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바이든 행정부 ‘경제 민족주의’, 한국 경제 ‘기회 반·우려 반’ 명암 교차

‘반도체·차세대 배터리’ 기회, ‘자동차·철강·화학’ 등 탄소세 관련분 야 위협

바이든 행정부 ‘경제 민족주의’, 한국 경제 ‘기회 반·우려 반’ 명암 교차 - 산업종합저널 동향

“미국의 제59대 대통령으로 당선된 조 바이든은 대내적으로 ‘Made in all of America’의 국민 포용정책으로 증세, 연방정부의 공공조달 강화, 자국 내 일자리 창출에 주력하는 동시에 대외적으로 탄소세 부과와 환경․노동자 인권을 중시하는 공정무역 등 바이든式 경제 민족주의(economic nationalism)가 부상할 것입니다”

국제통상분야 권위자인 최병일 이화여대 국제대학원 교수가  ‘美  바이든 당선, 韓 경제 앞날은?’을 주제로 열린 ‘대한상의 경영콘서트’  온라인 강연에서 강조한 말이다.

최병일 교수는 먼저 바이든 행정부의 환경정책 변화에 따른 국내 산업영향에 대해 “트럼프가 탈퇴한 파리기후변화협약 재가입 뿐 아니라 탄소배출 제로를 목표로 수입품에 대한 ‘탄소세’(carbon tax)가 부과된다면 우리나라 자동차‧철강‧석유화학 기업들이 벼랑 끝까지 몰릴 수 있다”면서도 “반면 반도체, 배터리 기업은 새로운 기회를 잡을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무역정책 ‘리트머스’ 차트되나
최 교수는 “자유무역 보다 공정무역을 우선시 하는 바이든 행정부는 트럼프가 탈퇴한 CPTPP(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로 복귀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한편 전통적인 동맹국들과 반중국 경제동맹도 만들 것”이라고 전제한 뒤 “기존 NAFTA보다 환경․노동기준을 강화한 USMCA(북미자유무역협정)의 확대 가능성도 커진 가운데 기존 가입국인 미국, 멕시코, 캐나다외에 영국과 일본도 가입할 움직임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러한 상황에서 對美 무역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의 입장에서 미국 주도의 新경제동맹 참여를 고민해야 할 것이며 이는 동시에 한국 무역정책의 첫 번째 리트머스 차트가 될 것”이라며 “USMCA 가입을 위해서는 우리기업도 높은 환경․노동자 권리보호 기준에 미리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보는 미국, 경제는 중국 의존 ‘안미경중’(安美經中) 전략 '시험대로'
미‧중 경제관계 전망에 대해서 그는 “애플 아이폰은 캘리포니아에서 디자인 했는데 왜 일자리가 미국에 만들어지지 않고 중국에서 생기냐는 불만과, 그동안 대중국 정책이 너무 포용적이었다는 비판으로 인해 미국내 반중국 정서는 최근 73%에 육박했다”며 “일부에서는 시진핑과 가까운 바이든이 對중국 유화정책을 펼 칠 것이라고 전망하지만, 일자리 해결 뿐 아니라 산업기술 부흥을 기대하는 미국 내 여론을 의식하면 눈에 띄는 미중관계 개선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진단했다.

최 교수는“이에 따라 그동안 안보는 미국, 경제는 중국에 의존하는 이른바‘안미경중(安美經中)’ 전략을 취해 온  한국의 외교정책도 시험대에 오르게 될 것”으로 예측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바이오 인공장기, 의료 혁명 이끌까… 심장이식 대기자들에게 희망

최근 심근경색으로 쓰러져 병원에 긴급 후송된 환자는, 쓰러진 지 5분이 넘은 바람에 심장이 멈췄다. 이 환자는 보조장치인 ECMO(체외막 산소화장치)를 사용하여 연명했지만, 심장은 결국 10일 후에야 다시 뛰었고, 그 기능은 70%에도 미치지 못했다. 결국 이 환자는 사망에 이르게 되었다.

2025년 소비 시장 5대 키워드 'S.N.A.K.E' 제시

대한상공회의소(이하 대한상의)가 2025년 소비 시장을 이끌 5대 키워드로 ‘S.N.A.K.E’를 선정하며, 경기 둔화와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유통 기업들이 생존 전략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한상의는 7일 발표한 ‘2025 유통산업 백서’를 통해 S.N.A.K.E(Survival, Next

이차전지 제조장비, 차세대 기술로 2030년 50조 원 시장 전망

이차전지 제조장비 산업이 2030년까지 50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특히 건식 전극 공정과 전고체 배터리가 차세대 핵심 기술로 주목받으며, 관련 기술 개발과 글로벌 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한국기계연구원(이하 기계연)은 최근 발간한 ‘기계

급증하는 고령층 취업… 일할 의지는 넘치지만 일자리는 부족

대한민국이 초고령사회로 빠르게 진입하면서 60대 이상 고령층의 노동시장 참여가 급증하고 있다. 2025년에는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20.6%에 달해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전망이며, 이에 따라 60대 이상의 일자리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2024년 9월 기준, 60세 이상 취업자

DPP 도입, 국내 기업에 도전이자 기회

2027년부터 EU가 디지털제품여권(DPP) 제도를 순차적으로 의무화하면서, 국내 기업들의 선제적 대응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5일 'EU 디지털제품여권(DPP) 동향 및 GS1 국제표준 기반 대응 가이드라인'을 발표하며, DPP 정책 동향과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디지털제품여권(DP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