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코로나19 시대, 곁에 ‘좋은 리더’가 있나요?

직장인들, 이상적 리더 유형 ‘덕장’, ‘맹장’, ‘지장’ 순

코로나19 시대, 곁에 ‘좋은 리더’가 있나요? - 산업종합저널 동향

직장인들은 코로나19가 장기화 하면서 리더의 소통 및 위기관리 능력이 중요하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 책임감, 신뢰, 소통능력, 실무능력까지 요구하고 있다.

시장조사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전국 만 19세~59세 직장인 남녀 1천 명을 대상으로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리더십’ 관련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코로나의 확산 속에 조직 내 ‘리더’의 역량이 중요하다는 것을 체감하는 직장인들이 많아졌다.

포스트코로나 시대에는 리더의 역할이 더욱 강조될 것이라는 인식이 뚜렷했다.

직장인들이 가장 이상적이라고 생각하는 리더의 유형은 ‘덕장’(63.7%, 중복응답)이라는 답했다. 덕을 가지고 있고 부하 직원을 통솔하는 능력이 뛰어난 리더가 요즘 시대에 가장 필요하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맹장(55.1%)과 지장(49.9%) 순으로 이상적이라고 했다.

반면 운에 기대는 운장(8.2%)과 용감하게 싸우는 용장(6.8%)은 큰 호감을 얻지 못했다. 한 조직의 리더라면 응당 여러 가지 자질들을 갖춰야만 하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자질로는 책임감(53.6%, 중복응답)이 꼽혔다.

신뢰도(49.4%)와 소통능력(48.5%), 실무능력(48.4%)의 중요성도 많이 강조했다. 기본적으로 일과 조직에 대한 책임감, 구성원에 믿음, 원활한 소통과 함께, 일의 전문성까지 갖춘 리더만이 진정한 리더로서 구성원들에게 존경을 받는다는 점이다. 리더라면 리스크 관리 능력(26.9%)과 포용력(26.5%), 갈등 조정 역량(23.2%)을 갖춰야 한다고 했다.

조직 내에서 ‘리더십’이 필요한 상황으로는 중요한 사안에 대해 결단을 내려야 할 때(65.7%, 중복응답)다. 리더만이 갖고 있는 ‘의사결정권자’로서의 역할을 강조했다. 조직 내부의 관계를 조화롭게 해야 하는 상황(49.8%)과 조직의 성과를 이뤄야 하는 상황(46.3%), 조직 내부의 위기 상황(44.8%)에서 리더의 역할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많았다.

실제 전체 응답자의 83.5%가 리더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부서 및 팀 구성원을 잘 관리하는 것이라는 주장에 공감하는 분위기다. 리더에게는 개인의 성과보다는 부서 및 팀의 성과가 중요하다고 바라보는 직장인도 10명 중 7명(71.4%)에 달했다. 좋은 리더라면 자신이 맡고 있는 업무에서 실무의 비율을 낮출 필요가 있고(47%), 중요한 업무야말로 부하 직원에게 맡겨야 한다(38.6%)는 생각도 적지 않았다.

코로나19 시대, 곁에 ‘좋은 리더’가 있나요? - 산업종합저널 동향

좋은 리더를 만나면 회사생활 더 열심히
조직의 리더가 보유한 역량은 여러 측면에서 부서원과 팀원 등 조직 구성원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평가가 많았다. 직장인의 74.9%가 리더의 역량이 전반적인 회사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준다는데 동의한 것으로, 무엇보다도 부서 및 팀 분위기(80.8%, 동의율)와 개인의 업무 능력 향상(78%)에 끼치는 리더의 영향력을 높게 평가했다.

근속 및 이직에 대한 생각(70.2%)과 조직에 대한 충성도(65.8%), 회사에 대한 로열티(56.4%)에 영향을 준다고 생각하는 직장인들도 상당했다. 직장인들에게는 ‘좋은 리더’를 만나는 것만큼 직장생활에서 중요한 것은 없다는 생각도 충분히 할 수 있다.

전체 응답자의 87.1%가 좋은 리더를 만나면 회사생활을 더 열심히 할 수 있다고 했다. '솔선수범'하는 리더는 자연히 주위 사람들이 따를 수밖에 없다고 평가(81.2%)했다. 좋은 리더를 만나면 남들보다 회사에서의 성장 기회를 더 얻을 수 있고(86.6%), 다른 입사 동기들보다 회사에서 두각을 빨리 드러낼 수 있다(78.7%)는 것이 대부분 직장인들의 공통적 의견이다.

하지만 좋은 리더를 만나는 것은 생각보다 더 훨씬 어려운 일이다. 직장인의 84.3%가 직장생활을 하면서 정말 믿고 의지할 만한 리더를 만나기는 쉽지 않은 것 같다고 응답했다. 그만큼 직장생활에서 좋은 리더를 만나본 경험이 많지 않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현재 직장생활을 하면서 존경하거나 따르는 대상이 있는가라는 물음에도 '없다'고 말하는 직장인이 더 많은 비중(없음 48.8%, 있음 38.7%)을 차지했다. 10명 중 6명(58.2%)은 요즘 부하직원들의 진짜 이직 및 퇴직 이유에는 ‘상사와의 관계’가 핵심인 경우가 많다고 바라봤다.

코로나19 시대, 곁에 ‘좋은 리더’가 있나요? - 산업종합저널 동향

좋은 리더를 만나는 것은 어쩌면 직장인들에게 큰 ‘행운’이다.

리더의 역량은 ‘나이’와 ‘직급’과는 무관하다는 인식이 강했다. 나이가 많다고 다 리더인 것은 아니고(85.7%), 직급이 높다고 다 리더인 것은 아니다(81.4%)라는 직장인들이 대다수다.

리더, 무엇보다 리스크 관리 중요
코로나19 확산 이후 리더의 ‘위기관리 능력’이 시험대에 올랐다. 전체 응답자의 73.9%가 리더에게는 무엇보다 리스크 관리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됐다고 답했다.

리더는 커뮤니케이션 능력도 요구된다. 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직장인이 많다.

포스트코로나 시대 리더 역할 더 중요해질 것
‘포스트코로나 시대’에는 리더의 역할이 더욱 강조될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직장인의 68.7%가 코로나19 이후의 시대에는 리더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질 것 같다고 내다봤다.

포스트코로나 시대에는 개별 부서 및 팀 리더의 역량에 따라 조직의 성패가 좌우되는 비중이 더 커지고, 중요한 사안에 대해서는 리더의 결정에 따르는 태도가 더욱 강해질 것 같다(52.9%)고 예상하는 직장인들이 많았다.
포스트코로나 시대 가장 중요한 리더 자질은 '소통틍력'
리더는 ‘포용력’을 갖춰야 한다고 생각하는 직장인들이 많은 것도 주목해볼 부분이었다. 전체 10명 중 8명(80.6%)이 향후 포용력 있는 리더십이 중요해질 것이라고 바라봤으며, 구성원 개개인을 아우를 수 있는 리더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는 의견도 78.1%에 달했다.

포용력 있는 리더십이 새삼스럽게 강조되는 이유는 사회전반적으로 변화가 뚜렷해지고, 소통의 필요성이 중요해진 것과 관련이 깊다는 점이다.

비대면 근무가 일상화되면 부서 소통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 리더의 가장 중요한 역랑이고(79.9%), 직장 내 세대차이를 극복하는 것이 리더에게 중요한 역할이라고(78.4%) 생각하는 직장인들이 많았았다. 이러한 역할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무엇보다 ‘소통능력’을 바탕으로 한 ‘포용력’이기 때문이다. 실제 직장인들이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가장 중요하게 여겨질 리더의 자질과 능력으로 꼽는 것도 소통능력(50.7%, 중복응답)이었다.

물론 책임감(42.1%)과 리스크 관리 능력(41.1%), 실무능력(38.8%), 신뢰도(37.5%) 역시 리더의 중요한 자질로 여겨졌으나, 기본적으로는 소통능력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인식이 강한 것이다. 앞으로는 권위적인 리더십보다 ‘수평적인 리더십’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는 예상(83.7%)이 많은 것도 비슷한 맥락에서 살펴볼 수 있었다. 반면 향후 강력한 카리스마를 갖춘 리더십이 각광받게 될 것이라는 의견(44.7%)은 상대적으로 적었으며, 앞으로 조직 내 위계질서가 더욱 강조될 것이라는 목소리(23.2%)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신수정 기자
sjshin@industryjournal.co.kr


0 / 1000


많이 본 뉴스

바이오 인공장기, 의료 혁명 이끌까… 심장이식 대기자들에게 희망

최근 심근경색으로 쓰러져 병원에 긴급 후송된 환자는, 쓰러진 지 5분이 넘은 바람에 심장이 멈췄다. 이 환자는 보조장치인 ECMO(체외막 산소화장치)를 사용하여 연명했지만, 심장은 결국 10일 후에야 다시 뛰었고, 그 기능은 70%에도 미치지 못했다. 결국 이 환자는 사망에 이르게 되었다.

2025년 소비 시장 5대 키워드 'S.N.A.K.E' 제시

대한상공회의소(이하 대한상의)가 2025년 소비 시장을 이끌 5대 키워드로 ‘S.N.A.K.E’를 선정하며, 경기 둔화와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유통 기업들이 생존 전략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한상의는 7일 발표한 ‘2025 유통산업 백서’를 통해 S.N.A.K.E(Survival, Next

이차전지 제조장비, 차세대 기술로 2030년 50조 원 시장 전망

이차전지 제조장비 산업이 2030년까지 50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특히 건식 전극 공정과 전고체 배터리가 차세대 핵심 기술로 주목받으며, 관련 기술 개발과 글로벌 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한국기계연구원(이하 기계연)은 최근 발간한 ‘기계

급증하는 고령층 취업… 일할 의지는 넘치지만 일자리는 부족

대한민국이 초고령사회로 빠르게 진입하면서 60대 이상 고령층의 노동시장 참여가 급증하고 있다. 2025년에는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20.6%에 달해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전망이며, 이에 따라 60대 이상의 일자리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2024년 9월 기준, 60세 이상 취업자

DPP 도입, 국내 기업에 도전이자 기회

2027년부터 EU가 디지털제품여권(DPP) 제도를 순차적으로 의무화하면서, 국내 기업들의 선제적 대응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5일 'EU 디지털제품여권(DPP) 동향 및 GS1 국제표준 기반 대응 가이드라인'을 발표하며, DPP 정책 동향과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디지털제품여권(DP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