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핀테크 통해 ‘금융허브 도시’노리는 서울②] 핀테크허브가 되려면

한국의 ‘핀테크 성지’조성하고 어트랙션 효과 노려야

→‘[핀테크 통해 ‘금융허브 도시’노리는 서울①] 핀테크, 현재 상황은?’(본지 10월 6일자 보도) 기사에서 이어집니다.

서울시는 꾸준하게 ‘금융허브 도시’가 되고자 노력하고 있다. 여의도, 용산 등에 공간을 조성하고 다양한 금융정책으로 뒷받침하려 한다.

[핀테크 통해 ‘금융허브 도시’노리는 서울②] 핀테크허브가 되려면 - 산업종합저널 동향
자본시장연구원 금융산업실 이성복 선임연구위원

자본시장연구원 금융산업실 이성복 선임연구위원은 “서울은 2000년대 중반부터 글로벌 중심지 전략을 추진해왔지만 진입도는 낮다”라며 “2023년 서울은 허브로써 12위, 핀테크 분야에서는 26위로 평가받고 있다.”라고 말했다.

그는 “글로벌 허브는 ‘만들겠다’라고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져야’하는 것”이라며 글로벌 시장에서 가치를 인정받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성복 선임은 “한국은 2015년부터 핀테크 육성을 위한 노력을 했고, 많은 성과와 다양한 한계를 발견했다.”라며 “금융당국이 중심이 돼 규제 혁신을 분석했고 핀테크 업계가 성장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제공해왔다.”라고 말했다. 이에 “우리 핀테크 산업은 해외와 약간 다른 구성을 가져 금융당국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라고 덧붙였다.

그는 “부산특별시, 서울시가 핀테크에 관심을 가지고 여러 행사를 주관하고 지원하는 것에 감사”하다며 “소자본 창업기업들이 대부분인 핀테크 산업은 제도적 지원 없이는 성장이 어려워, 육성 지원 정책 덕분에 우리나라 핀테크 생태계는 건전하고 발전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라고 의견을 냈다.

이어진 이성복 선임의 한국 핀테크 시장 분석에 따르면, 7~8년간 우리 핀테크 산업은 양적으로 성공하는데 매우 성공적이었다고 볼 수 있다.

약 600여 개의 핀테크 기업 수는 선두 위치의 영국과 비교했을 때도 크게 차이 나지 않는 숫자다. 또, 초창기에는 특정 분야에 쏠리는 양상이었으나 지금은 해소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그 원인은 시장의 자율적인 측면이라기보다는, 소수의 핀테크 기업들로 승자가 가려지며 쏠림이 완화된 것이다.

한편, 우리나라 핀테크 산업의 양적 성장에 대한 해외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해외 금융당국이나 협회, 기업들이 매달 7~8건씩 방문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 핀테크 산업은 ‘유명한’ 유니콘 기업이 적다는 단점을 보인다.

글로벌에서 3년간 유니콘으로 평가된 기업 916개 중 222개, 24.2%가 핀테크 기업에 해당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핀테크 유니콘 기업은 단 3개로, 이중 2개는 국내에서만 유니콘으로 평가하며 해외에서는 인정받지 못한다. 즉, 우리나라는 양적 성장을 이뤘음에도 질적 성장이 부족하다는 평가다.

이성복 선임은 “이러한 환경에서, 서울이 국제 핀테크허브 도시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라고 질문을 던졌다.

그는 “사실 우리는 마케팅의 중심이 되고 싶어 하는 욕심이 큰 것 같다”라며 “객관적으로 볼 때, 아직도 갈 길이 먼 것”이라고 말했다. 또, “해외의 관심을 받고 있지만 대중성이 낮아 주목도가 부족하고, 금융 당국이 여러 측면에서 노력하고 있으나 한국의 규제 환경이 우호적이지 못하다는 것이 해외의 평가”라고 밝혔다.

“그렇다면 서울의 최대 정점은 무엇인가”라고 운을 뗀 이 선임은 “최근 2~3년간의 추세를 따져보면 어트랙션이라고 보인다”라고 의견을 냈다.

“케이팝, 케이컬쳐 등 여러 요인으로 한국에 대한 글로벌 관심도는 어느 때보다 높아졌고, 그 중심에는 서울이 있다”라고 말한 그는 “서울이 핀테크 허브 도시가 되려면 핀테크 어트랙션을 더 높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핀테크 통해 ‘금융허브 도시’노리는 서울②] 핀테크허브가 되려면 - 산업종합저널 동향
이성복 선임연구위원이 ‘핀테크 스트리트(Fintech Street)'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있다.

이성복 선임은 구체적인 방안으로, 여의도 국제금융센터(IFC)와 공덕 프론트원(Front1)을 잇는 ‘핀테크 스트리트(Fintech Street)'를 만들어 서울 만의 핀테크 성지를 조성하자고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해외에서 핀테크 업체, 금융당국이 방문했을 때 조성된 핀테크 스트리트를 관심 있게 보고 입소문을 퍼트리면 어트랙션이 올라가는 방안이 될 것으로 본다”라고 말한 이 선임은 “유명한 유니콘 기업이 될 수 있는 핀테크 업체들을 발굴하고 집중 유치시킨다면, 클러스터 효과와 더불어 핀테크 어트랙션을 더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의견을 보탰다.

이성복 선임은 “한국의 금융산업 발전 정도를 고려했을 때,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유니콘 기업이 10개 이상은 나와야 한다고 생각한다”라고 첨언했다.

[핀테크 통해 ‘금융허브 도시’노리는 서울②] 핀테크허브가 되려면 - 산업종합저널 동향
삼정KPMG 김세호 디지털 전략팀 리더(왼쪽), 금융감독원 김부곤 디지털금융혁신국장(오른쪽)

핀테크 산업의 성공적인 성장을 위한 제1전략

이날 강연에 나선 세 명의 연사들은 핀테크 산업의 혁신과 발전을 위해 ‘협업’을 지목했다.

자본시장연구원 금융산업실 이성복 선임연구위원은 “국내 핀테크 기업 중 55%는 기존 금융회사와 경쟁하는 ‘도전자’의 위치를 선택했고, 45%는 ‘협업’을 선택했다”라며 “그런데 도전자 기업들의 생존 가능성은 점차 낮아지고 있고, 협업 기업들은 탄탄한 수익기반을 마련하며 성장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삼정KPMG의 김세호 디지털 전략팀 리더도 “해외 사례 등을 살펴보면, 결과적으로 국내 핀테크 산업 발전을 위해선 실제 협업이 중요한 부분으로 생각된다”라며 “서울특별시나 금융위원회의 정책적인 지원과 고도화가 중요하고, 금융회사와 핀테크 기업의 협업과 경쟁을 통한 스케일업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금융감독원 김부곤 디지털금융혁신국장은 “금융회사는 자본과 인프라, 데이터를 가지고 있고 핀테크 기업은 기술, 아이디어와 신속성을 가지고 있어 경쟁보다는 협업으로 국제 흐름에 대응해야 한다”라고 의견을 밝혔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업무 보조해 주는 문서작성AI, 어디까지 가능할까

(주)한글과컴퓨터(한컴)가 ‘문서작성AI(인공지능)’의 베타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 한컴의 구독제 플랫폼인 ‘한컴독스’의 Web 한글에 접속하면 AI챗봇이 자동으로 실행된다. 새문서 또는 한컴독스에서 제공하는 기획서·보도자료·공문서 등 12가지 탬블릿을 선택하면 익숙한 문서 작업창과 함께

디스플레이 수출, OLED가 리드

한국 디스플레이 산업이 OLED(유기발광다이오드)를 중심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다.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에 따르면, 2023년 OLED 수출 비중은 75.8%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2024년에는 태블릿, 자동차 등 다양한 분야에 OLED가 확대 적용되면서 OLED가 디스플레이 전체 수출의 78.

한국의 iLED 디스플레이 산업 경쟁력 ‘열위’ 골든타임은 놓치지 않았다

오는 2030년 경이면 iLED 디스플레이 시장이 본격적으로 개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에 한국은 OLED와 iLED 디스플레이로 상호 보완해 주도권을 확보해 나간다면 디스플레이 1위 재탈환뿐만 아니라 압도적인 유지가 가능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가 25일 발표한 ‘

[마이데이터①]어떻게 쓰이는가?

‘개인정보 보호법’이 개정되면서, 산업별로 ‘마이데이터’ 활용에 관심을 두고 있다. 마이데이터는 개인이 정보의 주체로써, 산재된 개인데이터를 한곳에 모아 직접 관리하고 활용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한다. ‘마이데이터, 우리의 일상 속으로’라는 주제로 12일 열린 ‘2023 마이데이터

[핀테크 통해 ‘금융허브 도시’노리는 서울①] 핀테크, 현재 상황은?

금융과 기술이 결합한 ‘핀테크’는 금융업계의 미래 먹거리 전략으로 성공적으로 자리 잡았다. 글로벌 유니콘 기업이 핀테크 분야에서 탄생하는 비중이 늘어나고 있으며, 세계 유명 금융허브 도시들은 핀테크허브 도시로 거듭나기 위한 정책을 내놓고 있다. 금융허브를 노리던 여러 도시들도 핀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