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SEMICON KOREA]글로벌 반도체 기업 급성장세···국내 반도체 업계 ‘바짝 긴장’

세미콘 코리아 2023, 코엑스서 개막

[SEMICON KOREA]글로벌 반도체 기업 급성장세···국내 반도체 업계 ‘바짝 긴장’ - 산업종합저널 동향
테크 인사이츠 최정동 박사

글로벌 반도체 기업의 급격한 성장세로 국내 반도체 업계가 바짝 긴장하고 있다. 1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COEX)에서는 ‘세미콘 코리아 2023’ 기자 간담회가 열렸다.

이날 행사에서 ‘2023 반도체 기술 트렌드’를 주제로 연설을 맡은 테크 인사이츠 최정동 박사는 “최근 D램 시장은 삼성, SK하이닉스, 미국 반도체 기업 마이크론이 레이스를 펼치고 있는 상황”이라며 “하지만 삼성이 마이크론의 개발 전략에 약간 뒤쳐져 있는 느낌을 받는다”고 분석했다.

최근 3D D램 관련 특허는 대표 3사(삼성, SK하이닉스, 마이크론) 중심으로 접수되고 있다. 하지만 마이크론이 삼성과 SK하이닉스보다 2~3배 이상 특허를 보유 중이다. 즉, 다른 공정보다는 D램 분야에 전력을 기울여 격차를 내겠다는 전략인 것이다.

최 박사는 “마이크론이 적극적인 마켓 진출을 도모하고 있다”면서 “국내 반도체 업계는 개발 기간을 단축해 다시 기술 격차를 벌려야 한다”고 진단했다.

문제는 낸드 분야다. 최근 중국 기업 YMTC가 232단 낸드 상용화에 성공했다. 최 박사는 “현재 시중에서 200단이 넘는 삼성, SK하이닉스 제품은 없다”면서 “중국의 기술력이 앞서가는 안타까운 상황이 발생했다”고 토로했다.

과거 반도체 업계에서는 YMTC의 기술력을 낮게 평가했다. 실제로 마이크론은 2014년, 2015년부터 3D 낸드를 시중에 제품화했지만, YMTC는 2018년 후발주자로 시작했기 때문이다.

최 박사는 “수년 전만 해도 이 기업이 과연 150단, 200단 이상을 할 수 있을지 의문이었다”면서 “더군다나 지정학적으로 기술 개발에 한계가 있을 것이라는 애널리스트들의 분석도 있었다”고 설명했다.

하이브리드 본딩 또한 YMTC가 적극적으로 활용 중이다. 최 박사는 “타 회사의 경우 290단 후반대 정도의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면서 “YMTC는 점차 중간 단계를 거치지 않고 300단, 이후 350단까지 만들 계획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KIMEX 2022] 새로운 기술 탑재한 계측기 쏟아진다

전자 및 통신 분야를 비롯해 산업 전반이 빠르게 급변하면서 계측시스템 분야도 새로운 기술을 적용한 계측기들이 쏟아지고 있다. 수 많은 계측기들 중 사용 목적에 적당한 계측기를 선택하는 일은 쉽지 않다. 사용자의 작은 실수나 사용 여건에 따라 장비 이상이 발생하면 난감하다. 무엇보다

JIMTOF 2022, 일본 도쿄국제전시장서 오는 11월 개최

일본공작기계공업회(JMTBA)가 24일 일산 킨텍스(KINTEX) 제1전시장 세미나룸에서 일본 도쿄에서 열리는 짐토프 2022(JIMTOF 2022, 짐토프) 개요 설명을 위한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일본 공작기계 관련 전시회인 짐토프는 일본 도쿄 빅사이트(도쿄국제전시장)에서 개최하며, 서 전시동, 동 전시동을 비

탈탄소 정책에 높아지는 탄소장벽… CBAM·GSSA 전망과 과제

유럽연합(EU)과 미국의 탈탄소 정책으로 탄소 무역장벽이 점차 높아지는 가운데, 국내 기업을 보호하기 위한 장기적 관점의 정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6일 오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는 ‘글로벌 탄소 무역장벽 현황과 과제’를 주제로 세미나가 열렸다. 이날 ‘글로벌 탄소 무

AI 고도화에 악용사례 속출…"제도적 방안 마련해야"

인공지능(AI) 기술을 악용한 범죄 사례가 늘면서, 이를 올바르게 활용하기 위해 제도·기술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는 지난달 25일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인공지능의 악용 사례, 딥페이크 기술과 과제’ 보고서를 내놓았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

고용부, 2022년 상반기 협약임금 인상률 5.3%로 잠정 집계

올해 상반기 협약임금 인상률이 5.3%로 나타났다. 최근 고용노동부는 2022년 1월부터 6월까지 상반기 임금결정 현황조사에 대한 잠정 결과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르면, 이번 발표치는 100인 이상 사업체 총 1만723개소 중 33.7%인 3천613개 사업체에 대한 잠정치다. 고용노동부가 올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