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로봇 도입 어려운 중소기업…'표준공정모델'로 로봇 활성화

'2022 로보월드'서 사업 성과 선보여

대기업을 중심으로 로봇 도입이 늘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여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의 경우 도입을 주저하고 있다. 비용적 부담과 현장마다 다른 공정 환경, 로봇 운영과 유지 보수할 인력 부족 등 복합적 원인에서다.

이러한 어려움을 줄이고자 정부는 지난 2020년부터 로봇을 활용한 '표준공정모델'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중소기업들에 자동화 로봇의 표준 모델을 제시해 로봇 도입률을 높이겠다는 취지다.

로봇 도입을 비롯해 운영, 유지보수 등 통합 솔루션을 개발하고 실증하는 게 표준공정모델 사업의 주요 골자다.

27일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2022 로보월드'에는 그동안 각 업종별 표준공정모델 사업의 성과물이 전시됐다.

로봇 도입 어려운 중소기업…'표준공정모델'로 로봇 활성화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작업자 근골격계 질환, 로봇으로 극복
한국자동차연구원은 이번 전시회에 자동차 시트프레임 누락검사 공정 및 소형 금속품 비접촉 고속검사 공정을 선보였다.

현장에서 만난 자동차연구원의 곽경수 연구원은 시트프레임 누락 검사 공정에 관해 "로봇에 장착한 비전(카메라)가 스물다섯 군데의 포인트를 검사하는 장비다"라며 "패드 누락이나 스크류 체결 상태, 치수 등을 복합적으로 검사한다"라고 소개했다.

시트프레임 누락 검사는 약 7kg 이상의 프레임을 반복해서 옮기고 회전하는 작업으로 그동안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유발한 작업 중 하나로 꼽힌다. 작업자 피로 누적으로 검사 누락 부분이 잦기도 했다.

로봇 도입 어려운 중소기업…'표준공정모델'로 로봇 활성화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지난해 개발을 완성해 올해부터 업체 도입이 이뤄지고 있다고 언급한 곽경수 연구원은 도입 후 얻을 수 있는 효과로 약 20%이상 불량 반출이 개선됐고, 작업자 검사 항목 개수도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곽 연구원은 "이 공정은 대부분 1차 업체와 관련한 자동화 로봇이다"라며 "완성차 업체의 경우 자동화 로봇 도입률이 높은 편이지만, 1차 사부터는 중소규모가 많기에 로봇 도입률이 적은 상황"이라고 전했다.

그 현재 개발한 자동화 공정 도입을 희망하는 업체에게 70%까지 도입 비용을 함께 지원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로봇 도입 어려운 중소기업…'표준공정모델'로 로봇 활성화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한국섬유기계융합연구원 손민석 전임연구원


수작업률 높은 신발 제조…로봇으로 단순 작업 대체
한국섬유기계융합연구원은 이번 전시회에 신발 제조 산업용 로딩 및 언로딩 자동화 로봇 공정을 출품했다.

현장에서 만난 한국섬유기계융합연구원의 손민석 전임연구원은 "신발 속지를 협동 로봇이 끼워넣는 장비와 신발 밑창과 본체를 압착하고 옮기는 공정을 전시했다"라고 소개했다.

그는 "신발 속지 공정의 경우 작업자들이 일일이 손수 작업하다보니 택트타임(제품 한 개당 생산에 소요하는 시간)이 길고, 피로감이 누적되는 등 비효율적인 공정이 반복되고 있다"라고 얘기했다.

섬유 산업 중에서도 신발 분야는 지금까지도 특히, 수작업 비율이 높다고 언급한 손 전임연구원은 "다른 산업에 비해 여건이 더 열악한 게 섬유 업종"이라며 "중소기업이 주로 집중돼 있다보니 자동화 공정 도입을 어려워하는 업체들이 많은 상황이다"라고 했다.

향후 과제 목표에 관해서는 현재 개발한 공정을 하나로 묶어, 자동화 공정을 일원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강현민 기자
khm546@industryjournal.co.kr


0 / 1000


많이 본 뉴스

바이오 인공장기, 의료 혁명 이끌까… 심장이식 대기자들에게 희망

최근 심근경색으로 쓰러져 병원에 긴급 후송된 환자는, 쓰러진 지 5분이 넘은 바람에 심장이 멈췄다. 이 환자는 보조장치인 ECMO(체외막 산소화장치)를 사용하여 연명했지만, 심장은 결국 10일 후에야 다시 뛰었고, 그 기능은 70%에도 미치지 못했다. 결국 이 환자는 사망에 이르게 되었다.

2025년 소비 시장 5대 키워드 'S.N.A.K.E' 제시

대한상공회의소(이하 대한상의)가 2025년 소비 시장을 이끌 5대 키워드로 ‘S.N.A.K.E’를 선정하며, 경기 둔화와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유통 기업들이 생존 전략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한상의는 7일 발표한 ‘2025 유통산업 백서’를 통해 S.N.A.K.E(Survival, Next

이차전지 제조장비, 차세대 기술로 2030년 50조 원 시장 전망

이차전지 제조장비 산업이 2030년까지 50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특히 건식 전극 공정과 전고체 배터리가 차세대 핵심 기술로 주목받으며, 관련 기술 개발과 글로벌 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한국기계연구원(이하 기계연)은 최근 발간한 ‘기계

급증하는 고령층 취업… 일할 의지는 넘치지만 일자리는 부족

대한민국이 초고령사회로 빠르게 진입하면서 60대 이상 고령층의 노동시장 참여가 급증하고 있다. 2025년에는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20.6%에 달해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전망이며, 이에 따라 60대 이상의 일자리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2024년 9월 기준, 60세 이상 취업자

DPP 도입, 국내 기업에 도전이자 기회

2027년부터 EU가 디지털제품여권(DPP) 제도를 순차적으로 의무화하면서, 국내 기업들의 선제적 대응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5일 'EU 디지털제품여권(DPP) 동향 및 GS1 국제표준 기반 대응 가이드라인'을 발표하며, DPP 정책 동향과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디지털제품여권(DP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