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K-배터리 핵심소재 수입의존도 63.9%, 국산화 시급

김경만 “가마우지 신세 우려… 국내 배터리 소재기업 경쟁력 강화해야”

K-배터리 핵심소재 수입의존도 63.9%, 국산화 시급 - 산업종합저널 에너지

전 세계 배터리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K-배터리의 글로벌 경쟁력을 더욱 견고히 하기 위해서는 배터리 핵심소재의 국산화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최근 3년간(2018-2020) K-배터리의 글로벌 시장점유율은 2018년 34.7%에서 2020년 44.1%로 성장했고, 중국(33.2%)과 일본(17.4%)를 제치며 선두주자로 올라섰다.

그러나 배터리를 구성하는 4대 핵심 소재(양극재, 음극재, 분리막, 전해액)의 해외의존도는 매우 높은 상황이다. 지난해 기준 4대 소재의 해외의존도는 양극재 50%, 음극재 77.6%, 분리막 61.5%, 전해액 66.3%으로 평균 63.9%에 달한다. 양극재의 경우 2019년 47.2%보다 해외의존도가 더 늘어난 실정이다.

국내 이차전지 핵심소재 기업의 글로벌 시장점유율 역시 양극재 19.5%, 음극재 8.3%, 분리막 19.7%, 전해액 12.1%에 불과해 녹록지 않은 상황이다. 특히, 음극재, 분리막, 전해액의 시장점유율은 점차 높아지는 모양새지만 양극재의 경우는 2018년 20%대비 19.5%로 낮아지고 있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경만 의원(비례대표)이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앞으로 약 10년 후인 2030년에는 글로벌 이차전지 시장규모가 3천517억 불(한화 약 416조원)로 현재(2020년 기준) 461억 불에 비해 8배 가량 커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전 세계적으로 전기차 보급이 늘면서 현재 304억 불 규모인 전기차용 배터리(EV) 시장규모는 2030년 3천47억 불(한화 약 360조원)로 무려 10배 가량 급속 성장할 전망이다.

김경만 의원은 “우리나라는 명실상부 배터리 강국이지만 핵심소재의 해외의존도가 매우 높은 상황이라 자칫 ‘가마우지’ 신세가 될 우려가 크다”며, “K-배터리 핵심소재의 국산화율을 높이기 위해 핵심소재 기업에 대한 세제, 금융, R&D, 인력 등 전폭적인 지원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불필요한 소비를 멈춘 '요노(YONO)' 트렌드

최근 소비자들 사이에서 눈에 띄게 확산되고 있는 새로운 소비 트렌드가 주목받고 있다. 바로 ‘요노(YONO, You Only Need One)’ 트렌드다. 이 트렌드는 말 그대로 ‘하나만 있으면 충분하다’는 의미로, 꼭 필요한 물건만 구매하고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는 현명한 소비 행태를 가리킨다. 경제 불안과

생성형 AI와 ChatGPT 무엇이 다를까

인공지능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생성형 AI와 ChatGPT가 큰 주목을 받고 있다. 두 기술은 모두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지만, 서로 다른 목적과 특징을 갖고 있다. 우선, 생성형 AI는 텍스트, 이미지, 음성 등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를 생성하는 데 사용되는 인공지능 기술이다. 대규모 데이터

AI 기술의 눈부신 발전, 명과 암

최근 AI(인공지능) 기술의 눈부신 발전은 산업과 우리의 삶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AI 기술은 인간의 지능과 능력을 모방하고 확장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하고 있다. AI 기술은 생산성 향상, 효율성 증대, 새로운 산업 창출, 일자리 창출, 인간의 삶의 질 향상 등 다양한 긍정적인 효

디스플레이 수출, OLED가 리드

한국 디스플레이 산업이 OLED(유기발광다이오드)를 중심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다.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에 따르면, 2023년 OLED 수출 비중은 75.8%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2024년에는 태블릿, 자동차 등 다양한 분야에 OLED가 확대 적용되면서 OLED가 디스플레이 전체 수출의 78.

한국 시장을 잡아라, 중국 이커머스의 거센 도전

한국 시장은 세계적인 기업들이 경쟁하는 무대가 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중국의 이커머스 기업들이 한국 시장에 진출하면서, 국내 유통 시장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중국의 TEMU나 알리익스프레스 등은 저렴한 가격과 다양한 상품 라인업을 무기로 국내 소비자들을 공략하고 있으며,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