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원자로 격납건물 결함 정지 4년간 3천998일

황운하의원,“원전 안전이 곧 한수원 경영합리화”

원자로 격납건물 결함 정지 4년간 3천998일 - 산업종합저널 동향

원전안전을 위해서 계측장비부터 밸브류 자동화 개선 등을 통해 원자로 정지일수를 줄일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더불어민주당 황운하 의원(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대전 중구)이 한국수력원자력으로부터 받은 지난 10년간(2011~올해 7월) 원자로 정지일수에 따르면 계획예방정비, 고장 등 불시정지, 원자로 격납건물 공극이나 CLP부식 보수를 위한 원자로 가동정지일은 총 2만1천497일로 파악했다. 원전 1기가 58년 8개월 동안 운영될 수 있는 기간이다.

고장이 아닌 예방정비일수(OH, Overhaul)를 제외하더라도 총 5천322일로 원전 1기가 14년 5개월 동안 가동할 수 있는 기간에 해당한다.

한수원이 제출한 원자로 격납건물 공극 및 CLP부식 전수조사 결과를 보면, 공극은 14호기에 걸쳐 332개, CLP부식은 10호기에 걸쳐 1천605개를 발견했다. 유지보수를 위해 원자로가 정지된 기간은 지난 4년간 3천998일이다.

고장 등에 따른 원자로 불시정지는 1천324일, 계획예방정비일은 1만6천175일로 원자로 정지일수는 지난 10년간 원전의 발전량과 가동률 저하에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

황운하의원은 “평상시 원전안전을 위한 스트레스 테스트를 철저히 수행하고, 각종 안전, 계측장비의 교환 및 점검이 요구된다”고 전제한 뒤, “밸브류의 자동화 개선, 운전원에 대한 교육강화를 통한 오조작에 의한 원자로정지 예방, 계획예방정비기간 중 원자로 건물 결함 개보수 등을 통해 원자로 정지일수를 획기적으로 줄여 나간다면 원전의 안전도모는 물론 발전량 증가 및 한수원 경영개선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바이오 인공장기, 의료 혁명 이끌까… 심장이식 대기자들에게 희망

최근 심근경색으로 쓰러져 병원에 긴급 후송된 환자는, 쓰러진 지 5분이 넘은 바람에 심장이 멈췄다. 이 환자는 보조장치인 ECMO(체외막 산소화장치)를 사용하여 연명했지만, 심장은 결국 10일 후에야 다시 뛰었고, 그 기능은 70%에도 미치지 못했다. 결국 이 환자는 사망에 이르게 되었다.

2025년 소비 시장 5대 키워드 'S.N.A.K.E' 제시

대한상공회의소(이하 대한상의)가 2025년 소비 시장을 이끌 5대 키워드로 ‘S.N.A.K.E’를 선정하며, 경기 둔화와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유통 기업들이 생존 전략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한상의는 7일 발표한 ‘2025 유통산업 백서’를 통해 S.N.A.K.E(Survival, Next

이차전지 제조장비, 차세대 기술로 2030년 50조 원 시장 전망

이차전지 제조장비 산업이 2030년까지 50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특히 건식 전극 공정과 전고체 배터리가 차세대 핵심 기술로 주목받으며, 관련 기술 개발과 글로벌 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한국기계연구원(이하 기계연)은 최근 발간한 ‘기계

급증하는 고령층 취업… 일할 의지는 넘치지만 일자리는 부족

대한민국이 초고령사회로 빠르게 진입하면서 60대 이상 고령층의 노동시장 참여가 급증하고 있다. 2025년에는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20.6%에 달해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전망이며, 이에 따라 60대 이상의 일자리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2024년 9월 기준, 60세 이상 취업자

DPP 도입, 국내 기업에 도전이자 기회

2027년부터 EU가 디지털제품여권(DPP) 제도를 순차적으로 의무화하면서, 국내 기업들의 선제적 대응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5일 'EU 디지털제품여권(DPP) 동향 및 GS1 국제표준 기반 대응 가이드라인'을 발표하며, DPP 정책 동향과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디지털제품여권(DP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