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스마트팩토리, 고객 환경에 맞는 솔루션이 관건

세미콘코리아 2022,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기업들 참가

지난해 중소기업벤처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0년 말까지 보급된 스마트팩토리 수는 1만9천799개로 당초 목표였던 1만7천800개 대비 약 112%로 초과 달성했다.

지난 1월, 중기부가 올해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에 2천475억원을 투입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올해도 수많은 스마트공장이 보급이 활발히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9일부터 11일까지 코엑스에서 열린 'SEMICON KOREA 2022'에는 스마트팩토리 관련 장비와 소프트웨어를 공급하는 솔루션 기업들이 참가했다.

터치 조작기에서 로봇까지, 고객 니즈에 맞추는 게 중요

스마트팩토리, 고객 환경에 맞는 솔루션이 관건 - 산업종합저널 전자
엠투아이 심재환 본부장(왼쪽부터), 강원희 부사장, 박상진 차장

인간과 기계의 상호작용을 뜻하는 HMI(Human Machine Interaction) 장비 전문 기업인 엠투아이(M2I)는 'TOP' 시리즈, 원격 감시제어시스템 SCADA 등을 선보였다.

'TOP' 시리즈는 로봇, 모터, 온·습도 제어기 등 다양한 기기들과 연결이 가능한 HMI 장비다. SCADA는 연결된 설비의 작동 정보를 HMI기기가 수집하고 해당 데이터를 가공한 뒤 유저의 PC에 전달해 공정 전반의 제어를 돕는 시스템이다.

이 회사는 원래 HMI 인터페이스 장비만 제조하던 회사였다. 그런데 HMI 수집 데이터에 대한 상단 전송을 원하는 고객 요청이 이어져 이를 전송하는 SCADA PC를 만들기 시작했다.

고객 니즈에 맞춰 제품을 생산하다보니 제품 영역 확장은 어쩌면 자연스럽다. 최근에는 HMI장비에 블랙박스, 홍체 인식 시스템을 도입해 보안성을 높이고, 인공지능과 로봇 등 스마트팩토리 고도화로 사업 영역을 넓히고 있다.

이 회사의 심재환 영업본부장은 “제품을 출시할 때마다 고객들의 기술에 대한 추가 요청이 이어지고 있다”며 “현재는 로봇․비전․계측기 등과 같은 공장을 예지․보전할 수 있는 방향으로 고도화를 진행하고 있다”고 했다.

고객 환경에 맞춘 소프트웨어 시스템

스마트팩토리, 고객 환경에 맞는 솔루션이 관건 - 산업종합저널 전자
링크제니시스 김재욱 책임

전시 현장에서 만난 스마트팩토리 소프트웨어 전문 업체인 링크제니시스(LINKGENESIS)는 제조 설비나 센서 등 공정 전반의 데이터 관리를 위한 솔루션 ‘LOOKAZ’을 선보였다.

이 솔루션은 생산 설비의 실시간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시간 모니터링을 지원한다. 또한 기존에 사용하던 PC에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수 있어 반응형 웹 적용, 스마트폰에서도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링크제니시스의 김재욱 시스템사업본부 책임은 “각 업체마다 공정 환경이나 중점을 두는 부분이 다르기 때문에 스마트팩토리의 데이터 관리 솔루션은 업체 상황을 고려한 커스터마이징이 중요하다”고 했다.

이어 ‘LOOKAZ’에 솔루션에 대해 “경고알람을 보내는 방식, UI 등은 고객 상황에 따라 맞춤 설정이 가능하고, API를 통해 기존에 사용하던 MES, ERP 등 타 제품의 데이터를 연동할 수 있다”고 말했다.
강현민 기자
khm546@industryjournal.co.kr


0 / 1000


많이 본 뉴스

[기획 2편] “인간형 로봇의 꿈, 기술보다 더 느리게 걷는다”

2021년, 일론 머스크는 “앞으로 육체노동은 선택이 될 것”이라며 ‘옵티머스(Optimus)’라는 이름의 인간형 로봇을 세상에 소개했다. 단순한 기계가 아니라, 인간처럼 걷고 말하며 노동을 수행할 수 있는 ‘진짜 로봇’의 탄생이었다. 그는 이 로봇이 테슬라 차량보다 더 큰 가치를 창출할

[기획 1편] 인간의 일을 넘겨받은 기계, Figure 03의 선언

“인간형일 필요는 없었다…그러나 인간의 자리로 들어왔다” 인간은 오랫동안 ‘일’을 통해 자신의 존재를 증명해왔다. 하지만 지금, 이 전제가 흔들리고 있다. 로봇이 현장을 대체하고, 인공지능이 생각을 모방하며, 일하는 인간의 자리가 서서히 해체되고 있다. 본지는 이 흐름 속에서

[심층] ‘유령기지국’ 통한 소액결제 피해…디지털 인증 체계의 사각지대

경기 광명시와 서울 금천구에서 KT 이용자를 중심으로 소액결제 피해가 다수 보고되면서, 불법 초소형 기지국, 이른바 ‘유령기지국’ 개입 가능성이 제기됐다. KT는 9일 일부 통화 기록에서 실존하지 않는 기지국 ID가 확인됐다고 밝혔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민관합동조사단을 꾸려 현장

[심층기획] “기술을 지켰다면, 사업은 무너지지 않았다”

기술을 빼앗겼다는 확신이 들었을 때, 그는 너무 늦었음을 깨달았다. 함께 개발하자며 도면을 요청한 상대는, 이후 연락을 끊었고 몇 달 뒤 유사한 제품을 출시했다. 계약서에는 권리 귀속 조항이 없었고, 그가 증거라고 주장한 파일은 상대 기업의 서버에 있었다. 법원은 입증 부족을 이유로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