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스마트폰 업계, 고품질 사진 도출 위한 개발 지속해

전문 카메라 업체와 스마트폰 기업간 협업 확대

최근 스마트폰 제조업계는 카메라 하드웨어 사양을 높이고 인공지능(AI) 지원 소프트웨어 및 알고리즘 개발을 통해 사용자가 보다 고품질의 사진을 얻을 수 있는 스마트폰을 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스마프폰 제조업체와 카메라 및 광학 전문 기업간 협력을 통해 카메라 기능을 개선하는 사례들이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비보(vivo)와 자이스(ZEISS)는 이미지 품질 개선을 위해 엔지니어링 협력을 발표했다.

이를 통해 vivo는 X60 프로 플러스(Pro +) 시리즈에 ZEISS의 광학(14-23-50-125mm 초점 거리)을 제공하고 T코팅을 통해 광투과율을 개선해 반사를 줄여 미광 및 고스트 발생을 방지했다고 발표했다.

화웨이도 일본 기업인 라이카(Leca)와 협력해 지난해 트리플 카메라를 탑재한 P40 시리즈를 출시한 바 있다. 이 시리즈에는 모두 3배 망원렌즈와 광각 렌즈를 탑재하고 있다.
스마트폰 업계, 고품질 사진 도출 위한 개발 지속해 - 산업종합저널 전자

멀티 카메라 탑재

프리미엄급 카메라뿐만 아니라 저가형 카메라에도 다수의 카메라가 탑재되고 있다.

삼성전자는 이달 28일, 갤럭시 M12를 국내에 출시한다고 밝혔다. 저가형인 이 스마트폰에도 다수의 카메라가 탑재됐다.

카메라의 후면에는 4천800만 화소 메인 카메라, 500만 화소 초광각 카메라, 200만 화소 심도 카메라, 200만 화소 접사 카메라 등 쿼드 카메라를 탑재했고, 전면에는 800만 화소 카메라를 탑재했다.

중국 스마트폰 제조업체인 오포(OPPO)도 지난해 저가형 스마트폰 A31을 출시했다. 이 스마트폰은 전면 800만 화소 싱글 카메라, 후면 트리플 카메라를 탑재해 총 4개의 카메라를 탑재했다.

카운터포인트 테크놀러지 마켓 리서치(Counterpoint Technology Market Research)의 ‘스마트폰 카메라의 기술융합’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에는 스마트폰 당 쿼드 이상 카메라 탑재가 스마트폰 시장의 29%를 차지했다.’며 ‘멀티 카메라 트렌드가 저가 시장에 깊숙이 침투함에 따라 멀티 후면 카메라의 구성 비율은 2023년에 90% 이상 차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AI 기술 도입으로 사진 이미지 향상

스마트폰 제조 기업들은 카메라 사양의 지속적인 고도화와 AI 기술을 적용해 사진 및 비디오 촬영 경험을 더욱 높이고 있다.

애플은 아이폰 12 프로(iphone 12 pro)에 코어 수를 8개에서 16개로 두 배 증가시켜 뉴럴엔진(Neural Engine) 성능을 높였다.

이 회사는 이를 통해 ‘사진의 디테일 향상을 위한 딥퓨전(Deep Fusion) 기술 적용과 같은 머신러닝 능력이 필요한 작업들도 최대 80% 더 빠른 속도로 처리할 수 있다.’고 자료를 통해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갤럭시 S21 시리즈의 AI 카메라를 통해 촬영, 멀티프로임 프로세싱, AI 이미지처리장치라는 3단계 프로세스를 통해 야간이나 저조도 환경에서도 보다 뚜렷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고 자료를 통해 밝혔다.

카운터포인트 테크놀러지 마켓 리서치의 수석 분석가인 Ethan Qi는 ‘스마트폰 카메라의 인상적인 AI 향상에 대해 언급하면서 ‘AI는 동적 물체 및 얼굴 인식, 빛이나 조명 효과, 야간 모드 향상, 왜곡 방지 등과 같은 카메라 기능을 가능하게 했다.’고 분석했다.

또한 ‘AI 기반 안정화 및 멀티 카메라 렌즈의 지능형 조합. AI의 지원으로 카메라는 가장 까다로운 환경에서도 최적의 선명도와 세부 사항 및 색상의 풍부함으로 매 순간을 포착할 수 있게 됐다.’고 덧붙였다.
김지운 기자 기자 프로필
김지운 기자
jwkim@industryjournal.co.kr


0 / 1000


많이 본 뉴스

이재명 대통령, 첫 내각 인선 발표…“위기 극복과 국민통합 이끌 적임자들”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제21대 대통령 취임 직후, 새 정부를 이끌 첫 내각 인선을 직접 발표했다. 이 대통령은 “즉시 업무가 가능한 능력과 전문성, 성과를 낼 수 있는 정치력과 소통 능력을 갖춘 인사를 중용했다”며 각 인사의 배경과 기대를 상세히 설명했다. 김민석 국회의원, 국무총리

정부,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대… 3월부터 본격 지원

환경부는 26일 브리핑을 통해 2025년 전기차 충전시설 지원 사업을 3월 초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올해 충전시설 설치 지원 예산은 전년 대비 43% 증가한 6천187억 원으로, 급속충전기 보급에 3,757억 원, 스마트제어 완속충전기 확대에 2천430억 원이 각각 투입된다. 류필무

신용취약 소상공인 대상 정책자금 지원, 최대 3천만 원 직접대출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하 소진공)은 지난 5일 발표된 ‘소상공인·자영업자 맞춤형 지원 강화방안’의 일환으로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을 6일부터 접수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은 민간 금융기관을 통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신용취약

쓸수록 돌려받는 ‘상생페이백’ 9월 15일 신청 시작

정부가 다음달 15일부터 새로운 소비지원 정책인 ‘상생페이백’을 시행한다. 만 19세 이상 국민이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으며, 2024년에 카드 사용 실적만 있으면 참여할 수 있다. 이번 제도는 국민의 체감 혜택과 소상공인 매출 증대를 동시에 겨냥한 소비 촉진책으로 마련됐다. 상생페이백

2024년 글로벌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감소… 하반기 회복 전망

글로벌 전자 산업 공급망을 대표하는 산업 협회인 SEMI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은 전년 대비 2.7% 감소한 122억 6,600만 in²을 기록했다. 매출은 6.5% 줄어든 115억 달러로 집계됐다. SEMI는 반도체 업계의 재고 조정이 지속되면서 웨이퍼 출하량과 매출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