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공작기계 수주·수출 등 모두 큰 폭 하락 코로나19 본격화, 중국 경기회복 지연, 유가 급락

코로나19 본격화, 중국 경기회복 지연, 유가 급락

공작기계 수주·수출 등 모두 큰 폭 하락                                                                                                                                코로나19 본격화, 중국 경기회복 지연, 유가 급락 - 산업종합저널 동향

올해 4월 공작기계 수주는 1천186억 원으로 집계됐다. 전월대비 20.1%, 전년동월대비로는 43.2% 감소한 저조한 실적이다.

코로나19 본격화에 따른 미국·EU 등 주요 시장의 수입수요 급감, 中 경기회복 지연, 유가 급락 등이 더해져 공작기계의 수주, 수출 등이 모두 큰 폭으로 떨어졌다.

이 기간 공작기계 수주는 6천152억 원으로 전년동기대비 34.8% 감소했다. 내수수주는 3천161억 원으로 전년동기대비 24.0% 감소했으며, 수출수주 또한 2천991억 원으로 전년동기대비 43.3% 줄었다.

품목별 수주 중 NC절삭기계(1천150억 원 ▲20.0%), 범용절삭기계(25억 원 ▲30.4%), 성형기계(12억 원 ▲5.4%) 모두 전월대비 적었다.

NC선반(431억 원 ▲28.8%), 머시닝센터(462억 원 ▲13.6%)은 전월대비 감소했으나, 프레스(10억 원 +12.6%)는 전월대비 상승했다. 보링기(NC포함, 95억 원 ▲37.1%), 연삭기(NC포함 15억 원 ▲43.6%), 밀링기(NC포함, 10억 원 ▲31.7%), 범용선반(10억 원 ▲12.8%) 모두 전월대비 하락했다.

업종별 수주에서는 자동차 업종의 올해 4월 수주가 294억 원으로 전월대비 3.9% 늘었지만, 전년동월대비해서는 26.6% 마이너스 성장했다.

일반기계(179억 원 ▲1.3%), 전기·전자·IT(83억 원 ▲15.2%), 철강·비철금속(17억 원 ▲68.2%), 정밀기계(12억 원 ▲27.5%), 금속제품(7억 원 ▲71.6%) 업종은 전월대비 감소한 반면, 조선·항공(26억 원, +31.5%) 업종은 전월대비 올랐다.

생산·출하
같은 기간 공작기계 생산은 1천677억 원으로 전월대비 5.7% 감소(전년동월대비 ▲26.1%), 출하는 1천477억 원으로 전월대비 20.7%(전년동월대비 ▲34.8%) 줄었다.

공작기계 수주·수출 등 모두 큰 폭 하락                                                                                                                                코로나19 본격화, 중국 경기회복 지연, 유가 급락 - 산업종합저널 동향

올해 1∼4월 공작기계 생산은 6천705억 원으로 전년동기대비 23.5%, 출하는 6천637억 원으로 전년동기대비 26.8% 감소했다. 4월 한달 품목별 생산에서 NC절삭기계(1천497억 원 ▲6.0%), 성형기계(151억 원 ▲2.8%), 범용절삭기계(29억 원 ▲7.4%) 모두 전월대비 하락세를 면치 못했다. NC선반(586억 원, +3.8%)은 전월대비 증가한 반면, 머시닝센터(532억 원 ▲9.4%), 프레스(147억 원 ▲2.9%), 보링기(23억 원 ▲42.8%)는 전월대비 감소했다.

수출
4월 공작기계 수출은 1억4천600만 불로 전월대비 22.4%, 전년동월대비로는 32.4%나 줄었다. 1∼4월 공작기계 수출은 6억4천600만 불로 전년동기대비 19.8% 마이너스 성장했다. 지역별 수출은 아시아(6천800만 불, ▲19.4), 유럽(3천600만 불, ▲8.2%), 북미(2천800만 불, ▲42.2%), 중남미(900만 불, ▲33.3%) 지역 모두 전월대비 감소세를 면치 못했다.

아시아 지역 중 중국(2천100만 불, ▲50.6%), 일본(400만 불, ▲9.2%) 지역은 전월대비 감소했으나, 대만(1천700만 불, +642.6%), 베트남(1천700만 불, +11.1%) 지역은 전월대비 상승했다. 북미 지역의 미국(2천800만 불, ▲37.3%)은 전월대비 감소했으며, 중남미 지역의 멕시코(800만 불, ▲10.9%) 또한 전월대비 감소했다.
박재영 기자 기자 프로필
박재영 기자
brian@industryjournal.co.kr


0 / 1000


많이 본 뉴스

바이오 인공장기, 의료 혁명 이끌까… 심장이식 대기자들에게 희망

최근 심근경색으로 쓰러져 병원에 긴급 후송된 환자는, 쓰러진 지 5분이 넘은 바람에 심장이 멈췄다. 이 환자는 보조장치인 ECMO(체외막 산소화장치)를 사용하여 연명했지만, 심장은 결국 10일 후에야 다시 뛰었고, 그 기능은 70%에도 미치지 못했다. 결국 이 환자는 사망에 이르게 되었다.

2025년 소비 시장 5대 키워드 'S.N.A.K.E' 제시

대한상공회의소(이하 대한상의)가 2025년 소비 시장을 이끌 5대 키워드로 ‘S.N.A.K.E’를 선정하며, 경기 둔화와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유통 기업들이 생존 전략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한상의는 7일 발표한 ‘2025 유통산업 백서’를 통해 S.N.A.K.E(Survival, Next

이차전지 제조장비, 차세대 기술로 2030년 50조 원 시장 전망

이차전지 제조장비 산업이 2030년까지 50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특히 건식 전극 공정과 전고체 배터리가 차세대 핵심 기술로 주목받으며, 관련 기술 개발과 글로벌 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한국기계연구원(이하 기계연)은 최근 발간한 ‘기계

급증하는 고령층 취업… 일할 의지는 넘치지만 일자리는 부족

대한민국이 초고령사회로 빠르게 진입하면서 60대 이상 고령층의 노동시장 참여가 급증하고 있다. 2025년에는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20.6%에 달해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전망이며, 이에 따라 60대 이상의 일자리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2024년 9월 기준, 60세 이상 취업자

DPP 도입, 국내 기업에 도전이자 기회

2027년부터 EU가 디지털제품여권(DPP) 제도를 순차적으로 의무화하면서, 국내 기업들의 선제적 대응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5일 'EU 디지털제품여권(DPP) 동향 및 GS1 국제표준 기반 대응 가이드라인'을 발표하며, DPP 정책 동향과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디지털제품여권(DP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