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국내 드론 산업, 농업계에서 주목···안전성 위해 지속적인 실증사업 필요

2022 무인이동체산업엑스포, DJI, (주)네온테크 참가

전 세계적으로 드론을 활용한 무인 시스템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국내도 예외는 아니다. 점차 드론 관련 실증사업이 추진되면서, 서비스 영역 또한 다양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지는 최근 서울 삼성동 코엑스(COEX)에서 열린 2022 무인이동체산업엑스포(UWC, Unmanned System World Congress 2022)에 방문해 국내 무인 드론 활용 현황에 대해 알아봤다.

국내 드론 산업, 농업계에서 주목···안전성 위해 지속적인 실증사업 필요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DJI 이현우 매니저

농업용 드론, 일손 부족한 농업계에서 주목

드론은 주로 군사, 물류, 기후관측 등의 용도로 활용하기 위해 개발됐지만, 최근에는 다양한 업종으로 영역이 확장되고 있는 추세다. 특히 청년부족, 고령화 등 고질적인 문제로 일손이 부족한 농업계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이와 관련해 이번 전시회에 참가한 DJI AGRICULTURE(이하 DJI)는 농업용 드론 AGRAS T20P를 선보였다. 이 제품은 20kg의 플러그인 방식의 액체 탱크와 25kg 입제 탱크를 탑재할 수 있다.

또한, 맵핑을 통한 측량을 비롯해 이중 분무 원심 노즐을 이용한 분사 시스템 등을 적용, 분당 12L 분무가 가능하다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하지만 25kg 이상 드론 같은 경우 드론 1종 면허를 취득 후, 관련 교육을 이수해야 한다. 이에 대해 DJI 이현우 매니저는 “농업용 드론에 관심 있는 고객들을 위해 당사 판매 대리점에서도 드론 면허 관련 추가 교육을 진행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전시 참가 이유에 대해서는 “DJI는 드론을 개발하는 글로벌 기업”이라며 “이번 전시회를 통해 기업 브랜딩을 강화하고, 좀 더 다양한 고객들에게 비전을 어필하는 것이 목표”라고 강조했다.

무인 드론···이동거리 및 법 제도 개선 필요

국내 드론 산업, 농업계에서 주목···안전성 위해 지속적인 실증사업 필요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주)네온테크가 선보인 물류배송 드론

이처럼 무인 드론은 인간에게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러나 드론 추락으로 인한 인명피해, 산불 등 다양한 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어, 수차례 걸친 실증사업을 통해 안전성을 확보해야 한다.

이번 행사에 참가한 (주)네온테크는 산업통상자원부(산업부)를 비롯한 다수 기업들과 협력해 도서산간 지역을 위한 드론 물류 플랫폼 구축 사업을 소개했다.

네온테크 서성권 수석은 “현재 무인 드론을 통해 신문, 택배 등 다양한 물류서비스에 대한 실증사업이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즉, 이를 통해 비가시권 비행을 수행하는 드론의 안전성 및 사용자 편의성을 확보하겠다는 입장이다.

네온테크가 개발한 물류배송 드론은 도서산간 배송 상용화를 위해 다양한 기술을 적용했다. 특히, 통신두절, 기상악화 등으로 기체에 장애가 발생하면 지상국에 있는 통신 기술을 통해 호버링 혹은 회귀할 수 있도록 조치했다는 것이다.

서 수석은 “현재 실제 수요처에서 요구하는 지역에서 실제 시험 비행을 진행하고 있다”면서 “올해까지 1천 번 정도의 시험 비행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무인 드론의 이동거리 및 제도적인 문제를 지적하면서 “실제 배터리 부분 용량에 따라 거리가 제한돼 있기 때문에 향후 기술 발전과 지속적인 개발이 필요하다”며 “또한, 드론을 활용한 배송 사업자로 등록하기 위해서는 법제도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불필요한 소비를 멈춘 '요노(YONO)' 트렌드

최근 소비자들 사이에서 눈에 띄게 확산되고 있는 새로운 소비 트렌드가 주목받고 있다. 바로 ‘요노(YONO, You Only Need One)’ 트렌드다. 이 트렌드는 말 그대로 ‘하나만 있으면 충분하다’는 의미로, 꼭 필요한 물건만 구매하고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는 현명한 소비 행태를 가리킨다. 경제 불안과

생성형 AI와 ChatGPT 무엇이 다를까

인공지능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생성형 AI와 ChatGPT가 큰 주목을 받고 있다. 두 기술은 모두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지만, 서로 다른 목적과 특징을 갖고 있다. 우선, 생성형 AI는 텍스트, 이미지, 음성 등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를 생성하는 데 사용되는 인공지능 기술이다. 대규모 데이터

AI 기술의 눈부신 발전, 명과 암

최근 AI(인공지능) 기술의 눈부신 발전은 산업과 우리의 삶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AI 기술은 인간의 지능과 능력을 모방하고 확장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하고 있다. AI 기술은 생산성 향상, 효율성 증대, 새로운 산업 창출, 일자리 창출, 인간의 삶의 질 향상 등 다양한 긍정적인 효

디스플레이 수출, OLED가 리드

한국 디스플레이 산업이 OLED(유기발광다이오드)를 중심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다.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에 따르면, 2023년 OLED 수출 비중은 75.8%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2024년에는 태블릿, 자동차 등 다양한 분야에 OLED가 확대 적용되면서 OLED가 디스플레이 전체 수출의 78.

한국 시장을 잡아라, 중국 이커머스의 거센 도전

한국 시장은 세계적인 기업들이 경쟁하는 무대가 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중국의 이커머스 기업들이 한국 시장에 진출하면서, 국내 유통 시장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중국의 TEMU나 알리익스프레스 등은 저렴한 가격과 다양한 상품 라인업을 무기로 국내 소비자들을 공략하고 있으며,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