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외국인노동자 가입에 고용보험 증가세 이어져… 1500만 돌파

외국인근로자 가입 의무 확대, 제조업·서비스업서 지속 증가

고용보험 가입자 증가세가 3개월째 이어지며 1천500만 명을 돌파했다. 고용허가제 외국인(E9, H2비자) 근로자의 고용보험 의무가 확대된 영향으로 분석된다.

고용노동부가 10일 발표한 ‘고용행정 통계로 본 2023년 3월 노동시장 동향’에 따르면 3월 말 기준 고용보험 상시 가입자는 1천500만 7천 명으로 1년 전에 비해 36만 9천명(2.5%) 증가했다. 전년 대비 35만 7천명(2.5%)증가했던 지난 2월 말보다도 증가폭이 더 커졌다.

외국인노동자 가입에 고용보험 증가세 이어져… 1500만 돌파 - 산업종합저널 동향
(출처=고용노동부)

외국인노동자 가입에 고용보험 증가세 이어져… 1500만 돌파 - 산업종합저널 동향
(출처=고용노동부)

제조업, 보건복지, 숙박·음식, 정보통신, 전문·과학·기술서비스 등 산업을 중심으로 증가한 가운데, 제조업과 서비스업이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는 비전문 취업비자(E9) 또는 방문취업비자(H2)를 발급 받은 외국인 근로자들에 대해 고용보험 가입 의무가 확대 적용된 영향으로 보인다. 2021년 상시근로자 30인 이상 사업장에 적용되기 시작한 외국인 근로자의 고용보험 가입 의무는 올해 들어 10인 미안 사업장까지 확대된 바 있다.

산업별로 보면, 제조업은 금속가공, 기계·장비, 자동차, 식료품 등의 업종을 중심으로 증가해 전체 가입자 수 378만 5천 명을 기록했다. 지난해 동기간 대비 10만명 증가했고, 생산 및 수출 감소세에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고용노동부 천경기 미래고용분석과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제조업 가입자 증가 10만 명에서 외국인 가입자 증감 8만 8,000명을 제외하면 순수한 시장 안에서의 증가 효과는 약 1만 2천 명 정도”라며 “내국인 가입자는 전자·통신, 의약품, 의료·정밀 등 첨단업종 중심으로 증가가 지속되고 있고, 조선업에서는 외국인 가입자 증가와 함께 내국인 고용도 회복세를 이어가고 있다”라고 말했다.

외국인노동자 가입에 고용보험 증가세 이어져… 1500만 돌파 - 산업종합저널 동향
고용노동부 천경기 미래고용분석과장

서비스업은 전체 가입자수 1천 30만 1천 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24만 9천 명 증가했다. 특히 대면활동 정상화 영향을 받은 숙박음식업과 보건·돌봄·사회복지 수요 증가에 힘입은 보건복지 등에서 증가 폭이 확대됐다. 반면, 코로나 상황 안정화에 따른 방역 일자리 축소 등 영향으로 교육서비스, 공공행정이 부진하면서 전체 서비스업 증가폭은 둔화되고 있다.

연령별로는 29세 이하를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증가했다. 29세 이하 20대 가입자는 전년 동월 대비 2만 6천 명 줄어들면서 지난해 9월(-9천 명), 10월(-1만 7천 명), 11월(-2만 9천 명), 12월(-3만 명), 올해 1월(-4만 명), 2월(-2만 9천명)으로 7개월 연속 감소세다.

고용부는 지속적인 인구 감소 요인과 함께 도소매, 사업서비스, 보건복지 등 산업의 가입자 감소 등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했다.

20대를 제외한 전연령대에서는 가입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60세 이상 22만 2천 명, 50대 10만 1천 명, 30대 4만 8천명, 40대 2만 4천 명 순이다.

구직급여 지금액은 전년 동월 대비 297억원 증가한 1억 333억을 기록했다. 3월 중 구직급여 신규 신청자는 14만 4천 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만 1천 명 증가했고 수급자도 7천 명 늘어난 67만 5천 명으로 집계됐다.
임지원 기자
jnews@industryjournal.co.kr


0 / 1000


많이 본 뉴스

이재명 대통령, 첫 내각 인선 발표…“위기 극복과 국민통합 이끌 적임자들”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제21대 대통령 취임 직후, 새 정부를 이끌 첫 내각 인선을 직접 발표했다. 이 대통령은 “즉시 업무가 가능한 능력과 전문성, 성과를 낼 수 있는 정치력과 소통 능력을 갖춘 인사를 중용했다”며 각 인사의 배경과 기대를 상세히 설명했다. 김민석 국회의원, 국무총리

정부,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대… 3월부터 본격 지원

환경부는 26일 브리핑을 통해 2025년 전기차 충전시설 지원 사업을 3월 초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올해 충전시설 설치 지원 예산은 전년 대비 43% 증가한 6천187억 원으로, 급속충전기 보급에 3,757억 원, 스마트제어 완속충전기 확대에 2천430억 원이 각각 투입된다. 류필무

신용취약 소상공인 대상 정책자금 지원, 최대 3천만 원 직접대출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하 소진공)은 지난 5일 발표된 ‘소상공인·자영업자 맞춤형 지원 강화방안’의 일환으로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을 6일부터 접수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은 민간 금융기관을 통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신용취약

쓸수록 돌려받는 ‘상생페이백’ 9월 15일 신청 시작

정부가 다음달 15일부터 새로운 소비지원 정책인 ‘상생페이백’을 시행한다. 만 19세 이상 국민이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으며, 2024년에 카드 사용 실적만 있으면 참여할 수 있다. 이번 제도는 국민의 체감 혜택과 소상공인 매출 증대를 동시에 겨냥한 소비 촉진책으로 마련됐다. 상생페이백

2024년 글로벌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감소… 하반기 회복 전망

글로벌 전자 산업 공급망을 대표하는 산업 협회인 SEMI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은 전년 대비 2.7% 감소한 122억 6,600만 in²을 기록했다. 매출은 6.5% 줄어든 115억 달러로 집계됐다. SEMI는 반도체 업계의 재고 조정이 지속되면서 웨이퍼 출하량과 매출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