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우리나라 전체 인구 감소세···교통약자는 증가

국토부, ‘교통약자 이동 불편 없도록 교통행정기관에 미흡 사항 적극 요청할 것’

우리나라 전체 인구 감소세···교통약자는 증가 - 산업종합저널 동향
자료=123RF

우리나라 전체 인구는 감소 문제를 겪고 있는 반면, 교통약자 비중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21년도 교통약자 이동편의 실태조사’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교통약자 수는 전체 인구 약 5천164만 명 중 약 30%인 1천551만 명에 달했다. 이는 약 10명 중 3명에 해당하는 수치다.

유형별로는 고령화 추세에 따라 65세 이상 고령자가 약 885만 명으로, 가장 높은 비율(57.1%)을 차지했고, 어린이(20.7%, 321만 명), 장애인(17.1%, 264만 명), 영유아 동반자(12.5%, 194만 명), 임산부(1.7%, 26만 명)가 그 뒤를 이었다.

2016년 기준 우리나라 전체 인구는 약 6만 명 감소했고, 교통약자 수는 크게 증가하고 있다. 2021년 조사한 교통약자 수는 2016년(1천471만 명) 대비 약 80만 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21년 전국 교통수단, 여객시설, 보행환경(도로) 등 이동편의시설 기준적합 설치율은 77.3%로, 지난 조사(2016년)에 비해 4.8%p 상승했다.

대상별로는 버스, 철도, 항공기 등 교통수단의 기준적합 설치율이 79.3%로 가장 높았고, 여객자동차너미널, 도시철도역사, 공항 등 여객시설이 75.1%, 보도, 육교 등 보행환경(도로)이 77.6%로 조사됐다.

분야별로 자세히 살펴보면, 교통수단별 기준적합률은 철도(98.9%), 도시·광역철도(96.0%), 버스(90.0%), 항공기(73.3%), 여객선(37.8%) 순이며, 여객시설별 기준적합률은 도시·광역철도역사(89.9%), 공항(86.8%), 철도역사(82.5%), 여객선터미널(82.2%), 여객자동차터미널(64.0%), 버스정류장(45.4%) 순으로 나타났다.

교통수단과 여객시설 중 각각 기준적합률이 가장 양호한 것은 철도 차량과 도시·광역철도역사였으며, 대부분 이동편의시설기준 적합률은 지난 조사 대비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다만, 항공기의 2021년도 기준적합률이 73.7%로 2016년 조사 대비 크게 감소했다. 이는 대형항공사(FSC)보다 상대적으로 기준적합 설치율이 낮은 저비용 항공사(LCC)와 해당 항공기 대수가 증가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국토부 최정민 과장은 본지와의 통화에서 ‘여객시설별 기준 적합률’이 가장 낮은 버스정류장(45.4%)에 대해 “최초 설계부터 교통약자를 위한 시스템을 적용하는 대부분의 교통수단과는 달리, 버스정류장은 각 지자체마다 규격 차이가 있다”면서 “이러한 부분들을 개선하기 위해 관할 교통행정기관에 미흡한 사항을 개선하도록 요청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이재명 대통령, 첫 내각 인선 발표…“위기 극복과 국민통합 이끌 적임자들”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제21대 대통령 취임 직후, 새 정부를 이끌 첫 내각 인선을 직접 발표했다. 이 대통령은 “즉시 업무가 가능한 능력과 전문성, 성과를 낼 수 있는 정치력과 소통 능력을 갖춘 인사를 중용했다”며 각 인사의 배경과 기대를 상세히 설명했다. 김민석 국회의원, 국무총리

정부,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대… 3월부터 본격 지원

환경부는 26일 브리핑을 통해 2025년 전기차 충전시설 지원 사업을 3월 초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올해 충전시설 설치 지원 예산은 전년 대비 43% 증가한 6천187억 원으로, 급속충전기 보급에 3,757억 원, 스마트제어 완속충전기 확대에 2천430억 원이 각각 투입된다. 류필무

신용취약 소상공인 대상 정책자금 지원, 최대 3천만 원 직접대출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하 소진공)은 지난 5일 발표된 ‘소상공인·자영업자 맞춤형 지원 강화방안’의 일환으로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을 6일부터 접수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은 민간 금융기관을 통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신용취약

쓸수록 돌려받는 ‘상생페이백’ 9월 15일 신청 시작

정부가 다음달 15일부터 새로운 소비지원 정책인 ‘상생페이백’을 시행한다. 만 19세 이상 국민이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으며, 2024년에 카드 사용 실적만 있으면 참여할 수 있다. 이번 제도는 국민의 체감 혜택과 소상공인 매출 증대를 동시에 겨냥한 소비 촉진책으로 마련됐다. 상생페이백

2024년 글로벌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감소… 하반기 회복 전망

글로벌 전자 산업 공급망을 대표하는 산업 협회인 SEMI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은 전년 대비 2.7% 감소한 122억 6,600만 in²을 기록했다. 매출은 6.5% 줄어든 115억 달러로 집계됐다. SEMI는 반도체 업계의 재고 조정이 지속되면서 웨이퍼 출하량과 매출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