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화학업계, 자체 기술로 반도체 정밀 화학 분야 성장노력

2022 세미콘 코리아 참가 (주)한양이엔지, (주)엠티아이 다양한 케미컬 솔루션 선보여

2019년 일본이 화이트리스트에서 한국을 배제, 불화수소 등 반도체 공정에 필요한 화학물질 수출을 규제하면서 많은 국내 반도체 기업이 피해를 입었다.

이에 정부는 핵심 품목의 국산화를 강하게 추진했고, 대기업을 중심으로 케미컬 플랜트 설비를 증설하는 추세다.

최근 서울 삼성동 코엑스(COEX)에서 열린 2022 세미콘 코리아(SEMICON KOREA 2022)에는 다양한 케미컬(Chemical) 관련 기업이 참가해 반도체 공정에 필요한 화학설비 및 제품 등을 선보였다.

CCSS부터 자동화 시스템까지, 화학물질 공정 관리 노력

화학업계, 자체 기술로 반도체 정밀 화학 분야 성장노력 - 산업종합저널 전자
(주)한양이엔지 김가희 과장(왼), 김가인 대리(오)

케미컬 종합 설비 시스템 기술을 제공하는 (주)한양이엔지는 이번 전시회에서 화학물질 중앙공급장치(CCSS, Central Chemical Supply System)에 대해 소개했다.

한양이엔지가 1990년 국산화에 성공한 화학물질 중앙공급장치는 초정밀 화학물질의 공급, 이송, 혼합, 폐기 등의 전 과정을 통합 관리하는 장비로, 첨단 전자산업과 신재생에너지 사업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한다.

한양이엔지 김가희 과장은 “독자적인 품질관리 시스템 HQMS(Hanyang Quality Management System)를 구축해 국내외 품질기준보다 엄격하게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며 “최근엔 스마트 팩토리 구축 추세에 따라 자동화 시스템 개발에 주력 중”이라고 밝혔다.

화학제품이 적재된 드럼을 로봇 암(Robot Arm)을 활용해 개폐하는 등 위험한 화학제품을 사람이 직접 운반하거나 체결하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해서라는 것이 김가희 과장의 설명이다.

그는 “현재에 안주하지 않고 지속적인 개발을 통해 토털 솔루션 공급회사로써 발전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친환경 원재료 사용한 케미컬 제품 생산

화학업계, 자체 기술로 반도체 정밀 화학 분야 성장노력 - 산업종합저널 전자
(주)엠티아이 한종훈 대리

(주)엠티아이(MTI)는 반도체 후공정에 적용하는 세정용 화학제품인 포토레지스트 스트리퍼(Photo Resist Stripper)를 자체개발 했다.

포토레지스트(이하 PR)는 미세한 회로를 형성하는 리소그래피(Lithograpy)의 핵심재료로써, 웨이퍼(Wafer)에 빛을 전사시켜 미세 회로 패턴을 형성시키는 노광공정용 감광제다.

엠티아이의 한종훈 대리는 “PR공정을 완료한 이후에 반도체에 도포된 감광제를 제거하려면, 또 다른 화학제품을 활용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자체적으로 연구 개발한 제품이 PR용 스트리퍼”라고 설명했다.

엠티아이는 현재 수요 기업의 요청에 맞는 케미컬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자체적인 배합 레시피를 통해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한 대리는 “엠티아이는 친환경 기업으로 나아가기 위해 폐수 처리 시 문제가 되지 않는 원재료를 사용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케미컬 시장에서 혁신적인 기업이 될 수 있도록 확고한 비전을 제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탄소중립 현실적 대안으로 떠오르는 CCUS…상용화엔 ‘난항’

탄소중립 실현의 현실적 대안으로 탄소 포집·활용·저장 (Carbon Capture Utilization and Storage, 이하 CCUS)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CCUS란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다른 에너지원으로 재활용 하거나 저장을 통해 외부 유출을 막는 기술을 일컫는다. CCUS는 설비 도입만으로도 배출된

전기차 폐배터리···환경문제 주범?

자동차 업계는 전 세계가 추진 중인 탄소중립을 이행하기 위해 내연기관 차량 대신 이차전지를 활용한 전기 차량 개발 및 생산에 주력 중이다. 그러나 전기차 보급 확대로 폐배터리의 배출량이 점차 증가하면서, 폐배터리가 새로운 환경문제 주범으로 주목받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

[산업단지 현장을 가다③] 인천 남동공단 공장 가동률 지난해 급격한 회복세 보여

국가산업단지는 국내 제조업 중심지이자 한국의 수출 첨병으로서 국가 경제 성장을 주도해왔다. 1960년대 초 울산공업지구와 한국수출산업단지(구로공단)를 시작으로 현재 전국에 47개 단지가 조성돼 있으며 1백만 개 일자리를 담당하고 있다. 최근 글로벌 공급망 이슈, 오미크론 확산 등으로

산업재해 예방 위한 다양한 ‘스마트 안전 장비’

지난 1월 27일 시행한 중대재해처벌법(이하 중처법)은 각 분야 산업계가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갖는 계기가 됐다. 최근에는 현장 내 안전관리자의 애로사항과 근로자의 안전을 위한 다양한 스마트 안전 장비가 꾸준히 개발되고 있는 추세다. 이에 본지 기자는 최근 일산 킨텍스(KINTEX)

[MICE 산업과 환경①] 마이스 산업, 지역사회 경제활동 부흥···이면에는 환경 문제 대두

도심 곳곳에서는 주마다 다양한 전시회가 열리고 있다. 지금도 전시장 한 편에선 다음 열릴 행사를 위한 준비로 분주한 모습이다. 행사 규모와 취지에 맞게 플라스틱이며 철근, 나무 목재 따위로 전시장은 매주 새로운 옷을 갈아입는다. 그렇다면 부스를 제작하는 데 활용하고 남은 자재들은 어디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