격 지원

환경부는 26일 브리핑을 통해 2025년 전기차 충전시설 지원 사업을 3월 초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올해 충전시설 설치 지원 예산은 전년 대비 43% 증가한 6천187억 원으로, 급속충전기 보급에 3,757억 원, 스마트제어 완속충전기 확대에 2천430억 원이 각각 투입된다. 류필무

신용취약 소상공인 대상 정책자금 지원, 최대 3천만 원 직접대출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하 소진공)은 지난 5일 발표된 ‘소상공인·자영업자 맞춤형 지원 강화방안’의 일환으로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을 6일부터 접수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은 민간 금융기관을 통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신용취약

쓸수록 돌려받는 ‘상생페이백’ 9월 15일 신청 시작

정부가 다음달 15일부터 새로운 소비지원 정책인 ‘상생페이백’을 시행한다. 만 19세 이상 국민이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으며, 2024년에 카드 사용 실적만 있으면 참여할 수 있다. 이번 제도는 국민의 체감 혜택과 소상공인 매출 증대를 동시에 겨냥한 소비 촉진책으로 마련됐다. 상생페이백

2024년 글로벌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감소… 하반기 회복 전망

글로벌 전자 산업 공급망을 대표하는 산업 협회인 SEMI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은 전년 대비 2.7% 감소한 122억 6,600만 in²을 기록했다. 매출은 6.5% 줄어든 115억 달러로 집계됐다. SEMI는 반도체 업계의 재고 조정이 지속되면서 웨이퍼 출하량과 매출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