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지역화폐 결제액 증가 시 소상공인 매출액도 57% 증가

결제액 증가 있는 점포 Vs 없는 점포, 매출액 차이 535만 원

지역화폐 결제액 증가 시 소상공인 매출액도 57% 증가 - 산업종합저널 동향

경기지역화폐 발행액과 사용액의 지속적 증가는 소상공인의 추가 매출 증대를 견인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경기연구원이 발표한 '지역화폐의 경기도 소상공인 매출액 영향 분석(2019년 1~4분기 종합)' 보고서를 보면, 지역화폐 결제액이 증가할 수록 소상공인 매출액은 추가로 57% 증가한다는 연구결과를 내놓았다. 지역화폐 결제액(100만 원 기준) 증가가 있는 점포와 없는 점포 간 매출액 차이는 535만 원에 해당한다고 했다.

지난해 4월 본격적으로 시행한 경기지역화폐는 발행액과 사용액 모두 지속 증가 추세다.

경기지역화폐 사용액은 2분기 466억 원, 3분기 1천18억 원, 4분기 1천315억 원이며, 발행량 대비 사용량 비율은 2분기 56.5%, 3분기 85.5%, 4분기 88.9%로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 보고서는 경기지역화폐의 소상공인 매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2019년 4개 분기에 대해 약 3천800개 업체를 대상으로 한 조사결과를 담고 있다.

분기별 점포당 월평균 매출액은 2019년 2분기 약 1천600만 원에서 4분기 약 1천800만 원으로 호전됐다. 경기지역화폐 총결제액은 2분기 7억3천만 원에서 4분기 9억5천만 원, 이용 점포 수도 2분기 1천773개에서 4분기 2천61개로 늘었다.

매출액 증대 효과에 대해 패널분석 확률효과모형을 활용해 추정한 결과, 지역화폐 결제 고객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에 비해 매출액이 206만 원 상승한 효과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했다. 시기별로는 지역화폐 결제가 있는 시기가 없었던 시기에 비해 매출액이 115만 원 상승한 효과를 보였다.

점포 간 효과를 분석하면, 지역화폐 결제 경험이 있는 점포는 없는 점포에 비해 매출액이 475만 원 높았다. 이는 지역 내 점포에서만 사용해야 하는 지역화폐의 특성상 기존에는 이용하지 않았던 동네 가게를 계속해서 이용하는 일종의 지역 점포 발굴 효과가 발생한 데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예를 들면 우리 동네에 이런 점포도 있다는 것을 알게 된 지역화폐 이용자들이 계속해서 동네 점포를 찾으면서 전체적으로 매출이 증가한다는 의미다. 동일점포 내 지역화폐 결제액이 100만 원 증가하면 매출액은 추가로 57만 원 증가하고, 점포 간 효과에서는 지역화폐 결제액이 100만 원 높은 점포는 낮은 점포에 비해 매출액이 535만 원 높은 것으로 집계했다.

권역별로 지역화폐 매출액 증대 효과를 살펴봐도 대규모 도시가 있고 부유한 경기 남부권보다는 도심이 적고 개발이 덜 된 북부권과 중부내륙권이 더 크다. 이는 지역화폐가 지역균형발전 차원에서도 긍정적 효과를 보이고 있음을 방증한다.

유영성 경기연구원 기본소득연구단장은 “이번 연구결과로 발행액과 사용액 모두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경기지역화폐가 소상공인 매출액 증대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고 말했다.
신수정 기자
sjshin@industryjournal.co.kr


0 / 1000


많이 본 뉴스

바이오 인공장기, 의료 혁명 이끌까… 심장이식 대기자들에게 희망

최근 심근경색으로 쓰러져 병원에 긴급 후송된 환자는, 쓰러진 지 5분이 넘은 바람에 심장이 멈췄다. 이 환자는 보조장치인 ECMO(체외막 산소화장치)를 사용하여 연명했지만, 심장은 결국 10일 후에야 다시 뛰었고, 그 기능은 70%에도 미치지 못했다. 결국 이 환자는 사망에 이르게 되었다.

2025년 소비 시장 5대 키워드 'S.N.A.K.E' 제시

대한상공회의소(이하 대한상의)가 2025년 소비 시장을 이끌 5대 키워드로 ‘S.N.A.K.E’를 선정하며, 경기 둔화와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유통 기업들이 생존 전략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한상의는 7일 발표한 ‘2025 유통산업 백서’를 통해 S.N.A.K.E(Survival, Next

이차전지 제조장비, 차세대 기술로 2030년 50조 원 시장 전망

이차전지 제조장비 산업이 2030년까지 50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특히 건식 전극 공정과 전고체 배터리가 차세대 핵심 기술로 주목받으며, 관련 기술 개발과 글로벌 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한국기계연구원(이하 기계연)은 최근 발간한 ‘기계

급증하는 고령층 취업… 일할 의지는 넘치지만 일자리는 부족

대한민국이 초고령사회로 빠르게 진입하면서 60대 이상 고령층의 노동시장 참여가 급증하고 있다. 2025년에는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20.6%에 달해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전망이며, 이에 따라 60대 이상의 일자리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2024년 9월 기준, 60세 이상 취업자

DPP 도입, 국내 기업에 도전이자 기회

2027년부터 EU가 디지털제품여권(DPP) 제도를 순차적으로 의무화하면서, 국내 기업들의 선제적 대응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5일 'EU 디지털제품여권(DPP) 동향 및 GS1 국제표준 기반 대응 가이드라인'을 발표하며, DPP 정책 동향과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디지털제품여권(DP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