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중국경제 ‘빨간불’ 한국 기업 ‘불안감’

매출 등 실적에 영향, 장기화 시 실적 우려

중국경제 ‘빨간불’ 한국 기업 ‘불안감’ - 산업종합저널 동향

최근 중국경제에 켜진 경고등에 우리 기업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발표한 ‘최근 중국경제 동향과 우리 기업의 영향’ 자료를 보면, 중국경제가 직면하고 있는 불안 요인으로 부동산시장의 금융 불안, 내수소비 위축, 산업 생산 및 수출 둔화를 꼽았다. 하반기 실적 반등을 노리는 한국 기업에게 부정적 영향이 우려된다고 밝혔다.

중국경제 불안은 부동산에서 시작됐다. 中 최대 부동산업체 비구이위안이 채무불이행 위험에 처했으며, 소호차이나·중룽신탁 등 개발사, 금융사의 채무불이행까지 이어지며 부동산시장 금융 불안과 이에 따른 경기침체가 지속될 것을 걱정하고 있다.

내수소비도 위축되고 있다. 리오프닝 효과로 4월 18.4%까지 올랐던 소매판매 증가율이 7월에는 2.5%로 떨어졌다. 높은 청년 실업률에 디플레이션 우려까지 겹쳐 소비심리가 부진한 상황이다. 산업부문도 생산증가율, 제조업 PMI, 수출실적 모두 부진을 면치 못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우리기업들이 중국경제 회복을 계기로 하반기 경기반등을 노리고 있으나 오히려 중국경제에 대한 우려가 커지며 시름이 더욱 깊어지는 상황”이라며 “중국경제가 둔화되면 우리기업들은 실적 측면에서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기업 10곳 중 8곳 '매출·실적 영향' 있거나, '장기화될 시 영향 우려중'
중국경제의 불안 요인은 이미 우리기업들에게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대한상의가 대중국 수출기업 302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최근 중국 경기상황이 기업 실적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질문에 32.4%는 ‘이미 매출 등 실적에 영향’, 50.3%는 ‘장기화시 우려’라고 답해 대다수 기업이 영향을 받거나 받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나타났다.

경영실적의 어떤 부문에 대해 영향을 받는지를 묻는 질문에 응답기업의 42.7%는 ‘중국 내 소비재 판매 감소’, 32.7%는 ‘부품, 소재 등 중간재 판매 감소’, 16.6%는 ‘현지법인 실적 악화’라고 응답했다. <대금연체 등 금융리스크 8%>

가장 우려되는 중국경제의 불안 요인으로는 ‘중국 내 소비침체’가 33.7%,‘산업생산 부진’이 26.7%로 나타났으며, 이어서 ‘미중 무역분쟁 장기화’가 20%, ‘통관절차·무역장벽 강화’가 19.6%로 응답됐다. 대외 리스크보다 중국 내부의 경기상황 악화를 더욱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절반 이상(52%) 연초 목표대비 실적 저조
중국시장에서의 연초 목표 대비 현재까지 경영실적을 물으니 과반이 넘는 기업이 ‘목표대비 저조’(37.7%) 또는 ‘매우저조’(14.7%)라고 응답했다. 이어‘목표수준 달성’은 45%, ‘초과달성’(2.3%) 혹은 ‘크게 초과 달성’(0.3%)이라 응답한 기업은 2.6%에 그쳐리오프닝 기대감에 비해 실적이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올해 1~7월 대중국 수출은 전년 대비–25.9%로 크게 감소했다. 주요 수출품목도 모두 부진했는데, 최대 수출품인 반도체는 –40.4% 감소했고, 디스플레이(-45.7%), 석유화학(-22.5%) 등 기타 중간재도 감소폭이 컸다. 대표 소비재인 화장품(-25.3%), 무선통신기기(-12.9%)도 부진을 면치 못했다.

향후 중국경제 전망에 대해 기업들의 79.0%가 ‘부진이 지속될 것’이라고 밝혔으며, 그 원인으로 ‘산업생산 부진’(54.5%), ‘소비 둔화 추세’(43.0%)를 가장 많이 꼽았다. <기타 2.5%> 반대로 중국경제가 ‘점차 나아질 것’(21.0%)이라고 응답한 기업들은 그 이유로 ‘중국 정부의 경기부양책 효과’(76.2%)를 가장 많이 꼽았고, ‘리오프닝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는 응답은 23.8%였다.

중국경제 불안 요인에 대응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는 전략으로는 ▲제3국으로 판로 다변화(29.7%), ▲생산시설 제3국 이전(6.3%)과 같은 탈중국 전략과 ▲중국시장에서 품목 다변화(18.7%), ▲가격경쟁력 강화(20.0%) 같은 중국 집중 전략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특별히 준비하고 있는 대응방안이 없다’는 답변도 25.0%로 적지 않았다. <기타 0.3%>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팀장은 “최근 중국 경기부진의 원인이 디레버리징(부채 축소)과 같은 장기적 구조조정의 과정이라는 관측도 있어서 긴 호흡으로 대응방안을 생각할 필요가 있다”며 “중국시장을 포기하지 않으면서도 판로나 생산기지를 다각화 하는 China Plus One 전략이나 확실한 경쟁우위를 갖는 초격차 기술혁신 전략 등 기업상황에 맞는 다양한 옵션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한국로봇산업협회, 독일 뮌헨 로봇자동화 전시회 한국관 운영

AUTOMATICA 2023(독일 뮌헨 로봇자동화 전시회)가 지난달 27일부터 30일까지 나흘동안 독일 뮌헨(Trade Fair Center Messe München)에서 펼쳐졌다. 2004년부터 격년제로 열리고 있는 독일뮌헨로봇자동화 전시회는 메쎄 뮌헨(Messe München) 주최로 로봇과 스마트자동화, 모션제어, 인공지능(AI) 분야

네옴 첫 아시아 전시회, 다음 달 26일 한국에서 개최

네옴 전시회가 한국에서 열린다. 국토교통부(장관 원희룡)와 네옴(CEO 나드미 알 나스르)은 오는 7월 26일부터 8월 3일까지 9일간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네옴 전시회(Discover NEOM: A New Future by Design)‘를 개최한다고 7일 밝혔다. 이번 전시회는 지난 4월 5일에 있었던 원

배터리 소재, 한-중 협력 투자 증가... ‘위험한 동침’ 주의해야

미국의 IRA(인플레이션 감축법, 전기차 가치사슬에서 중국을 배제하려는 의도가 있다는 분석 지배적) 시행을 계기로 국내 주요 기업들이 배터리 핵심 소재의 국내 생산 능력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중국 기업들은 미·중 갈등에 따른 규제 리스크 분산 목적으로 한국 배터리 기업과

2025년부터 재활용 어려운 플라스틱 전면 금지

뉴질랜드는 지난 해 10월을 시작으로 단계적인 플라스틱 금지법을 시행하고 있다. 오는 7월 2차 시행을 앞두고 있다. 단계적 플라스틱 금지법은 총 3단계로 시행한다. 3차는 2025년 중반부터 더욱 강화된다. 뉴질랜드는 이미 폐기물최소화법(Waste Minimization Regulations

영국 자동차 생산 ↓ 전기차 생산 ↑

영국의 지난한 해 자동차 생산량은 세계적인 칩 부족과 구조적 변화로 인해 9.8% 감소, 77만5천14대를 기록했다. 영국 자동차산업협회(Society of Motor Manufacturers and Traders, SMMT)가 발표한 최신 동향 보고에 따르면, 10월과 11월 성장세를 이어왔으나, 12월 생산량은 17.9% 감소했다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