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건설업계, 2022년 상반기 산업재해 현황

전체 산업재해 사망자 1천142명···건설업 사망자는 292명 집계

건설업계, 2022년 상반기 산업재해 현황 - 산업종합저널 동향
자료=123RF

올해 상반기 국내 건설업계 사망자는 전체 산업의 25.6%에 달하며, 전년 동기 대비 5.2% 감소했다. 하지만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에도 5인 미만 사업장 사망자는 전체 산업 중 64.3%를 기록해 재해 감소 문제는 아직도 풀어야 할 과제로 산적해 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건산연)에 따르면, 2022년 상반기 국내 산업재해로 인한 사망자는 1천142명이며, 이 중 건설업에서 발생한 사망자는 292(25.6%)명으로 집계됐다.

전체 산업 사망자 수는 전년 동기 대비 5명(0.4%) 증가했으며, 5인 미만 사업장에서 185명의 사망자(41.5%)가 발생했다.

특히 건설업은 지난 1월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 전년 동기 대비 사망자가 16명(5.2%) 감소했으나, 5인 미만 사업장에서 119명의 사망자(전체 5인 미만 사업장의 64.3%)가 발생해 이에 대한 대응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노총 관계자는 본지와의 통화에서 “5인 미만 사업장에서 사망자가 줄지 않는 이유는 안전에 대한 투자와 인식의 문제”라며 “앞으로 50인 미만 사업장에서 적용될 중대재해처벌법을 고려하면 기업들의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일반 재해자의 경우에는 동기간 전체 산업에서 6만1천822명 발생, 건설업은 1만4천537명으로 전체 비중에서 23.5%를 차지했다.

관련 내용을 살펴보면, 전체 산업 재해자 수는 전년 동기 대비 3천152명(5.4%) 증가하고, 질병재해자 수가 16.5% 늘었다. 건설업 재해자 수 또한 전년 동기 대비 941명(6.4%) 상승한 모습을 보였다.

이는 전체 산업 비중에서 재해자 수가 2.4% 감소한 제조업을 제외하면 모든 사업에서 증가한 수치다.

보고서는 최근 국내 재해자 수가 증가한 이유에 대해 ‘산재은폐 처벌 강화, 산재승인 절차 간소화 건설업체 산업재해발생률 기준 변경 등의 영향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이재명 대통령, 첫 내각 인선 발표…“위기 극복과 국민통합 이끌 적임자들”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제21대 대통령 취임 직후, 새 정부를 이끌 첫 내각 인선을 직접 발표했다. 이 대통령은 “즉시 업무가 가능한 능력과 전문성, 성과를 낼 수 있는 정치력과 소통 능력을 갖춘 인사를 중용했다”며 각 인사의 배경과 기대를 상세히 설명했다. 김민석 국회의원, 국무총리

정부,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대… 3월부터 본격 지원

환경부는 26일 브리핑을 통해 2025년 전기차 충전시설 지원 사업을 3월 초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올해 충전시설 설치 지원 예산은 전년 대비 43% 증가한 6천187억 원으로, 급속충전기 보급에 3,757억 원, 스마트제어 완속충전기 확대에 2천430억 원이 각각 투입된다. 류필무

신용취약 소상공인 대상 정책자금 지원, 최대 3천만 원 직접대출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하 소진공)은 지난 5일 발표된 ‘소상공인·자영업자 맞춤형 지원 강화방안’의 일환으로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을 6일부터 접수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은 민간 금융기관을 통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신용취약

쓸수록 돌려받는 ‘상생페이백’ 9월 15일 신청 시작

정부가 다음달 15일부터 새로운 소비지원 정책인 ‘상생페이백’을 시행한다. 만 19세 이상 국민이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으며, 2024년에 카드 사용 실적만 있으면 참여할 수 있다. 이번 제도는 국민의 체감 혜택과 소상공인 매출 증대를 동시에 겨냥한 소비 촉진책으로 마련됐다. 상생페이백

2024년 글로벌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감소… 하반기 회복 전망

글로벌 전자 산업 공급망을 대표하는 산업 협회인 SEMI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은 전년 대비 2.7% 감소한 122억 6,600만 in²을 기록했다. 매출은 6.5% 줄어든 115억 달러로 집계됐다. SEMI는 반도체 업계의 재고 조정이 지속되면서 웨이퍼 출하량과 매출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