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日, 장·단기 금리 운영 정책 일부 조정

하나금융연구소, 금리차에 따른 엔 캐리 트레이드 수요 나타나고 있어

日, 장·단기 금리 운영 정책 일부 조정 - 산업종합저널 동향

일본이 수익률 곡선 제어 통제(YCC)의 장단기 금리 운영 정책 일부를 조정했다.

최근 하나금융연구소가 발표한 ‘일본, 마이너스 금리와 헤어질 결심?’에 따르면, 일본이 구랍 19~20일 열린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장기금리 변동 폭을 ±0.25%에서 ±0.5%로 확대했다.

이번 정책 조정 발표로 일본 시장은 혼란을 빚고 있다. 그동안 시장은 BOJ(일본중앙은행)이 구로다 총재 임기 만료 전까지는 완화적 통화정책을 지속할 것이라고 예상해 왔다.

하지만, 예상치 못한 조정으로 일본 국채 금리가 큰 폭으로 상승하고, 엔·달러 환율이 큰 폭으로 하락했다.

관련 내용을 보면, 엔·달러 환율은 정책 발표 전 구랍 20일 전일대비 137엔에서 132엔으로 5.2엔 하락했고, 니케이 지수는 669.6pt(2.46%) 하락했다.

10년 만기 국채 금리는 전일대비 15bp 상승해 시장 변동성이 급증하면서 오사카 거래소의 채권선물거래가 일시 중단되기도 했다.

외국인 투자자들의 순매도도 지속되고 있다. 구랍 17~23일 1주일간 외국인 투자자가 매도한 일본 국채는 4.86조 엔 규모로, 지난 2005년 집계 이래 역대 최대 주간 순매도를 기록했다.

일본의 이러한 조정 배경에는 엔화 약세와 인플레이션 압력 강화가 꼽힌다.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Fed, 연준)의 가파른 긴축 정책으로 두 국가 간 금리 차가 확대되면서, 엔 캐리 트레이드 수요가 발생해 엔화가치가 큰 폭으로 하락했다는 것이다.

일본은 현재 4월 BOJ 총재 교체 이후 물가상황 등을 점검해 정책 전환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글로벌 경기 둔화에 따른 일본경제 불확실성 확대, 엔화 약세 폭 축소 등 단기적으로 통화완화 기조를 지속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미국 등 주요국과 상반된 통화정책으로 인해 기존 정책 노선 고수에 대한 어려움이 상존하고 있다는 게 보고서의 설명이다.

보고서는 ‘현재 일본은 금리가 낮은 상황에서 금리 차에 따른 엔 캐리 트레이드 수요가 나타나고 있다’면서 ‘대외적으로는 일본 국채금리 상승으로 엔캐리 자금이 청산될 경우, 해외 투자자금 회수로 주요국 금리 상승과 신용리스크 확대 등이 나타날 가능성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이재명 대통령, 첫 내각 인선 발표…“위기 극복과 국민통합 이끌 적임자들”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제21대 대통령 취임 직후, 새 정부를 이끌 첫 내각 인선을 직접 발표했다. 이 대통령은 “즉시 업무가 가능한 능력과 전문성, 성과를 낼 수 있는 정치력과 소통 능력을 갖춘 인사를 중용했다”며 각 인사의 배경과 기대를 상세히 설명했다. 김민석 국회의원, 국무총리

정부,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대… 3월부터 본격 지원

환경부는 26일 브리핑을 통해 2025년 전기차 충전시설 지원 사업을 3월 초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올해 충전시설 설치 지원 예산은 전년 대비 43% 증가한 6천187억 원으로, 급속충전기 보급에 3,757억 원, 스마트제어 완속충전기 확대에 2천430억 원이 각각 투입된다. 류필무

신용취약 소상공인 대상 정책자금 지원, 최대 3천만 원 직접대출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하 소진공)은 지난 5일 발표된 ‘소상공인·자영업자 맞춤형 지원 강화방안’의 일환으로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을 6일부터 접수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은 민간 금융기관을 통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신용취약

쓸수록 돌려받는 ‘상생페이백’ 9월 15일 신청 시작

정부가 다음달 15일부터 새로운 소비지원 정책인 ‘상생페이백’을 시행한다. 만 19세 이상 국민이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으며, 2024년에 카드 사용 실적만 있으면 참여할 수 있다. 이번 제도는 국민의 체감 혜택과 소상공인 매출 증대를 동시에 겨냥한 소비 촉진책으로 마련됐다. 상생페이백

2024년 글로벌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감소… 하반기 회복 전망

글로벌 전자 산업 공급망을 대표하는 산업 협회인 SEMI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은 전년 대비 2.7% 감소한 122억 6,600만 in²을 기록했다. 매출은 6.5% 줄어든 115억 달러로 집계됐다. SEMI는 반도체 업계의 재고 조정이 지속되면서 웨이퍼 출하량과 매출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